간행물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13 (통권 제13호) (2014년 2월) 421

구두세션

8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형태의 자연재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명 및 재산 피해는 패해 자료만으로는 피해를 유발하는 위협요인의 명확한 해석이 어렵고 위협요인이 미치는 피해의 상대적 비중을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빈도역(frequency domain) 위험도 평가를 통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빈도역 피해추세의 형태에 따른 재해 유형 분류법을 제시하며 그에 대한 재해 대응 유형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적용 사례로 태풍에 따른 주 위협 요인 식볍법과 2가지 형태의 빈도역 위험도 분석 사례를 제시한다. 첫째는 대설, 강풍 등에 의한 비닐하우스 피해에 대한 빈도역 해석이며 두 번째는 태풍, 병충해, 우박 등에 의한 과수원 피해에 대한 빈도역 해석이다.
8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변량 확률모형을 통한 빈도해석 방법이 발전함에 따라 수문통계 분야에도 이에 대한 적용이 대두되고 있다. 다변량 확률모형은 확률변수의 특징을 갖는다고 판단되는 수많은 변수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수문분야에서는 가뭄, 홍수, 강우와 같은 자료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점의 기상청 강우관측기록을 이용하여 이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사용된 이변량 확률모형은 archimedean copula인 Frank, Gumbel-Hougaard, Joe 등의 3가지 모형이며, IFM(Inference Function for Margin)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empirical copula 와 추정된 copula 모형의 차이를 이용하여 각 모형간의 확률강우량 산정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83.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적요인 및 지역별 온도차 등으로 인한 국지성호우가 증가하고 있다. 엄청난 양의 폭우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를 뿌리면서 산사태와 축대 붕괴, 저지대 침수의 가능성 또한 커지고 있다. 도시지역은 도시개발로 인해 자연공간이 감소하여 개발 전 지표면이 가지고 있던 유역 내 저류 및 지연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시가지의 확대와 도로포장 등 유역 내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하여 홍수유출량과 첨두유출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유출구 까지의 도달시간은 자연유역에 비해 현격하게 짧아져 과거 자연하천 유역과는 다른 수문학적 특성을 가진다. <br> 특히, 도시집중 현상으로 택지 및 시설부지의 부족현상이 가중됨으로써 하천범람 구역이나 홍수우려가 있는 범람원내 저지대까지 도시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치수상의 안전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한편, 도시유역에서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피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규모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피해규모를 예측하기란 상당히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피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엔 경제적 손실 금액을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국지성호우로 인한 도시지역 피해사례 및 각 피해에 대한 개선 및 대책방안을 도출하기위한 위험도 산출 시 경제적 손실을 분석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좀 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위험도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8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사태는 강우가 많은 여름철 간극수압 상승 및 토괴의 단위중량을 증가시켜 응집력을 잃고 급속히 무너져 내리는 중력 침식현상을 뜻하며 많은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가져오는 대표적인 산지토사재해이다. 이러한 산사태는 지형, 지질 등과 같은 내적인 요인과 강우와 지진 등 외적요인의 작용을 받으며, 특히 강우는 산사태를 야기하는 주된 요인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인해 대형 태풍 및 매년 발생하는 집중호우 등에 의한 산사태 피해가 자주 보고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 사회·경제적 손실을 가져왔고 엄청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도 발생하였다. 하지만 강우는 지역마다 편차가 심하여 갑작스럽게 발생되는 경향이 크므로 정확한 산사태 발생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워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마다 지형 및 강우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현재 전국을 동일하게 사용하는 기존의 산림청 산사태 주의보, 경보발령 기준을 검토하고, 10년간 산사태 발생이 지속적이고 그 사례 또한 많았던 경상남도 지역의 산사태 통계 및 강우 특성을 검토하여 취약성 분석과 위험도 분석을 통해 향후 주의보, 경보발령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8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울을 위협하는 다양한 위험요소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하여 자연재난, 사회재난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외에 일상생활에서의 사고, 범죄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예측불허한 재해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규모 또한 과거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발생하는 자연재난 중 풍수해에 대한 위험도 분석과 그에 따른 대책의 우선순위 결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위험도 분석(발생빈도, 피해규모)을 통해 서울시 풍수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수립된 다양한 대책들 중 어떤 정책들을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우선순위 결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울시의 풍수해 관련 다양한 정책들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집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8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local hazard mitigation plan (LHMP) or emergency pla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contributions for the mitigation of future local natural disasters. Since different regions are vulnerable to different natural disasters, each community should prepare their own plan based on their specific conditions. In Kumamoto, chronic flood damage and landslides are the most common hazards. In 2012, rapid heavy rain resulted in substantial property damage, casualties, and even fatalities. Studies indicate that Japanese communities have many volunteer groups to manage natural hazards and that their average risk reception is higher than in any other country.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government policy regarding natural disasters is good. However, it is time to reconsider our approach and reconfirm our fundamental commitment of designing an LHMP. This paper presents comparison research for Kumamoto hazard mitigation planning around 10- year time series, a longitudinal study. We used a flood mitigation plan coding protocol to better understand the Kumamoto City hazard mitigation plan. Indicators used in the study mostly focus on situations that the city has recently faced.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wofold: 1) to assess the current mitigation efforts for a local flood event through a comparison study, and 2) to improve the LHMP more practically. To increase credibility and reliability, each researcher in this project checked the LHMPs three times. Eventually, through this study, it should be possible to enable the local government of Kumamoto to help establish a community resilient to its chronic natural disasters. Specific goals include determining which parts in the LHMP should be reinforced and whether improving the community resilience to flooding is possible
8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산분화재난은 지구 지각판들의 이동으로 인한 압력이 지표면으로 분출되어 발생하는 대규모 자연재난이다. 대륙 이동설에 의하면 지구 지각의 이동은 지각판 경계지역에서 암석을 녹일 정도의 커다란 압력을 발생시키고, 생성된 마그마와 수증기, 화산가스 등을 지표면으로 분출시킨다. 우리나라는 기상예보가 시작된 이후 아직까지 백두산, 한라산과 같은 화산들의 분화활동이 관찰되지 않아 화산분화재난의 발생위험이 그동안 매우 낮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최근들어 백두산에서의 지진활동, 지각변이 등이 관찰되면서 화산분화재난의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백두산은 2,800만년 전인 신생대 올리고세부터 화산활동이 있었으며 60만년 전부터 1만년 전 동안 백두산 성층 화산체가 형성된 화산이다. 백두산은 지난 12백년 동안 총 15회의 분화가 기록되어 백년마다 평균 1회 이상의 화산분화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승수, 2012) 특히 946년(±20년)으로 추정되는 백두산의 분화는 화산 폭발지수(VEI : Volcanic Explosivity Index)가 7.4로 2010년에 발생한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쿨화산 폭발의 약 천배가 되는 규모이다. 본 연구는 백두산 화산분화재난이 발생하여 화산재가 남한에 강하하였을 때 국제 항공교통 수요에 어떠한 영향이 있으며 이러한 항공교통 수요의 영향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8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폭염은 지구 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가장 우려되는 기상 / 기후 현상이다. 국립기상연구소(2011)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050년까지 우리나라 기온은 평년보다 1.8~2.7°C 상승하고, 그에 따라 폭염 발생빈도가 2~6배 증가할 것으로 발표 했고 인구의 고령화, 과잉도시화 현상으로 인하여 피해는 더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계 곳곳에서는 이례적인 폭염이 방생하여 많은 초과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1994년 이례적인 폭염이 발생하여 3000여명의 초과사망자가 발생에 이어 2012년 여름에 다시 심한 폭염이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많은 피해자가 발생했고, 그밖에 녹조 및 적조 현상, 전력 부족, 가뭄, 가축폐사 등으로 사회전반적인 피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재 폭염재해의 대처방안은 선진국에 비해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효율적인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본 연구는 폭염으로 인한 각 피해사례와 이에 따른 구조적, 비구조적 대처현황을 조사하고, 국내의 피해사례와 대처현황을 비교분석하여 대응체계 및 개선방안을 좀 더 효율적이고 건설적인 폭염 재해에 대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8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인적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민보호를 위한 생활안전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연구과제 도출을 위한 로드맵으로 도식화하여 과학기술기반의 연구과제 목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적재난의 반복적인 통계가 잡히고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과제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적재난 연구가 미미하였으며, 이러한 반복적인 인적재난을 줄이기 위한 과학적인 접근으로, 정책과 매뉴얼과 평가가 일원화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매년 발생하는 인적재난의 반복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도출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점에서의 과제도출과 인프라와 법제도 정비를 통한 지원체계상의 과제도출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인적재난 최소화를 위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재난관리하고, 체계적인 연구과제 지원으로 인하여 시민보호에 더욱 유용한 결과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9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활주변의 위험요소를 공익신고를 통하여 민관협력으로 조치완료하여 안전한 도시, 건강한 시민보호를 하여,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마을을 설계하는 이론과 적용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서울시 서대문구 북가좌2동 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안전 위해요소 신고 700 여건을 통하여 마을이 지속적으로 안전한 마을로 개선되고 있으며, 2010년 동주민 37,000 여명 중 사망자 151명이, 2011년 사망자 128명으로 줄어들어, 23명의 사망자가 줄어들었다. 이는 OECD에서 분석한 우리나라 사망자중 12.8%가 사건사고에 의하여 사망한다는 가정에 의하면 18명이지만, 이 마을은 무려 5명의 사망자가 더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하인리히 법칙인 1:29:300의 법칙에 의한다면, 무려 667명의 중경상자를 줄이고, 6,900 여명의 위험을 느끼는 시민을 줄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생활안전 마을설계의 이론과 적용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시민에게 공개하여 방문할 수 있도록 생활안전 마을설계를 하였다. 생활안전 마을설계는 서울특별시의 안전마을 사업지원을 받아 생활안전마을 탐방 안내도를 2013년 12월에 작성하여, 이를 제시하였다.
9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린이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통학버스 이용 중에 발생한 인명피해 사고는 사회적 관심이 더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문제발생의 원인파악과 해결의 시급성이 강조된다. 더욱이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를 야기하는 요인이 차량자체의 안전시설미비로 인한 경우와 운전자의 주의의무위반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적절한 조치를 통해 충분히 사전 예방할 수 있는 것임을 고려했을 때, 사망사고 발생을 전무하게 만들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접근과 해결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를 유형별로 분류, 사고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취약성평가와 위험도 FTA(Fault Tree Analysis)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ⅰ)통학차량 내 안전시설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자체에 의한 안전사고를 없애고 ⅱ)운전자에게 주의의무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대응전략을 세움으로써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안전을 제고하고,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9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의 인간의 행동은 임의적이고 즉흥적인 행동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피난행태는 상황에 따라 현저히 다른 양상을 보이며, 각각의 행동이 일관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건물과 도로의 재해발생 시 보행자대피모형은 보행자의 피난행태를 평소의 통행패턴과 비슷할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이동속도를 가정하고 속도편자는 높이는 방식으로 거시적, 또는 미시적 모형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위험으로부터의 피난행동은 비단 인간만의 고유한 행동이 아니며, 동물을 세계에서도 관측이 되고 있다. 즉, 위험으로부터의 피난행태는 실험과 관측이 용이한 동물의 행태와 비교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본능적 피난행태를 정의하고 포식자로부터 생존을 위한 동물의 행태를 비교하였다. 인간의 행태는 동일본 대지진에서 관측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피난속도, 속도편자, 방향전환을 중심으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인간의 피난행태에서는 “빠른 속도로 추종”, “움직이지 못함”, “망설임” 등이 대표적인 대피행태로 나타났다.
93.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로 교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타이어와 포장 사이의 마찰, 엔진, 에어펌핑 음 등이 주원인이다. 저소음 도로포장 공법은 타이어와 도로표면에서 발생하는 소음원을 저감시키는 기술로 교통소음으로 인한 민원, 불편 등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포장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층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 기술에 대한 성능 및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아스팔트 포장 공법은 상부층을 작은 골재로 포장을 하여 타이어와 도로 표면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켰으며, 하부층에는 굵은 골재를 두어 에어 펌핑 음으로 인한 공명음의 발생을 감소시켰다. 저소음 포장이 완료된 도로는 일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약 9dB의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소음 저감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경제성 분석은 방음 벽, 방음 터널의 설치비용을 고려하여 동일 구간 설치시 발생하는 비용을 비교하였다.
9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공용되고 있는 국내공항은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과 한국공항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김포국제공항 외 13개 공항이 운영되고 있다. 두 공항공사 모두 효율적인 포장관리를 위해 포장관리시스템(PMS: Pavement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여 공항포장상태를 평가하고, 보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보수방안을 결정한다. 포장상태평가는 보통 5년을 주기로 시행되고 있으며, 포장표면결함의 자료를 통해 포장상태지수(PCI: Pavement Condition Index)가 산출된다. 이러한 지수를 통해 공용중인 공항포장의 상태와 보수를 필요로 하는 시점을 판단 할 수 있다. 기존에 개발된 공항포장 공용성 예측모형은 크게 아스팔트포장과 콘크리트포장으로 나뉘어, 재령과 교통량에 따른 통합된 PCI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공항별로 준공시기와 환경인자들이 다르게 때문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여, 모든 공항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주로 활주로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유도로 및 계류장에 관한 선행연구는 아직까지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콘크리트공항포장의 각각의 동질성구간에 대한 공용성 예측모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든 단면이 아스팔트 포장인 울산공항과 군산공항을 제외한 13개 공항의 콘크리트 포장 부분의 PCI 자료를 수집하였고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에 따라 크게 분류하였다. 분류된 각 구간은 동질성 구간별로 세분화하여 재령에 따른 PCI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양대학교 및 (주)로드텍의 협조를 얻어 각 공항의 포장평가 조사보고서를 수집하였다. 각 공항별 동질성 구간의 준공년도와 재포장 시점을 분석하였으며, 이 시점을 기준으로 재령에 따른 PCI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보수를 시행한 구간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이 구간에 대해서는 보수시점의 PCI값을 100으로 가정하고, 이 후 재령에 따른 PCI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PCI의 변화추이를 회귀분석하여 각각 선형과 지수형태로 나타냄으로써 각 공항별 동질성 구간에 따른 콘크리트 공항포장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모형을 통하여 공항포장설계수명인 재령 20년일 때의 PCI값을 예측하였고, 재포장이 요구되는 ‘Critical PCI`값인 70으로 저감되기까지의 공용연수를 나타내었다. 각 공항의 동질성 구간에 따른 예측모형들을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각 공항의 특성과 공용수명을 예측할 수 있었다.
9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공항 콘크리트 포장은 FAA 150/5320-6D에서 제시하는 설계법에 따라 설계대상항공기로 등가 환산된 교통량을 설계에 반영해 왔으나, 2006년에 개정된 FAA 150/5320-6E에서는 운항이 예상되는 모든 항공기의 연평균 이륙횟수를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개정된 설계 기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어형상을 반영하는 것이 실제 교통량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더 합리적인 설계 방법이라 할 수 있다.<br> 본 연구에서는 Duals in Tandem(2D) 기어형상의 교통하중을 환산하기 위한 응력회귀식을 개발하였으며, 선행연구(김연태, 2013)인 Double Duals in Tandem(2D/2D2) 기어의 응력 회귀 모형 개발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환경하중에 의한 응력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지역별 슬래브 두께에 따른 등가선형 온도차이(홍동성, 2012)’를 사용하여 국내 기후특성을 반영하였다. 우선, 응력 회귀식 모형을 산출하기 위해 공항포장 설계에 필요한 각각의 설계인자들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력이 큰 주요 인자들의 설계 적용 범위를 정의 한 후, 선별된 설계 변수들을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FEAFAA)에 적용하여 다양한 경우에서 유한요소해석(FEM)을 실시하였다. 또한, 해석결과인 최대인장응력을 종속변수로 적용하고, 해석에 적용한 설계인자들을 독립변수로 적용하여 다중회귀분석(SPSS)을 실시한 결과, 교통 및 환경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인장응력 회귀식을 산출할 수 있었다. 개발된 회귀식은 각각 교통하중에 의한 응력회귀식, 환경하중과 교통하중을 동시에 고려한 응력회귀식이며, 입력변수로는 줄눈간격, 슬래브두께, 복합지지력계수, 등가선형온도차이, 교통하중이 있다. 또한, 회귀식 검증을 위해, 각각의 회귀식 변수를 변화시키며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9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주 양동마을은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2010년 한국의 역사마을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양동마을을 이루고 있는 가옥의 대부분은 불에 취약한 목재 및 초가가옥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산림과 인접해 있어 산불로부터 화재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불재해로 인한 양동마을 가옥들의 화재 위험성에 대해 Heat Flux 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가옥의 재질을 이루고 있는 물질의 착화위험성 평가를 함께 실시하였다. GIS 래지스터 분석을 통하여 양동마을의 가옥위치정보와 가옥의 재질에 대한 정보처리 실시와 산불로부터 발생되는 Heat Flux 수치해석을 통해 산림으로부터 인접한 가옥별 산불로부터 화재발생 위험 가옥들에 대한 위험지도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양동마을 가옥 중 산불로부터 직접적인 화재위험성에 노출된 가옥이 약 10%에 이르렀고 가옥간의 2차 화재 전파로 피해가 예측되는 가옥이 전체 가옥의 5%에 해당되었다. 이에 산불로부터 화재에 취약한 가옥들에 대해 주변 산림연료 제거 및 이격 공간 확보, 수막시설 설치 등의 산불예방 및 진화를 위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9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통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도로 포장의 목적이 안전하고 쾌적한 이동이며, 차량의 주행속도가 높을수록 안전한 도로포장의 중요성이 커진다.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술 중 기존 화학 첨가제의 단순 혼합에 의한 개질 아스팔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반응형 아스팔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중 대표적인 것인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이다.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은 아스팔트 바인더에 혼합된 에폭시 수지의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경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통해 공사계획의 수립과 교통개방 가능시점의 결정이 가능하다.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은 매우 뛰어난 내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다양한 포장이 가능하며 특히 고가의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의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에폭시 함량의 조절을 통해 필요한 성능의 확보와 경제성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에폭시 수지 농도 변화에 따른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화속도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실외 양생 실험과 예측식과의 비교 결과 상관계수가 0.971 이상으로 나타나 예측식이 에폭시 함량 변화에도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화 정도를 예측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imate change is not the only issue yet there are the combinations of many existing factors. Urbanization is one of them and is considering the major criteria.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land use of the existing watershed is becoming impervious layer and even drainage network system is more complicated. Existing system might not be able to handle the amount of water during the storm events thus,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is necessary for a planned development area in designing detention storage for urban drainage systems to minimize the effect of urbanization. It is advisable to reassess the existing structure to handle and to prevent the threat of flood in the future. For such assessment, single or two hydrologic models can be paired for pre- and post- development conditions. Typical pairings are the use of synthetic hydrograph methods for both conditions or synthetic hydrograph for pre-development and urban hydrology model for post-development condition. This study is aiming to assess the flood impact and suggest the proper technique for future flood prevention. To accomplish, the SWMM was adopted to development areas in Korea. The comparison of results can be done to show the new approach can resolve the irrationalities that can occur with the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models such as smaller peak flow and longer time to peak for post-development conditions. It is thought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improves the accountability of the flood impact assessment on future development areas
9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곡선 승강장에 직선형태의 전동차량을 운행해야 하는 물리적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승강장 연단과 전동차 사이에 발이 빠져 발생하는 승강장 연단 실족 사상 사고는 어린이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이용에 큰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최근 도시철도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간격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관련 특허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울시에서는 3호선 경찰병원역의 시범설치를 비롯하여 곡선 승강장에 대한 전면적인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철도 승강장 연단 간격 발생 원인과 건축분야의 승강장 설계 기준인 도시철도 건설 규칙 및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 시설 보완 설계 지침 대해 고찰 한다. 또한 연단 실족 사상사고 분석을 통해 승강장 안전발판의 필요성과 승강장 설치형 안전발판에 대해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운행 중 발생하는 사상 사고의 경우 많은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인명의 피해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승강장 안전사고를 저감하고 동종의 사고에 대한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곡선 승강장에서의 승강장 연단 실족 사상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발판에 대한 기준의 제시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안전발판에 대한 연구가 지속된다면 도시 교통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도시철도에서의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10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의 안전을 위한 정책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의 자연재해 방재분야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던 방재주제도와 더불어 보행안전, 교통사고안전, 학교생활안전 등의 생활안전분야 지도 발굴 및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재난안전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재 및 생활안전 지도의 발굴과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유관기관의 공간 및 속성자료를 분석하여 자료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으며, 개발 가능한 지도의 컨텐츠를 검토하였다. 다양한 공공데이터의 공간`속성자료를 활용하여 방재 및 생활안전분야에서 유용한 지도가 구축될 것이라 기대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