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년 춘계학술발표대회 (2022년 5월) 49

<현장발표>

42.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조건축은 자연적인 풍화와 노화, 인위적 개축 등에 의해 수리와 중건이 불가피하다.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건축물 일수 록 수리에 의한 변화 양상과 수리범위, 수리 원인 등을 파악하는 것은 대상 건축물의 진정성과 원형성 검토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단청은 건축물의 성격을 유지하기에 위해 수리와 중건 시마다 재단청하는거나 부분적으로나마 개채가 시행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단청은 시대적,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리로 인해 재단청한 경우나, 부분개채 시 수리범위와 수리식등을 어 느정도 유추할수 있으며, 건축 수리와 개축 등의 중건 기록이 부족한 경우 단청 흔적 조사를 통해 건축연혁 관련 기록의 공 백 기간의 수리 정보를 보충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몇 가지 실재적 사례를 들어 단청 흔적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중수 시 수리내용과 범위를 추정해보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44.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세기초 훼철된 강진객사에 대한 복원적 고찰이다. 강진현의 관아건물이 있었던 치소는 1417년 강진현이 도강군과 탐진현이 합하여 강진현이 되었을 당시에는 탐진현의 옛 치소, 현재의 강진군청 자리였던 것으로 보이며, 1429년 도강군 송계리(현, 성전면 수양리 수암마을)로 치소를 잠시 옮겼다 가 1475년 또다시 현재의 군청 자리로 치소를 옮겼다. 1910년 강진현 객사가 일본헌병대 둔소가 되었다는 기록과, 1914년 1월 강진공립보통학교가 객사로 이전되어 수업했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사진엽서’에서 강진우편소(1910년 12월 개설)와 강진경찰서(1919년 3월 신설)가 있는 사진으로 보아 1919 년까지도 강진객사가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일본육군참모본부에서 제작한 조선지지략(朝鮮地誌略)』전남도지부 강진현 편에 ‘관아의 문은 ‘금릉아문(金陵衙門)’ 이고 객사는 동북 방향에 ‘금릉관(金陵館)’이 있으며 남면한다는 내용으로 강진객사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다. 강진객사 금릉관의 규모는 ’조선사진엽서‘를 통해 정청 3칸, 동익헉 7칸, 서익헌 5칸 등 총 15칸으로 추정할 수 있다.
47.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중국 동북지방의 조선족 전통민가는 함경도와 평안도, 그리고 만주 지방형을 토대로 다양한 평면구성형태를 구성하고 있 다. 특히 길림성, 흑룡강성, 요녕성 내륙지역과 중-러 국경지역에 산재된 조선족 민가는 두만강, 압록강 등 집중거주지역에 분포된 조선족 전통 민가와는 달리 이문화의 갈등과 동화 속에서 지역특성에 알맞은 공간형태의 변형을 돋보이고 있다. 그 중 띠캉 공간의 출현이 가장 대표적이다. 바닥을 원형으로 조성된 한족, 만주족 전통민가의 단순공간변형과는 대조적으로 조선족 전통민가의 띠캉은 마루방을 원형으로 주생활 행위의 계절성 변용에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띠캉(地炕) 공간을 중심으로 조선족전통민가의 공간변형과 주생활 양식의 변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주문화의 전통지속과 농촌주거의 진흥에 도모하고자 한다.
48.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에서 산업유산은 주로 광산이나 공장 등 대규모의 광업, 제조시설 혹은 상수도나 교량, 철도 등 토목관련 시설, 즉 협의의 산업유산 개념을 중심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의 발전에 있어 노동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는 것이며, 특 히 대규모 산업생산이 가능할 수 있었던 데에는 사택단지와 같은 대규모 노동자 주택 단지의 건설이 기반이 되었다. 최근 산업유산이 보존과 활용의 대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많은 노동자주택들은 관심의 대상조차 되지 못한 채 사라져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 후반 일제의 군수공업도시로 형성된 부평의 대표적인 사택인 미쓰비시 중공업의 사택과 1960년대 경제개발기 공업도시로 발전한 울산의 현존하는 사택인 한국화학공업사택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서 산업유산의 개념을 노동자주택과 도시경관을 포함하는 산업도시경관으로 확장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