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61.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성 천연항균제인 자몽종자추출제재(Boatanical antimicrohiagent-grapefruit seed extract mixture : BAAG)의 항균특성을 구명하고, 과채류의 선도유지제로서의 기능과 효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BAAG를 조제하여 과채류의 저장, 유통중 발생하는 변패균주, Fuarium solani, Botrytis cinerea Pencilliumcrutosua Ewinia carotovora Phoma destruct
        62.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청칼슘을 0.5%, 1.0% 및 1.5%씩 첨가하여 만든 김치를 1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적정산도, 환원당 함량, 총균수 및 유산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김치의 담금 직후부터 유청칼슘을 첨가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pH를 유지하였다. 숙성 5일까지는 시험구간에 적정산도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 이후에는 유청칼슘을 첨가한 시험구의 적정산도가 대조구보다 모두 높았다. 특히 유청칼슘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적정산도가 높았다.
        63.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지리정보의 가장 핵심 단위인 피쳐가 근본적으로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각 응용분야별로 그 피쳐의 의미와 내용을 분류하고 기술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측면에서 매우 불합리하다. 이에 현재 세계적으로 생산자 및 이용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피쳐들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분류하고 명명, 정의하는 피쳐카탈로그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며, 본 논문에서는 해양지리정보의 활성화를 위해 "ISO 19110 - Methodology for Feature Cataloguing" 표준문서를 분석하여 피쳐에 대한 구성요소와 정의방식을 연구하였고, 도출된 방법을 통해 해양지리정보 피쳐카탈로그를 작성하는 표준안과 그 예를 제시하였다.
        64.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FSE 분말제재를 절인 배추에 대하여 0.1%, 0.3% 및 0.5%씩 첨가하여 김치를 만들고 10%에서 숙성하면서 pH, 적정산도, 환원당 함량, 총균수, 젖산균수와 같은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김치의 pH는 감소하였는데, 대조구와 GFSE 분말제재 0.1% 첨가구, 0.3%와 0.5% 첨가구는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는 숙성 5일의 pH가 4.20으로 김치의 숙성 적기로 판단되는 범위에 도달하였는데
        65.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망에 대한 MA 저장에 적합한 포장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기체에 대한 투과도가 다른 cast polypropylene (CPP),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olefin (MPD), polyolefin(PD961) 및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포장재로 피망을 포장하고 1에서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고찰하였다. 저장 기간 중 포장 내부의 산소 농도는 4주까지 대체
        66.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 담금시부터 숙성 13일경까지 홍화씨 분말을 첨가한 시험구들은 대조구보다 대체적으로 낮은 pH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에는 시험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숙성 2일까지는 적정산도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이후 13일경까지는 대조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화씨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숙성 20일 이후에는 시험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김치가 숙성되는 동안 환원당 함량은 지속적으로
        67.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울토마토의 포장에 적합한 필름을 선택하기 위하여 기체 투과도가 다른 여러 가지 필름으로 방울토마토를 포장하고 저장하면서 포장내 기체 농도,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 중량 감소율, 부패율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PP와 PD961로 포장한 시험 구는 저장 기간 동안 계속 적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가 계속적으로 변화하였으나 다른 포장재로 포장한 시험구는 저장 10일 경에 대체적으로 평형에 도달하였다. 저장 기간 중 중량 감소율
        69.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etic acid solution containing calcium (AC) was added to kimchi seasonings by 10% and 205, and heat treatment at 70 for 15 min was also tried, respectively. Kimchi with treated seasonings was investigated for the quality during fermentation at 10. Heat treatment with 20% AC showed a retarded decrease pH than others on 10 days, bu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after 14 days. Higher titratable acidity was revealed in kimchi with AC during the fermentation. Total microbial lead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 were generally lower in kimchi with AC. Reducing sugar content was maximum for all samples on 5 days,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Redness of control kimchi was steadi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70.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rawberry and cucumber were dipped with Korean medical herb extracts such as Rheum palmatum L. and Coptis chinensis Franch. to maintain the keeping quality during storage at 5C and 10C, respectively. Treatment with 500 ppm solutions gor strawberry retarded weight loss, microbial load increase, and decay during storage. Decay ratio was shown 68.8% for control, 45.0% for Rheum palmatum L. and 42.5% for Coptis chinensis Franch. at 10 days. Strawberry treated with Coptis chinensis Franch. showed a higher hardness and soluble solid content than others. Cucumber treated with 1,000 ppm solutions revealed a different O and CO concentrations after 16 days. Korean medical herb extracts showed an antimicrobial activity for the quality retention of cucumber during storage. Ascorbic acid content was generally increased till 8 days, but decreased thereafter.
        71.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대황 및 황련추출물을 오이, 호박, 상치 및 고추에 처리하였을 때 총균수가 감소하였다. 채소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처리농도는 달랐는 데, 호박, 상치 및 고추는 100 ppm, 오이는 500 ppm 처리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를 침지할 때의 시간은 10분 정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척수의 온도를 4로 높일 경우에도 채소류 표면의 총균수 감소 효과는 실온의 세척수와 비슷하였다. 또한 오이와 호박을 대
        74.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prolong the shelf life of green chili pepper, packaging films such as 30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20 perforated polyolefin (SM250), 30 cast polypropylene (CPP) and 15 polyolefin (MPD) were used. LDPE showed a suitable gas concentration which consisted of 3-5% O and below 5% COfor keeping quality of green chili peppers after 10 days. Though weight loss was 9.3% for SM250 after 5 days, others showed below 2.0% weight loss after 40 days. Green chili peppers inside CPP package revealed a great decrease in ascorbic acid content after 30 days. SM250 showed a less total microbial count among packages, bu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s among packages.
        75.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 반수체 육성의 기초차료를 얻고자 배양 소포자의 활력과 특성을 Flow cytometry로 관찰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포자 활력은 발육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 배양 4일경에 4분자기 12.8%, 1핵성소포자기 49.3%, 2핵성소포자기 42.3% 및 성숙화분은 56.4%였다. 그리고 배양 20일 경에 는 소포자의 활력이 감소하여 배양중 배지개선과 계대배양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2. 발육시기에 따라 소포자 구조 peak가 다르게 조사되어 4 분자기는 원형을 보이다가 1~2핵성 소포자 부터 성속 화 분은 장타원형의 발달하는 특성을 띠었다. 3. 배양 소포자 중 살아서 생존한 소포자는 FDA 염색에 녹색 형광을 DAPI 염색에 청색형광을 발하여 활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