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increases with the length of service of the worker. Musculoskeletal disorders can occur when performing repetitive and forceful movements. Therefore, Cargo drivers operate repeatedly in the wrong posture for a long time. When loading and unloading a cargo, the cargo driver works repeatedly with force. Cargo operators are also expos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working environment due to poor posture and repetitive movements.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conduct a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evention of th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cargo drivers for long periods of tim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that cause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each group can occur during the long-term operation and preparation of drivers.
이 연구는 최대근력형과 근지구력형 저항운동이 총운동량과 혈액점도 및 적혈구용적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저항운동 경력 12개월 이상의 20대 남성 15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전 벤치프레스 1RM을 측정하였으며, 조건 별 실험은 1주일간의 간격을 두고 교차배분하여 6세트 씩 최대반복수행 하였다. 그 결과 총운동량은 근지구력강도가 최대근력강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001), 혈액점도와 적혈구용적률은 총운동량에 관계없이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높아졌다(p<.01). 종합 하면 혈액점도는 운동강도와 운동량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일회성 저항운동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으며 혈관질환에 관련된 임상환 자들의 운동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forklift accident occurs in the logisitcs center. there are many kinds of accidents such as a casualty accident or a minor accident, etc. there are many other causes of accident, including poor visibility and habitual operational mistakes The result of the accident is the phenomenon of cutting, falling, scratching of the product. In the case of minor accidents, workers do not report accidents, so the occurrence of accidents is unknown. The customer receives the goods and then notifies them that they are defective product. After the product is returned, we can see that the forklift accident caused the problem of the product The result of the late response affects the image of the enterprise. In this study, we recognized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to prevent accidents and found out which of the education items could raise awareness of safety. As result of the study, disinfection and forklift maneuverability regarding speed were mentioned as the most important items in education.
본 연구는 스탠스 자세와 운동면의 차이가 어깨돌림동작 시 활동근의 %MVIC를 비교분석하여 어깨강화운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남성 8명을 무선배정하여 두발지지 자세, 한발지지 자세, 런지자세와 이마면, 수평면, 시상면에서 회전동작을 10회씩 수행하였다. 수행 중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작은원근, 앞세모근, 배곧은근, 척수세움근, 큰가슴근, 넓은등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repeted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이마면에서 바깥돌림 동작 시 척추세움근은 두발지지 자세와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고 안쪽돌림 동작 시 가시위근은 두발지지 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평면에서 바깥돌림 동작 시 앞세모근은 두발지지 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과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고 안쪽돌림 동작 시 가시아래근은 두발지지 자세와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큰가슴근에서는 한발지지 자세보다 두발지지 자세,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세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상면 바깥돌림 동작 시 배곧은근은 두발지지 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와 런지자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안쪽돌림 동작 시 가시위근은 두발지지 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와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고 가시아래근은 두발지지 자세와 한발지지 자세보다 런지자 세에서 높게 나타났다. 배곧은근에서 두발지지 자세와 런지자세보다 한발지지 자세에서 높게 나타났고 척추세움근은 한발지지 자세보다 두발지지 자세와 런지자세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탠스와 어깨의 운동면의 차이가 어깨위팔관절의 돌림운동 시 활동근들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스탠스자세와 운동면에 따라서 다른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를 어깨 강화 운동프로그램에 적용한다면 보다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생각 된다.
본 연구는 필라테스 동작 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피험자로 남자 8명을 선정하여 필라테스 네발자세, 교각자세, 코어컨트롤 동작을 매트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동적동작으로 무선배정하여 1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각 동작의 수행 시 척추세움근,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네발기기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5), 폼롤러 정적동작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둘째, 교각자세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 나타났다(p<.001). 셋째, 코어컨트롤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 동작에서는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1), 정적 동작에서는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필라테스 운동시 근활성도를 고려하여 방법과 난이도를 적용하면 더욱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The water containing soluble manganese may cause problems such as discolored water, unpleasant taste, fouling or scaling of pipe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so on.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es using sand filtration or sedimentation after oxidation, however, cannot often meet manganese standard for drinking water. Two types of oxidants, potassium permanganate (KMnO4) and sodium hypochlorite (NaOCl), were utilized at the same time for manganese oxidation, and then the precipitated manganese oxides were removed by low pressure membrane filtration in this study. In batch experiments, the multiple injection of both oxidants showed more effective manganese removal than did the single injection using either of them. Moreover, the deterioration of manganese removal at low temperature was less serious for the multiple injection than that for the single injection. Manganese removal by the continuous system of oxidation by multiple injection combined with membrane filtration was higher than those by batch experiments at the same oxidation conditions. In addition, less membrane fouling was observed for membrane filtration with oxidation during continuous membrane filtration than membrane filtration without oxid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xidation by multiple injection coupled with membrane filtration was efficient and applicable to actual water treatment for manganese removal.
목적: 안질환과 시기능에 이상이 없는 굴절이상 중 근시 어린이의 안경렌즈 교체주기에 따른 근시도 변 화를 관찰하여, 근시변화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방법으로 대구광역시 소재 한 안경원의 고객 중 2013년 1월에서 2015년 12월 사이에 방문한 7 세에서 11세 사이(9.05±1.24) 안질환이 없는 근시안 291명(남 172명, 여 119명)을 대상으로 총 582안의 등 가구면 도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총 291명 중 1년 동안 관찰했던 사람은 291명이며 교체주기는 1~2회였고, 2년 동안 관찰했던 사람 은 193명이며 교체주기는 1~4회였으며, 3년 동안 관찰했던 사람은 106명이며 교체주기는 2~5회였다. 1년 간 등가구면 도수의 변화는 1회 OD : -058±0.35 D, OS : -0.56±0.38 D, 2회 OD : -0.94±0.61 D, OS : -0.87±0.56 D이었다. 2년간 등가구면 도수의 변화는 1회 OD : -0.58±0.30 D, OS : -0.58±0.30 D, 2 회 교체 시 –1.14±0.48 D, 3회 교체 시 –1.34±0.60 D, 4회 교체 시 –2.04±1.16 D 이었다. 3년간 등가구면 도수의 변화는 2회 OD : –1.32±0.58 D, OS : –1.45±0.39 D, 3회 OD : –1.68±0.59 D, OS : –1.59± 0.46 D, 4회 OD : –1.99±0.82 D, OS : –1.93±0.64 D, 5회 OD : –2.34±0.66 D, OS : –2.27±0.72 D이었다. 나이별 등가구면 도수의 변화량을 보면 7세에서 –0.71±0.78 D, 8세 –0.70±0.53 D, 9세 –0.60±0.66 D, 10 세 –0.55±0.60 D, 11세 –0.47±0.46 D로 나이가 올라가면서 도수의 변화는 줄어들었다. 결론: 근시 어린이의 안경렌즈의 교체 주기가 짧을수록 등가구면의 도수의 변화는 많았다. 나이별 등가구면 도수의 변화량은 나이가 올라갈수록 도수의 변화량은 줄어들었다. 근시의 완전 교정으로 인해 근거리 작업 시 저 교정 상태의 안경보다 더 많은 조절력이 요구되고, 그로 인해 근시가 더욱 빠르게 진행된다고 사료된다. 근시의 저 교정은 근시의 진행을 완화시키지만, 입체시의 저하, 시자극의 결핍으로 약 시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양측 시각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독서 속도, 집중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약시의 원인을 제거하고 독서 속도와 집중 기능의 향상을 위해서 충분한 교정시력이 나오는 원거리 안 경과, 작업거리에 따른 근거리 안경을 따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The respective delivering vehicle loaded with the own cargo moves into the respective delivery area. At the base, the delivery points D1 and D2 ,for example, have the same starting point but the destination is different. The average delivering time of the delivery vehicle is mostly more than 8 hours a day. Therefore, the efficiency of delivery is generally low. In this study, the deliveries will be forwarded from a base station to a delivery point where cross docking will be applied to a single vehicle, and will be distributed from the cross docking point through cross docking. If the distribution is implemented, one vehicle will not have to be operated from the base to the cross docking point. In that case, logistics cost will be reasonably saved by the reduction of transportation cost and labor time. If one vehicle only runs from the base to the cross docking point, each vehicle will be operated in two shifts, and the vehicle operation can be efficiently implemented. This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3 types of ratios between the traffic volume of the vehicles starting at the base and the vehicles waiting at the cross docking point are set to the first ratio of 30% to 70%, the second ratio of 50% to 50% and the final ratio of 70% to 3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livery timein the cross docking point is much higher than that in present on the condition that the cargo volume in the D2 area is more than 50%. Likewise, the delivery time is slightly higheron the condition thatthe cargo volumeis less than 50%. Time is reduced in terms of 50% model like AS-IS model.
Logistics companies distinguish between medium-sized business and small business according to the size of enterprises. Of course, conglomerates are called global corporations. In this study, mid-sized companies over a certain size or more and those below are classified and decide the priorities among important factor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logistics companies are determined through AHP technique. Mid-sized companies are companies that can provide more than two logistics services. For example, they provide warehousing and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same time. small companies are companies that can mostly provide one functional service. Warehousing, transportation, manpower, and information are listed as factor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medium-sized companies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transportation. When it comes to small companies, warehousing was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Due to the simultaneous and contemporary service of warehousing and transportation in small-sized company, the reliable image of the company will be underestimated in case of delays in transportation. Competitiveness will also be weakened. Global corporations or conglomerates will start to consider relocating warehousing areas to others except for the central storage hub. They won’t plan to invest directly, either.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the function of warehousing and to signed easily partnership
Companies are reluctant to disclose information because of trade secret and corporate identity For the same reasons, logistics companies do not want to operate in the form of a community In urban areas, the loading of vehicles is 100% as the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is too much. In mountain areas, however, the load condition of the vehicle is not 100% because of the low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Therefore, the transportation costs will increase as the cost of transport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will also decline In this paper, we studied a simulation to measure driving time and volume of cargo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in the mountain a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we got a conclusion that the proposed method makes the operation time be less and the volume of cargo increase compared with the existing oper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