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21.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alcoaceticus C10은 CL 배지에서 -caprolactone 및 succinate에 의해 생육에 아무 영향도 받지 않았으나 adipate와 xylose에 의해서 균의 생육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이 균이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없는 포도당에 의해서도 생육도가 증가하였으며 6시간 배양 후 0.2%의 포도당을 첨가한 경우에는 16시간 후 CL 배지에서 생육한 것보다 약 2배의 생육도를 냐타내었다. A. calcoacelicus C10이 생산하는 cyclohexanol dehydrogenase(CDH)는 -caprolactone, succinate, xylose 및 포도당에 의해 이화물 억제를 받지 않았으나 사이클로헥사놀 대사경로의 최종생산물인 adipate에 의하여 생합성 억제를 받았다. CL 배지에 0.1%의 adipat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CDH가 다소 유도되었으나 0.2%의 adipat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CDH가 거의 유도되지 않아 0.5%의 adipate를 첨가한 것과 비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22.
        201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non-Saccharomyces 효모와 S. cerevisiae Fermivin으로 혼합발효된 사과와인을 동결농축하였을 때,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고품질 무가당 사과와인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향미 증진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P. anomala JK04와 malic acid 분해능을 지닌 I. orientalis KMBL5774 효모를 사용하였으며, 혼합발효 후 알코올 함량이 12%(v/v)가 되도록 동결농축하였다.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는 다른 시험구와 비교하여 발효속도가 늦어 발효를 완전히 진행시키지 않았다. 동결농축 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의 당도, 환원당, 총산,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다른 시험구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다른 시험구들도 동결농축 후 해당 성분들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의 유리당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동결농축 후 2-3배 증가하였다. 유기산의 경우, lactic acid를 제외한 모든 유기산의 함량이 동결농축 후 증가하였으며 모든 시험구에서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I. orientalis KMBL5774는 malic acid 감산능력을 지니고 있어 malic acid 함량이 다른 시험구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메탄올, 아세트알데히드, 퓨젤유의 경우, 동결농축에 의하여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식품공전상 허용기준치보다 낮게 검출되었다. 사과와인의 색도 분석에서는 hue value는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와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에서 동결농축 후 감소하였으나, I. orientalis KMBL5774 혼합발효구에서는 증가하였으며, intensity value는 모든 시료구에서 2배 가량 증가하였다. L과 a value는 모든 시험구에서 동결농축 후 감소하였으며, b value는 증가하였다. 총 20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저분자에 속하는 알코올류와 에스테르류 들의 함량이 동결농축 후 증가하였으며, 고분자에 속하는 물질들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non-Saccharomyces를 이용한 혼합발효구 모두 대조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특히P. anomala JK04 혼합발효구는 색과 향미에서, I. orientalis KMBL5774 혼합발효구는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 동결농축된 사과와인에서 다양한 성분들이 축적되어 새로운 무가당 사과와인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나타내었으며, non-Saccharomyces 효모 혼합발효는 사과와인의 품질 향상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23.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new functional fermentation milk using green tea powder (GP), milk was fermented with direct vat set (DVS) starter culture containing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We investigat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5, 1, 2, 3%) of GP. All samples were evaluated for pH, total acidity, viable cell count, and sugar contents. The pH of all samples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the final pH ranged from 4.35 to 4.51. The acidit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fter the fermentation was completed, the titratable acidity was 0.8 to 1.1%. And viable cell count of all sample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the final viable cell count was 8.57 to 8.89 log CFU/mL. The sugar content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and finally reached 12 to 13 ˚Brix. And increasing GP, decreased brightness and increased yellowness. Increasing GP concentration added to milk, improv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ion reducing activity of fermentation milk. The fermentation milk kept their pH, total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standard of fermentation milk during the storage period at 4℃.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novel functional fermentation milk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milk added with GP.
        24.
        201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mprove functionality and palatability of Korean Campbell Early wine. Campbell Early and aronia were fermented by either individually or at 5:5 (v/v) mixed cul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and Pichia anomala JK04. Blending was carried out using those two wine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blending wines were conducted. The Campbell Early wine and aronia wine blended with 9:1 (v/v) ratio showed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scores. Total anthocyanin compou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 of blending win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ampbell Early wine (control). Hue and intensity values increased in the order of A, B, C and D, E, F depending on P. anomala JK04 use. Anonia wine contributed the increase in a and b values of blending wine. Although blending wines fermented by P. anomala JK04 increased small amounts of aldehyde and acid compound, ester compou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wine aroma was also increased sharply. Adding aronia wine fermented by single culture of P. anomala JK04 (A, D) got higher color, taste, sourness and overall preference scores than other wines in the sensory evaluation. All of blending wines showed higher flavor scores than control did. This research shows a possibility of blending and utilizing non-Saccharomyces yeast for Korean wine industry.
        25.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아로니아의 착즙수율 향상을 목적으로 Rapidase Press L, Rapidase C80 MAX, 그리고 Plantase TCL 3종류의 효소를 사용하여 농도,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착즙수율을 측정하고 각 효소별 최대 착즙수율 조건을 설정하여 최적 효소처리 후 아로니아 과즙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효소별 최적 농도는 0.1%(v/w) 사용 시 최대 수율을 보였으며, 최적 효소반응 온도는 50℃였으며, 최적 효소반응 시간은 120분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효소들 중 pectinase와 hemicellulase로 구성된 복합효소 Rapidase PRESS L은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18.1% 높은 69.1%의 착즙수율을 보였다. 효소처리를 후 아로니아 과즙의 당도, 환원당, pH, 총산, 총 안토시아닌, 총 페놀성 화합물, 그리고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착즙수율 증대를 위한 효소처리 결과, 당도, 환원당, 그리고 총산은 처리전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pH는 효소처리에 따른 큰 변화는 없었다.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성 화합물은 효소처리 후 대구조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다. 효소 처리 전후의 아로니아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3종류의 효소 모두 대조구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아로니아 과즙의 착즙수율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예상하며, 착즙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대량 생산 시 수익성도 증가하여 경제적으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6.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와인제조에 있어 향미 증진과 같은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Pichia anomala JK04와 일반 적으로 와인 양조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을 혼합 발효하여 감와인의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감와인의 발효특성 결과 발효 종료 시 대부분 의 실험구에서 pH 4.0~4.2, 총산 0.5~0.6%를 나타내었다. 당도와 환원당 함량 변화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점차 감소하 여 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 P. anomala JK04 혼합 첨가 발효구에서 발효 종료시점에서 대부분의 당이 소비되었다. 최종 알코올 함량은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S. cerevisiae Fermivin과P. anomala JK04의 혼합 첨가 발효구에서 알코올 생성이 빨랐으며 발효 종료 시 모든 구의 알코올 농도는 12~13%를 나타내었다. 각 첨가구 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0.05 mg/mL 로 초기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감와인의 hue value는 발효 초기에 비해 증가하여 4~5의 값을 나타내었 고, intensity value는 발효초기 0.5의 값에서 점차 감소하여 발효 종료 시까지 0.1~0.2의 값을 유지하였으며 휘발성 향 기성분의 경우 P. anomala JK04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다양한 알코올류, 에스테르류가 생성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향기와 맛의 평가에서P. anomala JK04를 첨가한 모든 혼합 발효구에서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27.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상수확 후지와 늦수확 후지 사과를 속성 발효 효모인 S. cerevisiae SS89로 발효하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사과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상수확 및 늦수확 후지사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각 13.0, 13.6˚Brix로서 늦수확 후지 사과가 다소 높았으나 총산의 함량과 경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과주의 발효 중 pH와 총산 함량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 알코올 함량 및 효모 생균수의 증가에 있어서 늦수확 사과의 경우가 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 말기 잔존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최종 알코올의 농도는 수확기와 무관하게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늦수확 사과주의 경우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다소 낮기는 하였으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1.27 mg/mL, DPPH 라디칼 소거능이 89.5%로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malic acid 함량과 hue 값, 명도 및 황색도 등이 다소 높았으나 아세트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고급알코올의 함량 등은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늦수확 사과주는 향에 있어서는 유사한 값을, 색에 있어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맛에 있어서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28.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용 양조용 효모를 선정하기 위해, 효모의 알코올 생성능을 조사한 결과, Y268 효모가 알코올 생성능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0.3% 접종한 효모를 최종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2종류의 양조용 곰팡이(A. luchuensis 34-1, Lich. ramose CN042)와 2종류의 쌀 품종(추청미, 한아름)으로 제조한 4종류 쌀누룩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 품종에 관계없이 A. luchuensis 34-1 균주의 이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였고, 균주별 및 쌀 품종별로 제조된 4종류 누룩의 유기산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에서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와 malic acid로 분석되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각각 25~28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균주별과 쌀 품종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균주별로 제조한 쌀누룩의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4가지 조합(A. luchuensis 34-1: Lich. ramose CN042=1:0, 0:1, 1:1, 1:3)과 2종류 쌀 품종으로 빚은 탁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한 결과, 누룩의 배합비율과 쌀 품종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 차이를 보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6일째 16%로 가장 높았다. 제조한 탁주의 유기산과 유리 아미노산 분석 결과, 전체 7종류 이상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arginine, citrulline이었고, 누룩의 배합비율과 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탁주의 관능특성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A. luchuensis 34-1 누룩의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누룩 배합비율별로 비교했을 때는 쌀 품종에 관계없이 1:1 비율로 제조한 탁주가, 쌀 품종별로 비교했을 때는 한아름으로 제조한 탁주의 선호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9.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캠벨얼리 포도주의 발효 중 효모 천이단계에서 분리된 당 내성 토착형 효모 균주 S. cerevisiae S13과 D8 균주로 MBA 포도주를 발효하여 그 특성을 산업용 포도주 효모 W-3 균주와 비교하였다. 토착형 효모 두 균주의 경우 발효초기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 및 알코올 생성이 다소 지연되었으나 발효 종료 후 D8 포도주는 12.4%, S13 포도주는 11.8%로서 대조균주 W-3 포도주의 12.0%와 알코올 함량이 유사하거나 다소 높았다. Malic acid의 함량의 경우 D8 포도주는 W-3 포도주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S13 포도주는 W-3 포도주의 약 71.9% 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아세트알데히드,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아밀알코올 등의 함량 역시 D8 포도주와 S13 포도주 모두가 W-3 포도주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메탄올의 함량은 S13 포도주가 98.6 mg/L, D8 포도주가 112.0 mg/L로서 W-3 포도주의 192.8 mg/L에 비하여 각각 51.1%, 58.1%의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색도를 나타내는 L, a, b 값은 S13, D8 포도주 모두에서 W-3포도주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관능평가 결과 색에 있어서 S13 포도주가 W-3 포도주보다 다소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0.
        2014.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캠벨얼리 포도의 자연발효 특성을 알아보는 한편 아황산 처리가 캠벨얼리 와인의 자연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효 중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아황산 처리구보다 아황산 무처리구에서 더욱 빠르게 감소하면서 알코올의 함량이 빨리 증가하였다. 그러나 발효 종료 후 알코올의 함량은 모두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효모 생균수는 아황산 무처리구에서 빨리 증가하였으며 아황산 처리구에서는 발효 1일 후 오히려 생균수가 감소하다가 그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7일 후부터는 더욱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임의로 분리한 효모의 PCR-RFLP 분석 결과 아황산 무처리구는 4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나타나 5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우점종으로 작용하였으나 아황산 처리구는 발효 1일 후부터 H. uvarum과 S. cerevisiae가 함께 발견되었으며 발효 3일 후부터 S. cerevisiae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여과한 와인의 유기산으로는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들이 검출되었는데 아황산 처리구에서 사과산과 주석산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메탄올,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판올의 함량은 아황산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이소아밀 알코올 함량은 낮았다. 아황산 무처리구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함량은 375.5 mg/L로서 아황산 처리구보다 약 5.3배로 높았으며 와인의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31.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북 상주와 영주 일원에서 수확한 캠벨얼리 포도의 자 연발효 중S. cerevisiae가 처음으로 나타나면서 효모의 천이한 결과, 40℃의 온도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생육도를 나타 내어 S13 균주는 30℃에 비하여 약 63%, D8 균주는 약 81%의 생육도를 나타내었다. 두 균주 모두 pH 7.0에서 생육 도가 가장 높았으며 pH 5.0과 9.0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생 육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균주 S13은 pH 9.0에서도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pH 7.0에서의 생육도와 비교하여 약 93%의 생육도를 나타내었다.
        32.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digenous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s S13 and D8 were isolated at the microbial succession stage during spontaneous fermentation of Campbell Early wine as a resistant to potassium metabisulfite and a high sugar concentration. In this study,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wine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S. cerevisiae W-3, an industrial wine yeast. Alcohol production by the two strains was delayed at the initial fermentation stage, but increased fast when the fermentation continued. After the fermentation, the S13 and D8 wines contained 12.6% and 13.2% (v/v) alcohol,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lcohol content of the W-3 wine (12%, v/v). No marked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esidual soluble solid content and the pH. However, the S13 and D8 wines showed high levels of total acid content, including malic and lactic acids. Especially, the lactic acid content was 8.9-fold in the S13 wine and six-fold in the D8 wine, compared with that of the W-3 wine. The two strains produced a higher level of acetaldehyde and a lower amount of methanol in the wine than the W-3 strain. The iso-Butanol content was lower in the two indigenous yeast wines with similar levels of n-propanol and iso-amyl alcohol contents than that in the W-3 win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13 and D8 wines had higher scores for their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s than the W-3 wine. Especially, the S13 and D8 wines had much higher scores than the W-3 wine for flavor and color, respectively.
        33.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RS4 type resistant corn starc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ere investigated by physicochemical, instrumental and sensory evaluation. The resistant starch was made by cross-linking of corn starch as following; corn starch slurry was annealed at pH 2.0 and 50℃ for 2 h followed by the cross-linking reaction. The cross-linking reaction was performed at 50℃ for 12 h in the presence of 1.2%/st.ds NaOH, 10%/st.ds sodium sulfate and 10%/st.ds of sodium trimetaphosphate (STMP)/sodium tripolyphosphate (STPP) mixture. Dietary fiber content of the resistant starch was estimated to be 73.8% by the AOAC metho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dough pH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resistant starch content and spread factor decreased a little at 20% of the resistant starch. The moisture content and L value of cooki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resistant starch content. However, the hardness and fracturabilit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resistant starch content. In the sensory evalu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cookies with or without the resistant st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S4 type resistant corn starch can be a good ingredient to increase dietary fiber content in cookies without changes of their qualities.
        34.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ermentation of ice apple wine from freeze-concentrated Fuji apple juice to 36 °Brix was carried out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a sugar-tolerant wine yeast str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and the properties of ice apple win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 cerevisiae W-3, an industrial wine yeast that was used as a control in this study. During the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increased more rapidly by S. cerevisiae SS89 together with the decrease of the soluble solid content, compared to S. cerevisiae W-3. It reached 12% (v/v) after 15 days of fermentation by S. cerevisiae SS89 (12.4%, v/v) and 21 days by S. cerevisiae W-3 (12.6%, v/v). The soluble solid contents of the SS89 and W-3 wines were 24.0 and 23.6 °Brix, respectively. Lactic acid was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malic aid, among the organic acids in both wines. No big differences in the organic acid contents were observed based on the strains. In the SS89 wine, higher levels of methanol, propanol, butanol, and isoamyl alcohol were detected, together with a lower isobutanol content, compared with the W-3 wine. The SS89 wine showed higher level of intensity as well as higher Hunter's L and b color values compared to the W-3 wine. In the sensory evaluation, similar scores in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obtained in the two wines. Therefore, S. cerevisiae SS89 was thought to be useful for the rapid fermentation of ice apple wine.
        35.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 hundred and twenty three yeast strains were randomly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Among them, six urease producing yeast strains (designated JJA, JJB, JJ22, SHA, SHC and SH10) were selected on the Christensen urea agar plates. They showed the same pattern in the PCR-RFLP analysis of the ITS I-5.8S-ITS II region digested with HaeIII and HinF1 restriction endonucleases. Its DNA sequences showed 100% (strains SHA, SHC and SH10) and 99.8% (strains JJA, JJB and JJ22) identity with those of Issatchenkia orientalis type strain ATCC 24210. Phylogenetic analysis resulted in that all the strains were closely related to I. orientalis. Two representative strains, JJ22 and SH10, showing the highest urease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further characterization. Their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lso the same as I. orientalis. Therefore, both the two strains were identified as I. orientalis. They could grow at a wide range of temperature between 20-40℃ as well as pH between 2.0 and 10.0. However, a higher level urease activity were obtained at acidic pH than that at alkalic pH. The maximal level of urease activity was obtained at 30℃ (strain SH10) or 35℃ (strain JJ22) and in a liquid medium adjusted to the initial pH 5.0.
        36.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ptimum annealing conditions of corn starch slurry were studied for RS4 type resistant starch production by phosphorylated cross-linking. When a corn starch slurry was cross-linked by using phosphate salts (STMP/STPP mixture) in the presence of 0.9%, 1.2% and 1.5% NaOH/st.ds, a high concentration of NaOH resulted in a rapid increase of the RS contents at the early reaction stage. However, similar RS contents were obtained after 12 h of cross-linking regardless of NaOH concentrations. The annealing treatment was condu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pH between 2-10, temperature 40-60℃, time 0-14 h followed by phosphorylated cross-linking. The lower slurry pH was for the annealing treatment, the higher RS contents were obtained after cross-linking. When the slurry annealed for various period of time and temperature, a maximal amount of RS was formed after 2 h of annealing at 50℃ of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starch slurry (pH 2.0). Therefore, an optimal annealing conditions at pH 2.0 and 50℃ for 2 h were proposed under the cross-linking conditions of sodium sulfate 10%/st.ds, NaOH1.2%/st.ds and 12 h of the reaction time. The RS contents were linear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osphate salt addition. The RS4 prepar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contained RS 72.3% and its phosphorus content was 0.36%/st.ds, which was below the limit (0.4%/st.ds) of modified starch by Korea Food Additives Code.
        37.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적포도주는 장기간, 백포도주는 단기간 동안 발효가 끝난 뒤에 오크통에서 숙성 과정을 거치게 된다. 최근에는 오크통을 대신할 목적으로 포도주에 오크칩을 첨가하여 숙성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간별로 열처리한 국산 참나무편을 적포도주에 넣은 다음 숙성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 봄으로써 색의 안정성과 풍미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전처리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나무편의 첨가 유무에 따른 알코올과 당도 및 총산 함량의 변
        38.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캠벨 얼리 포도과즙을 36 로 동결농축한 후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된S. cerevisiae S13, D8 균주를 이용하여 아이스와인의 발효를 행하면서 대조균주인 S. cerevisiae Fermivin과 발효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 중 S13과 D8의 경우 Fermivin보다 당도가 다소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빠른 알코올 생성을 보였다. 발효 종료 시점인 9일 후의 알코올 농도는 D8이 15.2%, S13은 14.0%, Fermivin은 12
        39.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된 효모들 중 와인 발효 적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선정하여 ITS-I-5.8S-ITS II DNA 염기서열 분석과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동정하였고 발효환경 내성을 알아보았다. 분리 효모들의 ITS I-5.8S-ITS II 영역을 PCR로 증폭한 결과 약 800bp의 DNA가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이 DNA를 제한효소 HaeIII로 처리한 경우 모두 약 400bp의 DNA band 확인되었고, Hinf I로
        40.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 된 Saccharomyces cerevisiae MM10, SS89 그리고 SS812 균주를 전체원료의 15%에서 배양하여 얻은 균체를 24 로 동결농축한 사과액에 접종하여 무가당 사과주를 양조하였다. 발효 중 환원당은 대조균주와 비교 시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총산은 모든 효모군에서 알코올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최종 알코올 함량은 모든 효모군에서 12~13%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사과주의 유기산 함량의 범위는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