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3.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주요 콩 품종의 파종기 이동이 isoflavone 등 생리활성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 04'N, 경도 126° 54'E)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수행되었다. 여름형콩 품종인 새올콩과 다원콩, 가을형콩 품종인 태광콩, 풍산나물콩 및 청자3호를 이용하여 파종기를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6월 30일, 7월 15일에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aidzein 함량은 모든 시험품종에서 genistein과 total isoflavone 함량은 청자3호를 제외한 시험품종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glycitein 함량은 다원콩을 제외한 시험품종에서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2. Cyanidin-3-glucoside(C3G) 함량은 다원콩과 청자3호, delphinidin-3-glucoside(D3G)와 total anthocyanin 함량은 다원콩에서만 파종이 늦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pelargonidin-3-glucoside(Pg3G)와 petunidin-3-glucoside(Pt3G) 함량은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3. 청자3호의 lutein 함량은 파종기에 따라 2.7~3.0 μg/g로 유의차가 없었고, chlorophyll 함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여 6월 30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4. 조지방 함량은 태광콩과 청자3호는 조기에 파종할 때 많았고 기타 시험품종은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Palmitic acid 조성비는 대부분 시험품종에서 파종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tearic acid 조성비는 새올콩, 다원콩, 청자3호에서 파종이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Oleic acid, linoleic acid 조성비는 새올콩에서만 파종기가 빠를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Linolenic acid 조성비는 대부분 시험품종에서는 파종이 늦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파종기 이동에 따른 탄수화물과 조단백질 함량은 대부분 시험품종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새올콩은 조기에 파종할수록, 다원콩은 만기에 파종할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24.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료곡인 동부의 침종, 포화, 노화 조건이 동부나물 생산량과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흡수량은 침종 초기 2시간까지는 급속히 증가하다 이후에는 완만히 증가하였으나,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 및 잔뿌리 발생량은 침종기간(1~6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았다. 5일간 포화(수분 96±1%, 20℃)처리가 무처리나 1, 3일간 포화처리에 비해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 및 잔뿌리 발생량이 높았다. 고온 노화처리에 따른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은 무처리에 비해 낮았는데, 이상의 결과로 동부나물 재배를 위한 원료곡 전처리 방법은 5일간 포화(수분 96±1%, 20℃)처리하고 세척하여 재배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2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ifts in sowing time on the ecological responses, growth and yields of major soybean cultivars in a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Naju, Jeonnam Province (latitude 35° 04'N, longitude 126° 54'E)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The test cultivars included Saeol-kong and Tawon-kong of the summer type,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of the autumn type. Sowing took place on May 15 and 30, June 15 and 30, and July 15 of each year. Of the summer type soybean cultivars, Saeol-kong showed a smaller curtailment in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days from sowing to maturity according to sowing time postponement than Tawon-kong. Of the autumn type soybean cultivars, Taekwang-kong exhibited a lower photoperiodic response in reproductive growth period than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both of which recorded higher level photoperiodic responses in vegetative growth stages and reproductive growth periods than other test cultivars, with the former exhibiting higher levels than the latter. Most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decrease in stem length,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and stem diameter according to postponed sowing tim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m length and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of the Saeol-kong cultivar. Differences in sowing times did not affect the first setting pod node order of Saeol-kong and Tawon-kong summer type cultivars of internode lengths of all of the test cultivars. All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show decreases in pod number per plant due to postponement of sowing time except for the Saeol-kong cultivar. The variation was more prominent in small grain cultivars such as Tawon-kong and Pungsannamul-kong with the latter autumn type cultivar showing especially large variation. Yields were the greatest for the Tawon-kong,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cultivars sown on May 30 and Cheongja3 sown on May 30 and June 1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ields of Saeol-kong for different sowing times from May 30 to July 15, with the yields lowest for the batch sown on May 15.
        2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동부 유전자원 245점에 대한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육성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개화일수는 41∼50일(51.5%), 51∼60일(43.7%), 등숙일수는 21∼30일(53.9%), 31∼40일(23.7%), 생육일수는 71∼80일(26.9%), 81∼90일(23.4%) 순으로 많이분포하였다.2. 신육형은 무한형 72.7%, 중간형 25.7%, 및 유한형1.6%, 초형은 포복형 78.8%와 직립형 21.2%, 잎 모양은 심장형 98.4%와 피침(결각)형 1.6%, 꽃색은 보라색85.2%, 백색 13.6% 및 연주색 1.2% 씩 분포하였다.3. 성숙 꼬투리색은 갈색 54.7%와 황갈색 37.6%, 착협위치는 아래로 향함 90.6%, 중간 5.7% 및 곧추섬 3.7%씩 분포하였다.4. 종피색은 갈색 25.3%, 흑색 23.3%, 백색 20.8%, 종자모양은 계란형 66.9%, 장방형 24.9%, 신장형 8.2% 씩분포하였다.5. 협장은 10.1∼20.0 cm 89.0%, 20.1∼30.0 cm 8.6%,협당립수는 12.1∼15립 62.0%, 9.1∼12립 25.7%, 15.1∼18립 9.1% 씩 분포하였다.6. 백립중은 15.1∼20.0 g 37.6%, 10.1∼15.0 g 28.6%,주당수량은 100.1∼200.0 g 52.7%, 100.0 g 미만 22.9%,200.1∼300.0 g 15.9% 씩 분포하였다7. 선발한 7자원 종실의 전분 함량은 44.1∼57.0%, 단백질 함량은 23.3∼27.5% 범위로 유의차가 있었다. Sucrose함량은 자원에 따라 1.46∼2.03% 범위에 포함되어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3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1997년부터 백색의 내병성 프리지아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초세는 약하나 조생종인 백색 홑꽃 품종 ‘Athene’의 자가교배 실생을 모본으로 하고 내병성이 약한 백색 겹꽃 품종인 ‘Vienna’를 부본으로 하여 2001년 3월 교배를 실시하여 ‘Grace Girl’을 육성하였다. 종자를 파종하여 얻은 실생으로부터 2003년 백색의 조생 겹꽃인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에 걸쳐 생육특성 및 수량 검정을 실시 하였으며 안정성, 균일성, 초세, 절화수명, 및 구근 증식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Grace Girl’ 이라 명명하였다. ‘Grace Girl’은 백색(RHS, W155D) 다화성 겹꽃 품종으로 잎과 화경의 직립성이 강하고 고성종이며 초세가 강하다. 절화 수확량은 주당 8.3개로 매우 많고 구근증식률도 우수하다. 개화소요일수는 약 135일로 대비품종에 비해 11일 정도 빠르며 포장 내 바이러스의 자연발생이 적어 국내 시설재배 환경에 적합한 품종이다.
        31.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생력재배로 일시수확 및 관행재배로 생산한 녹두의 품질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력재배는 7월 23일에 파종하여 10월 28일 일시에 수확하였고, 관행재배는 6월 13일에 파종하여 8월 중순부터 3차례 손으로 수확하였다. 1. 종실의 전분, 조단백질, vitexin 및 isovitexin 함량은 재배방식과 수확기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종실의 조지방 함량은 생력재배, 관행재배 3차, 2차, 1차 수확한 종실 순으로 많았다. 2. 종실의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종류는 관행재배로 2차 수확한 종실에서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관행재배 3차나 생력재배로 일시에 수확한 종실은 12종으로 가장 적었다. 주요 포화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와 arachid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및 생력재배 수확 순으로 높은 비율인 반면 stearic acid는 반대의 경향이었다. 주요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linole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수확 및 생력재배 순으로 조성 비율이 높았다. 3. 종실의 아밀로그램 특성은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관행재배로 1차에 수확한 종실은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최종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점도가, 관행재배 3차에 수확한 종실은 치반점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생력재배로 수확된 종실은 모든 아밀로그램 측정값이 현저하게 낮았다. 4. 녹두나물을 생산하고 나물의 수율과 색도 및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력재배로 생산한 녹두는 나물의 생산수율이 낮으나 색도와 아미노산 함량은 관행재배로 수확한 종실을 이용하여 생산한 나물과 비슷하였다.
        3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물용 녹두 신품종 '주현'은 금성녹두와 VC1834-4-B-2-B-3B-B를 인공교배하여 2009년에 육성되었다. '주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 협수는 26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8개 많고, 녹두나물 수율은 표준품종보다 18% 많다. '주현'은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수량은 1.84 MT/h
        3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8년 연분홍색 겹꽃 프리지아 신품종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 2003년에 'Michelle'과 'Rossini' 조합의 실생계통 'Pink Jewel'과 'Purple Rain' 품종을 교배하여 연분홍색 겹꽃, 동시개화성 품종 'Pink Ribbon'을 개발하였다. 2003년 2월 교배하여 종자를 획득하였으며,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연분홍색 겹꽃 동시개화성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4년
        3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8년 진분홍색 반겹꽃 프리지아 신품종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 2000년에 'Michelle'과 'Rossini' 조합의 실생계통인 'Pink Jewel'과 'White Lace' 품종을 교배하여 진분홍색 반겹꽃, 다화성 품종 'Happy Birthday'를 개발하였다. 2000년 2월 교배하여 종자를 획득하였으며,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진분홍색 반겹꽃 다화성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
        3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솔’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5년에 육성된 분화용 아시아틱나리이다. 1992년에 백색 아시아틱나리 ‘화이트 버드’와 황색 아시아틱나리 ‘커넼티컷킹’품종간의 교잡에서 1994년에 A94-11 계통이 선발되었다. 이 계통은 1995년 부터 조직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순화 및 양구를 거쳐 2004년까지 생육 및 특성검정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예솔’ 품종을 육성하였다. 이 품종의 개화기는 6월 하순이고, 꽃의 색은 황색이며, 꽃잎에 반점이 없다
        3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렌지크라운’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에 육성된 절화용 FA 아속간 잡종 나리이다. 1995년에 1차 교배로 신나팔나리 ‘라이잔’과 아시아틱나리 ‘A61’ 계통간의 교잡에서 ‘FA97-30’ 계통을 선발하였다. 그러나, 만생종이며, 하엽의 발생이 심각하여 다시 2001년에 ‘A01-187’ 적색 아시아틱나리 계통을 교잡하여 2004년 ‘FA04-27’ 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2005년부터 조직배양에 의한 대량증식, 순화 및 양구를
        3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5년에 주황색 겹꽃 "Mirage"와 적색 반겹꽃 "Rose"를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 특성검정을 거쳐 화색이 밝고 선명한 흑심의 적색(RHS R44B) 반겹꽃을 선발하여 초세 강건한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Red Line"을 품종육성하였다. 꽃의 직경은 12.7 cm, 외부설상화의 길이와 폭은 각각 5.83 cm와 1.27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
        38.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7년부터 황색 겹꽃 프리지아 품종 육성을 위한 품종을 수집하여, '98년 2월에 'Golden Crown'을 모본으로 하고 'White Wing'을 부본으로 한 교배조합으로부터 240개의 종자를 획득하였다.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황색겹꽃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에 걸쳐 생육 특성 및 수량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안정성, 균일성, 병 저항성, 절화수명, 및 구근 증식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
        3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팔레놉시스 "Yellow Dream"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1995년에 적색설판이 있는 황색계열의 Phal. '031'을 모본으로, 꽃이 작고 밝은 황색 소형품종의 "Golden Emperor"를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0~2004년에 2회의 특성검정과 계통평가회를 거쳐 "Yellow Dream"이라 명명하였다. "Yellow Dream"은 노랑색 꽃잎에 오렌지색 계
        40.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rose cultivar “aedoji”developed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s (JARES) is a standard type with deep Red flower. From 2000, two cultivars ‘ital’and 'Cardinal' were examined for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were included in cross-combination in 2003. Cultivar ‘ital’ a vigorous standard type, first preference with red flower, was used as a mother plant and cultivar ‘ardinal’ a red flower standard type with light color, was used as a pollen-donor plant. seventeen six breeding lines were selected in 2004 based on flower shape, flower color and abundance of petal numbers on the first selection. two breeding lines were selected in 2004 based on powderly mildew and vigor on the second selection. For three years, from 2005 till 2007, one breeding lines were selected and examined for their productivity, and then cultivar “aedoji”was developed because of distinctive characters such as light red color flower, upright stem, long vase-life and Resistance to the Powderly Mildew. A standard type with intermediate sized flower, cultivar “aedoji”shows in average 9.2 cm flower diameter, 62.0 cm flower stem length, and 9.5 days vase-life. The average productivity for three years was 167.3 stems ㆍm-2 per year and increased 2% compare to cultivar ‘iamo’with 163.9 stemsㆍm-2 per year.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