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8

        3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8년 분홍색계 소 형 호접란 ‘Tiny Bell’을 육성하였다. 2010년 진분홍색 다화 성 소형 품종 Phalaenopsis ‘D07PN16’와 연분홍색 소형종 P. ‘D03PN22’를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2014년 생육이 우 수하고 화색, 화형, 꽃대수 등 개화 특성이 우수한 ‘10531-53’ 개체를 선발하여 기내 화경배양을 통해 증식하였다. 2014년부 터 2018년까지 1차, 2차특성검정을 통해 품종의 안정성과 균 일성을 확인한 후 ‘Tiny Bell’로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밝은 보라빛 분홍색(RHS, PVGN80A)을 띄며, 가장자리에 백색무늬 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평피기 형태의 꽃은 길이와 폭이 각각 3.89, 4.01cm이며, 총상화서로 분지가 발생한다. 1개의 꽃대에 19.7개의 소화가 착생하여 꽃 수가 많이 달리는 다화 성이며, 꽃대 길이는 28.48cm정도이다. ‘Tiny Bell’은 생육시 잎이 수평으로 자라며 길이와 폭은 각각 13.1cm, 5.3cm였다. 신품종인 ‘Tiny Bell’은 소형 분화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다.
        4,000원
        3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rently, the cut flower market seems to be an export revenue in the world trade of the flower industry. The amount of exported cut flowers is impressive with increased production in various countries, especially in Kore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utomatic technologies are continuing to develop agricultural effective tools in the challenge of digital innovation. Thus, the low production costs set up in the field, greenhouse, or smart farm set up, and the short time of harvest must be considered within a few months. The postharvest quality of cut flowers presents freshness and long vase life, and the tools for postharvest handling are expected to optimize these. This review highlight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mproving postharvest quality of cut flowers, the potential standard applicable techniques for commercial handling outlines of cut flower vase life,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postharvest handling in the flower industry.
        4,000원
        36.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e-standing hybridized electrode consisting of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DWNTs) and activated carbon have been fabricated for flexible supercapacitor applications. The xanthan-gum, used in our methodology, showed high ability in dispersing the strongly bundled DWNTs, and was then effectively converted to activated carbon with large surface area via chemical activation. The homogeneously dispersed DWNTs within xanthan-gum derived activated carbon acted as both electrical path and mechanical support of electrode material. The hybridized film from highly dispersed DWNTs and activated carbon was mechanically strong, h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hibited high specific capacitance of 141.5 F/g at the current density of 100 mV/s. Our hybridized film is highly promising as electrode material for flexible supercapacitors in wearable device.
        4,000원
        4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7년에 절화 수명이 길고 수량이 많은 연한 핑크색의 스프레이 장미 ‘Pink Shine’ 을 육성하였다. 모본은 ‘Fire Flash’로 붉은 복색의 스프레이 장미이며, 부본은 ‘Pink Charm’으로 핑크색이며 흰가루병에 강하다. 이 두 품종을 2012년 인공교배하여 이듬해인 2013년 1월에 파종, 9cm 포트 묘에 정식하여 관능 평가 실시 후 도태시켜 39개체 의 실생을 얻었다. 이후 화형, 화색, 꽃잎 수, 절화수량, 병 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2015년까지 5개체를 선발하여 유사 품종인 ‘Missha’를 대조로 하여 2017년까지 3차에 걸친 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장 우수한 ‘원교 D1-325’를 최종선발하여 ‘Pink Shine’으로 명명 후 2018년 3월 22일 품종보호출원(제 2018-212호)하여 2019년 6월 21일에 품종보호권(제7786호)이 등록되었다. 화색은 연한 핑크색(RHS, R36D)이며 잎의 색은 녹색(RHS, G137A)으로 대조 품종 ‘Missha’와 동일하였다. 꽃잎 수는 67.8개, 화폭 5.4cm, 화고 3.2cm로 ‘Missha’보다 컸으며 평방미터당 연간 절화수량은 131본, 절화수명은 15.3일로 ‘Missha’ 보다 우수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