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21.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원전해체, 원전사고 등으로 인한 수계 내 방사성물질 제거 기술로 고분자 소재의 분리막이 사용되고 있지만 고에너지 광선으로 막의 변형 및 파손이 중요한 문제점 중 하나이다. 무기계열의 세라믹막은 강한 내구성을 지니며, 기 존의 한외여과막 수준의 표면 공극 크기를 나노여과막 수준으로 개질할 경우 방사선 물질 제거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나-지르코니아 나노물질 을 여과코팅 방법으로 세라믹막 표면을 나노여과막 수준으로 개질을 하였고, SEM-EDX, 분획분자량, 오염 전 투수량을 통해 막의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제조된 세라믹 나노여과막의 방사선물질 제거 평가로 우라늄(Uranyl nitrate hexahydrate) 2 mg/L 수용액을 사용하였고, ICP-MS 분석결과 40% 제거율을 확인하였다.
        22.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정수 수질 고도화 및 시설 운영 효율화를 위해 분리막 정수처리시설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여과효율을 감소시키는 막오염은 분리막 기술 도입에 중요한 문제점 중에 하나이다. 막오염을 제어하기 위해 분리막 세정과정이 처리공정에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6년 이상 운전된 막여과 정수처리 공정에서 세정 후 PVDF재질의 한외여과 분리막의 특성 변화를 분석 하였다. 장기사용에도 불구하고 PVDF 막의 물리적 강도 및 연신율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화학세정 후 분리막 표면에 잔류하는 물질은 대부분 소수성의 휴믹산 계열의 유기물로 나타났다. 장시간의 세정으로 인한 막 표면 구조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사용전막 대비 평균 막 표면 공극 크기가 증가하고 표면 공극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23.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정삼투(FO) 공정은 역삼투(RO)와 비교할 때, 고압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막오염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되었다. 반면, 아직 적절한 유도용질이 부재하고, 유도용질의 분리에 사용되는 에너지가 높아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높은 투과성과 낮은 염투과도를 보이는 FO 전용막 및 모듈 개발이 완성되지 않아 시스템 구성 및 최적화가 요원한 실정이다. 본 강연에서는 FO와 관련된 한계들을 살펴보고, 이의 극복을 위해 현재까지 진행된 극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FO 공정이 가지는 장점중 하나인 막오염과 세정에 관련된 본 연구실의 결과를 소개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