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 인식과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지역아동센터 원예활동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소장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26일부터 2018년 3월 9일까지 방문, 이메일, 전화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한 결과, 천안시의 지역아동센터 중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해 본적이 있는 곳은 49%, 실행해보지 않은 곳은 51%로 나타났다. 실행해 본 적이 있는 곳 중 3개월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센터는 40%에 불과했으며 주 1회, 1시간으로 복지원예사가 진행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예산’이었다. 인지도를 살펴보면, 응답자 중 96.1%가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56.9%가 원예활동프로그램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에게 기대하는 효과로는, 정서안정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많은 소장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관심은 많지만,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인식한다고 생각되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향상’을 목적으로 ‘주 1회’로 지속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의 예산확보와 원예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2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로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순모이리응애속(Euseius Wainstein) 응애류는 이리응애과(Phytoseiidae), 순이리응애아과(Amblyseiinae)에 속하며, 전세계적으로 193종이 보고되었다(Liao et al, 2017). 국내에는 순이리응애(E. finlandicus) 1종만이 기록되어 있다(Ryu, 2012). 잎응애류의 자생 천적자원 탐색조사 도중 본 속의 울릉도산 한국미기록종인 Euseius australis (Wu & Li, 1983)를 새롭게 확인하여 보고한다.
        2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누에는 약제, 면직, 식용, 동물 사료 등에 활용도가 높아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육되어 왔다. 뽕잎을 먹고 자란 누에가 사료를 먹고 자란 누에보다 생장주기가 일정하고 더 건강하게 생장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동물 장내 미생물이 동물의 면역과 생장에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뽕잎에 존재하는 미지의 미생물이 누에 생장과 면역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뽕잎 내생균을 분리하기 위해 뽕잎을 5mm 크기로 잘라 표면살균 후, 배지에 치상하여 자라나오는 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100개 이상의 뽕잎 절편으로부터 동일한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Pss)로 확인되었다. 또한, 뽕잎을 섭식한 누에의 장 속과 분변에서 이 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누에에 병을 일으키는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Pss의 항진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 Cordyceps militaris와 식물병원성 곰팡이 Botrytis cinerea, Fusarium graminearum을 대상으로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 생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이 50% 이상 감소되었다. 특히, 다량의 포자를 생성하여 곤충에 치명적인 병을 야기하는 B. bassiana의 균사 생장이 C. militaris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Pss의 배양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 bassiana의 포자 발아가 지연되었다. 앞으로 누에 장 속에 안착한 Pss가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면역력과 누에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계획이며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정적인 누에 사육에 활용될 수 있는 미생물 제제를 만들고자 한다.
        24.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violet B (UVB) exposure is a risk factor for skin damage resulting i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cell dea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PG) to improve its biological activities using a three-step steaming process.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PG and steamed PG extracts o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against UVB radiatio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as well as the underlying mechanisms.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PG extract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2,2-diphenyl-1- 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scavenging activity. ABTS and DPPH were shown by the 0, 30, and 70% ethanol extracts of 2S-PG and 3S-PG (IC50, 28~45 and 27~30 μg/mL, respectively). Treatment of UVB-irradiated cells with steamed PG (25~400 μg/mL) did not affect their viability. The streamed PG extract suppressed UVB-induc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addition, streamed PG extract reduced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expression in UVB-irradiated HDF, regulating nuclear factor (NF)-κB ex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eamed PG extract may be potentially effective against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UVB-induced oxidation stress.
        4,000원
        29.
        200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용 후 핵연료의 금속전환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용융염을 고형화하는 방법으로 실리카 함유 무기물을 이용하여 폐용융염을 열적, 수화학적 안정한 화합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리카 함유 무기물(SAP)은 일반적인 sol-gel process로 합성되었으며, 및 로 구성된다. 제조된 SAP을 에서 폐용융염과 반응시켜 각 금속염화물에 대한 반응특성 및 열안정성을 조사하고, PCT 침출시험법을 이용하여 수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LiCl은 와 로, CsCl는 CS-aluminosilicate와 로, 는 로, 는 로 전환되었다. 9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금속염화물의 전환율은 였으며, 까지 열감량은 1wt%이하로 TGA(Thermo Gravimetric Analysis)로 확인하였다. Cs 및 Sr의 침출속도는 로 매우 높은 내침출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AP으로 명명된 안정화제(stabilizer)는 금속염화물로 구성된 폐용융염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SAP을 이용한 폐용융염의 고화처리방법은 후속적인 안정성의 검증과정을 통하여 폐용융염의 최종처분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적인 고화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4,000원
        32.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olygonum multiflorum Thunb. is a herbaceous perennial belonging to the Polygonaceae family. And is an herbal medicine which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food, which is excellent in immunity enhancement, vocalization and blood trans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utility of the P. multiflorum. Also, we fermented P. multiflorum by mushroom mycelial, and analyzed for general components and amino acids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Methods and Results : The moisture content of P. multiflorum and fermented P. multiflorum by mushroom mycelial (FPM) were 7.35% and 59%,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cont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crude fat, ash and crude fiber content of FPM were lower than P. multiflorum. The content of soluble nitrogen free extract of P. multiflorum (79.7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PM (31.05%). Six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P. multiflorum, and the major amino acid was determined the arginine. The content of arginine and glutamic acid were 586.67 ㎎%, and 283.78 ㎎%, respectively. Six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FPM,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determined the arginine (654.68 ㎎%) and threonine (591.18 ㎎%).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P. multiflorum and FPM were 3,469.03 ㎎%, and 3,630 ㎎%,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ntent of crude fat, ash, crude fiber, and soluble nitrogen free extract of FPM were lower than the P. multiflorum,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different in two samples. Total amino acid content of FPM was higher than the P. multiflorum. As the mushroom fermentation progresses, it is confirmed that the amino acid content is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o develop the product using the P. multiflorum fermented with mushroom mycelial.
        3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vacuolar proteins are synthesized o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s a proprotein precursor and then transported to vacuoles. In vacuoles, they are converted into the respective mature form. TaVPE1 and TaVPE2 were isolated from the cDNA library that was prepared from the wheat kernels at 16 and 18 days after fertilization (DAF). Additionally, putative TaVPEs (TaVPE3, TaVPE4) were isolated by inverse PCR (IPCR) using GrainGenes database. Each open reading frame (ORF) encodes 495, 497, 495, 456 amino acids, respectively. TaVPEs were closely related in respect to peptide comparisons and their sequence homologies were ranged from 84% to 93%. The TaVPE genes showed various expression patterns in response to exogenous treatment of phytohormones. The transcript of TaVPE1 was detected slightly and steadily after exposure to all phytohormones and the accumulation of TaVPE2 transcript was increased from 24 hours in NaCl treatment. The transcript of TaVPE3 was increased from 48 hours in response to H2O2 and decreased after exogenous application of ABA and salicylic acid. In case of TaVPE4, the transcript of TaVPE4 were weakly detected all time points of each phytohormone treatment.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