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2

        2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자생하는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종자 휴면유형 분류 및 발아특성 구명을 목표로 하였다. 진달래속 종들의 배는 형태적휴면(MD)이 없는 완전히 발달된 직선(linear) 형태였으며, 만병초 및 꼬리진달래 종자는 탈리 시점에 이미 휴면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털진달래 종자는 population 수준에서 부분적으로 생리적휴면(PD)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털진달래의 이러한 생리적휴면 (PD)은 외생 지베렐린(GA3) 1,000mg・L-1 처리를 통해 타파될 수 있었다. 그러나 4℃에서의 저온층적처리는 털진달래 종자 휴면 타파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판단 했을 때,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적정 발아 환경조 건은 광조건・25/15℃(만병초), 암조건・20/10℃(꼬리진달래), 광 조건・25/15℃(털진달래)로 확인된다. 진달래속(Rhododendron) 에서의 종간 차이(interspecific variation)로 인해 모든 종이 종자 휴면유형 또는 발아특성에서 구별이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자생하는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생리・생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2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입된 관상용 부추속 종과 야생 부추속 종을 교배하고 새로운 품종을 얻기 위해서는 한국에 자생하는 부추속 종의 개화생리의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장처리를 통해 자생 부추속 4종의 화아발달 및 생육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은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의 Phyto-Garden System에서 실시되었으며, 온도는 25℃, 습도는 70%로 유지 되었다. 꽃눈이 각 1개씩 출현한 개체를 이용하여, 2019년 6월 28일에 장일(LD, 16hours), 단일(SD, 9hours), 외부환경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LD와 SD처리에서 8:00~17:00(9h)까지 는 296±13μmol・m-2 ・s-1의 광도 하에서 실험하였다. 이후의 추가되는 시간은 형광등을 이용해 약 5μmol・m-2 ・s-1로 일장연장 (day extension, DE)처리를 하였다. 생육조사는 생장특성으로 초장, 초폭, 엽수, 엽장을, 개화특성으로는 꽃의 수와 개화소 요일수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한라부추의 단일처리에서 엽수를 제외한 초장, 초폭, 엽장, 엽폭이 장일처리 및 외부환경 보다 높게 측정되어, 4종의 부추속 식물 중 한라부추가 추대 이후 단일처리에서 가장 생장이 왕성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단일처리에서 개화소요일수는 각각 강부추 51.8일, 둥근 산부추 46.5일, 선부추 43.7일 그리고, 한라부추 52일로 나타 났다. 반면 장일처리의 개체들은 실험종료일까지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외부 환경조건에서는 부추속 4종이 평균적으로 97.2일째에 개화하였다. 본 실험은 자생 부추속 4종이 단일처리에서 외부환경보다 화아발달이 촉진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4,000원
        24.
        202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obally, colon cancer is increased gradually and known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cancer death. Stevia, a substitute of sugar, is known to have many components including alpha-tocopherol and anthocyanin etc, as antioxidants.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whether stevia plant extract can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lon carcinogenesis induced by azoxymethane (AOM) and dextran sodium sulfate (DSS) in mice. Total 30 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2 groups; AOM/DSS treatment (control group), AOM/DSS + stevia extract (0.5%, in drinking water). After acclimation for 1 week, five weeks old mice received three intraperitoneal AOM (10 mg/kg b.w.) injections weekly for 3 weeks (0–2nd weeks of the experiment) and 2% DSS as drinking water for the next one week. AIN-76A purified rodent diet and 0.5% stevia extract water were supplied to the animals for 6 weeks. The colons of mice were collected and the number of aberrant crypt foci (ACF) and aberrant crypts (ACs) in colonic mucosa were counted after staining with methylene blue.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 in feces were determined. The numbers of ACF and ACs were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stevia-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DA concentration in feces was also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stevia-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y of colonic epithelium, hyperplasia of colonic epithelium was less observed in steviatrea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evia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lon carcinogenesis induced by AOM/DSS in mice and further study needs to illustrate the protective mechanisms.
        4,000원
        25.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ynbiotic materials and to apply them to the puffed grain products using electrostatic spraying technology.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selected through tests of acid resistance, bile salt resistance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The isolated Lactobacillus brevis CFM21 produced highest GABA production up to a concentration of 926.42 μg/mL when grown in MRS broth containing 0.8% MSG. The possibility of coated grains as a prebiotic material was evaluate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 scopy (CLSM). Rice bran extract containing 2% dextrose, 2% soytone, 0.2% potassium chloride, 0.6% MSG was produced 524.77 μg/mL of GABA. Citrus sinensis oil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Electrostatic spray showed much higher effectiveness than conventional spray in coating the puffed grain product through CLSM. Applying Rice bran culture and Citrus sinensis oil to puffed grain product using electrostatic spray could contribute to promote intestinal health of consumers.
        3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mboo forests are fast-growing, renewable resources, and their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has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Although bamboo can be used for many purposes, bamboo forests in Korea represent a generally underutilized resource. The main objective here was to perform an assessment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pecies of bamboo found in Korea. The main species of domestic bamboo are Phyllostachys bambusoides, P. pubescens, and P. nigra; we measured the air-dried density for each of the species, with obtained values of 0.89 g/cm2, 0.79 g/cm2, and 0.83 g/cm2, respectively, giving the density order of P. bambusoides > P. pubescens > P. nigra, with P. bambusoides having the highest density. We then measur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each species, which were 802.84 kgf/cm2, 624.69 kgf/cm2, and 743.77 kgf/cm2,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P. bambusoides > P. pubescens > P. nigra, with P. bambusoides having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Volume and maximum load decreased with increasing node height in the three bamboo species, whereas air-dried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Our results thus add to the pool of essential knowledge about Korean bamboo species, and consequently to the development of a potentially valuable domestic resource in Korea.
        4,000원
        3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eybees are inevitably threatened by various pathogens including Sacbrood virus (SBV) and Galleria mellonella. Recently, RNA interference (RNAi) has been suggested as a promising strategy for suppression of honey bee viruses. Also, Bacillus thuringiensis (Bt) has been widely applied for the control of lepidopteran pests such as G. mellonella.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develop dsRNA production platform using Bt. For this, the pHT1K-SBV vp1 vector which transcribes sense and anti-sense SBV vp1 gene under control of Cyt1Aa sporulation-dependent promoter was introduced into Bt strain NT0423 expressing Cry1-types toxins. SBV replication was suppressed in the worker A. cerana ingested dsRNA produced from the Bt transformant. Crystal proteins from the Bt transformant showed high level of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4th instar larvae of G. mellonella.
        3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전북지역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발생 양상과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뽕나무이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부안과 익산지역을 중심으로 수확 전 발생하는 주요 해충은 뽕나무이, 미국흰불나방, 뽕나무명나방, 노린재류, 꽃매미 6종이었으며 수확 후에는 미국흰불나방, 뽕나무명나방, 총채벌레, 미국선녀벌레, 노린재류 등 5종이 발생하였다. 또한 오디 생산용 뽕나무 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는 병해충인 균핵병과 뽕나무이를 동시에 친환경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리스 추출물(데리스 90%) 250배와 황토유황 500배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방제효과 97.6%로 효과적이었다. 선발된 유기농업자재에 효과적인 처리시기는 4월 상·중순이며, 7일 간격으로 3회 방제하면 94% 이상의 방제효과가 있고 약해도 발생하지 않아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한 뽕나무이의 친환경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리응애과의 많은 종들은 잎응애, 총채벌레 및 가루이와 같은 미소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원으로 이용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칠레이리응애와 같은 포식활동이 왕성한 일부 종은 현재 농업에서 전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정 지역이나 생태계 또는 작물에 서식하는 이리응애과의 다양성 조사는 포식성 이리응애의 활용을 위한 좋은 기초자료가 된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는 90년대에 1건에 그쳐 자생 이리응애의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를 도모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역의 6개도 17개 시군에서 2018년 7월부터 10월까지 자생 이리응애의 발생상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29과 57종의 식물종에 서식하는 20종의 이리응애를 확인하였다. 다양한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식물종은 벚나무로 긴꼬리이리응애를 포함한 6종이 출현하였다. 서식 식물종이 가장 많은 이리응애는 긴꼬리이리응애로 17종이 식물에서 출현했고, 두 번째는 긴털이리응애로 16종의 식물에서 발견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