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wrinkle effect of herbal extracts was investigated on the skin of in a model of animal irradiated by ultraviolet rey B (UVB). The female albino hairless mice (HR/ICR)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NC-non irradiated-vechicle), positive control group (PC, UVB irradiated vehicle) and herbal extract (HE) group. The herbal extract included the mixture of water and alcohol extract from Pleuropterus multflorus, Lonicera japonica Thunbert, Phellinus linteus, and Phaseolus radiatus. The herbal extract was treated dorsally with 0.2 ml per mouse five times a week for 12 weeks. At fifth week of the treatment, the animals were exposed to UVB irradiation for subsequent eight weeks three times a week. The intensity of irradi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30 mJ/㎠ to 240 mJ/㎠ (1MED: 60 mJ/㎠). Dorsal skins were obtained and stained with H&E to examine histological changes and epidermal/dermal thckness. The collagen fiber was also observed in Masson-Trichrome staining. Hydroxyproline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also carried out to detect the change of collagen amount and to investigate MMP-1 expression, respectively. The HE group showed a better appearance and weak wrinkling, compared to PC group, The treatment of herbal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hickness of dermis and the amount of collagen fibers compared to PC group (p<0.05). The treatment of H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ydroxyproline amount compared to PC group (p<0.05). The chronic UVB irradiation to hairless mice skin increased expression of MMP-1 but the treatment of H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MP-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erbal extract used in this study have a preventive effect on the UVB-induced wrinkle in a hairless mice model, partly due to the reduction of MMP-1 expression and increment of collagen amount.
본 연구는 사용 후 핵연료의 금속전환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용융염을 고형화하는 방법으로 실리카 함유 무기물을 이용하여 폐용융염을 열적, 수화학적 안정한 화합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리카 함유 무기물(SAP)은 일반적인 sol-gel process로 합성되었으며, 및 로 구성된다. 제조된 SAP을 에서 폐용융염과 반응시켜 각 금속염화물에 대한 반응특성 및 열안정성을 조사하고, PCT 침출시험법을 이용하여 수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LiCl은 와 로, CsCl는 CS-aluminosilicate와 로, 는 로, 는 로 전환되었다. 9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금속염화물의 전환율은 였으며, 까지 열감량은 1wt%이하로 TGA(Thermo Gravimetric Analysis)로 확인하였다. Cs 및 Sr의 침출속도는 로 매우 높은 내침출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AP으로 명명된 안정화제(stabilizer)는 금속염화물로 구성된 폐용융염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SAP을 이용한 폐용융염의 고화처리방법은 후속적인 안정성의 검증과정을 통하여 폐용융염의 최종처분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적인 고화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는 사용 후 핵연료의 금속전환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용융염을 고형화하는 방법으로 GRSS(Gel-Route Slabilization/Solidifcation)개념을 이용한 전처 리법을 제안하였다. Sodium silicate와 H3p04로 구성된 물질계에서는 SiO에 의해 형성되는 반응모듈 내에서 휘발성 핵종은 열적으로 안정한 화합물로 전환된다. 얻어진 생성물은 붕규산 유리매질과의 반응을 통하여 Li는 LiPO 형태로 유지되며 Cs 및 Sr은 유리매질내에 포용될 수 있다. 또한 sodium silicate, HPO 및 ZrCl로 이루어진 물질계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WZP 세라믹 고화매질을 합성하였다. 이상에서 NZP구조가 형성되며, Cs가 Li보다 우선하여 NZP구조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RSS를 이용한 폐용융염의 전처리는 단순한 공정과 열적 안정성을 통하여 검증된 고화매질로 고형화가 가능토록하는 유효한 접근법이라 할 수 있으며, 수화학적 안정성의 검증을 통하여 ANL의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고화법에 대한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explains visualization of diagnostic system of 3D CAD data, IGES (Initial Graphics Exchange Specification), by using JNI(Java Native Interface) to connect between C++ and Java programming. The diagnostic system is to analyze IGES clearly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