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4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greement of manual muscle testing (MMT)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a hand held dynamometer for the posterior gluteus medius muscle, with and without lumbar stabilization,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was used to minimize the substitute motion of the lumbopelvic region during hip abduction in patients lying on their side. Fiftee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tester determined the MMT grades of the posterior gluteus medius with and without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Active hip abduction range of motion with an inclinometer and the strength of their posterior gluteus medius using a hand held dynamometer were measured with and without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in the MMT position. The agreement of the grade of muscle strength in the MMT,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both the active hip abduction range of motion and the strength of posterior gluteus medius were analyzed using the weighted kappa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pectively. The agreement of MMT with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weighted kappa=.92) was higher than the MMT (weighted kappa=.34)(p<.05). The inclinometer with pressure biofeedback unit measurement of the active hip abduction range of motion had an excellent intra-rater reliability (ICC=.90). Also, the hand held dynamometer with pressure biofeedback unit measure of strength of the posterior gluteus medius had a good intra-rater reliability (ICC=.85). Therefore, the test for muscle strength with pressure biofeedback unit will be a reliabl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MMT grades or amount of posterior gluteus medius muscle strength and the measurement of the range of motion for hip abductio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4,000원
        4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e body's movement from a sitting to a standing position (sit-to-stand task),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on the kinematic changes o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how pelvic tilt affects kinematic changes i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in the hip and knee joints during a sit-to-stand task. For this study, 33 healthy participants (13 female) were recruited. Each participant rose from a sitting to a standing posture at his or her preferred speed for each of three different pelvic tilt trials (anterior, posterior, and neutral), and the measured angles were analyzed using a 3-D motion analysis system. A one-way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with Bonferroni's post hoc test. In addition, an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ex differences in hip and knee joint kinematic changes during the sit-to-stand tas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ip and knee joint angle i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pelvic tilt postures during sitting in the pre-buttock lift-off phase (pre-LO) (p<.05). Compared to the posterior pelvic tilt posture, the anterior pelvic tilt posture involved significantly greater hip joint ad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knee joint adduction, and reduced internal rotation of the knee joint. 2) Sex differences were foun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or males in the initial and maximal angles in the frontal plane of the hip and knee joint (p<.05). Females had a significantly smaller initial abduction angle of the hip joint and a significantly greater maximal angle of the hip adduction joi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ecting a sit-to-stand exercise for pelvic tilt posture should be considered to control abnormal movement in the lower extremities.
        4,300원
        4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익산시는 KTX역세권,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도지정 등에 의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도시경관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종합적인 경관계획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익산시에 내재되어 있는 경관자원을 도출하여 자원의 보존, 연계방안을 설정하고, 둘째, 시가지 환경개선과 지역특색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바람직한 경관계획을수립하며, 셋째, 주민과 함께하는 경관계획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는 도농통합시 익산의 중심시가지인 15개 동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자원을 도출하고 자원의 가치및 중요도를 펑가한 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관유형은 자연경관, 시가지경관, 가로 및 철도경관으로 구분하였다.자연경관에서는 배산, 탑천, 대간선 수로의 보존 및 녹지의 네트워크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및 KTX 역세권에 대해서는 주요 지역에 대한 특정경관계획과 건축물 및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설정하였다. 가로 및 철도경관에서는 하나로, 송학로의 선형공원화를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였으며 철도변 경관저해요소 제거방안을 제시하였다.계획의 실행은 경관사업과 병행하여 주거지 경관정비는 주민 주도형 경관협정을, 탑천, 폐선부지, 하나로의 공원화사업은용도지구 지정을, 배산, 역세권, 대학로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함으로서 규제 및 인센티브가 상호 보완적으로 나타날수 있게 하였다.
        4,500원
        45.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의 향적봉지역(A)과 백련사지역(B) 및 안성지역(C)을 대상으로 2010년 4월부터 9월까지 산림환경과 조류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향적봉지역은 신갈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림과 주목, 구상나무 등의 아고산대침엽수림과 원추리, 철쭉 등의 초지가 형성되어있고, 백련사지역과 안성지역은 대부분 낙엽활엽수림으로 구성되고 계곡부는 들메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11~20cm 경급이 가장 많았으며, 30cm이상 대경목 비율은 백련사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향적봉지역이 가장 낮았다. 또한 엽층별 피도량은 향적봉지역은 하층부 피도량이 매우 높았고, 백련사지역은 8~12m의 중층부 피도량이 높았으며, 안성지역은 18m이상 상층부 피도량이 높게 나타났다. 덕유산국립공원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조류는 총 53종이었다. 각 지역별 종수와 밀도는 각각 향적봉지역이 25종 45.20 Ind./km, 백련사지역이 50종 58.63 Ind./km, 안성지역 35종 66.89 Ind./km로 백련사지역의 종수가 가장 많았고, 밀도는 안성지역에서 높았다. 우점종은 향적봉지역이 휘파람새를 비롯한 초지와 관목에 서식하는 종들이 우점하였고, 백련사지역과 안성지역은 오목눈이를 비롯한 수관층에 서식하는 종들이 우점하였다. 길드 구조는 모든 지역에서 관목층 영소길드와 채이길드 종이 높게 나타났고, 수동 영소길드와 공중 채이길드 종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흉고직경 30cm이상의 대경목 비율이 낮아 수동 영소길드 종들의 둥지목이 부족한 결과로 생각된다.
        4,500원
        46.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산림 식생을 상관조사와 현지식생조사를 토대로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은 4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지역 전체의 산림 식생 중에서 신갈나무림이 39.0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다. 다음으로 굴참나무림, 소나무림, 들메나무림의 순으로 차지하여 덕유산국립공원은 타 국립공원의 산림과 비교할 때 들메나무림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덕유산국립공원 식생을 환경구배에 따라 구분하면 낙엽활엽수림(참나무류림, 계곡림), 침엽수림(소나무림), 아고산림(주목림, 구상나무림, 철쭉관목림, 초원) 등 7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굴참나무는 어린 개체와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고 졸참나무, 서어나무는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아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 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은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나무, 물박달나무, 층층나무, 거제수나무, 구상나무, 주목은 어린개체와 큰개체의 밀도는 낮고 중간개체의 밀도가 높은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상태로 계속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철쭉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및 주목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81.2) 다음으로 들메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굴참나무, 철쭉, 층층나무, 주목 등의 순이었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는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나무와 주목은 당분간 우점도 상태를 유지 할 것으로 예상되며, 굴참나무와 층층나무는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상태로 계속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분류된 7개 군락과 12개의 환경 요인으로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과 주목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건조하고 Ca의 양료가 적으며 pH가 비교적 낮은 곳에 분포하였으며, 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수분이 비교적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나무군락은 남사면의 해발고가 중간 정도이고 pH가 낮고 Ca 등의 양료가 적은 건조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들메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수분이 많은 계곡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Ca의 양료가 많으며 pH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4,800원
        4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levels (0, 4, 8, 12, 16%) of added yam powder by measuring water content, color value, texture, and sensory quality. The water content of Sulgidduk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by increasing the amount of yam powder. The Hunter's L value of Sulgidduk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Mechanical texture parameters, such as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amount of added yam powder increased. The springiness of the 0, 4, 8 and 12% yam Sulgidduk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ut spring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6% yam Sulgidduk.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whereas cohesive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decreased. Springiness of the control sampl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Sulgidduk with added yam powder had the highest springiness level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days. Chewiness was highest during the first day in all Sulgidduk preparations. The 12% yam Sulgidduk was the best in color, flavor, taste, mois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lgidduk with 12% added yam powder had the best quality in sensory and texture analyses.
        4,000원
        49.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남 북사면 산림 식생을 TWINSPAN으로 분류하고 DCCA ordination으로 분석한 결과, 남사면에서는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및 들메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북사면에서는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물박달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거제수나무군락, 구상나무군락 및 주목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사면별 중요치를 남사면에서는 103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북사면에서는 137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가 남 북사면 모두에서 높은 중요치를 보였고 남사면에서는 신갈나무 다음으로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 순으로 나타났다. 북사면에서는 신갈나무 다음으로 들메나무가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당단풍, 졸참나무, 서어나무, 층층나무, 까치박달, 철쭉꽃 순으로 나타났다. 남 북사면에서 군락 간에는 종조성 및 생태적 특징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해발고도와 수분요소가 남 북사면에서 모두 군락의 분포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 남사면에 서는 T-N, O.M., Ca 양료와 pH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북사면에서는 Ca 양료와 pH도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000원
        5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and range of motion for measurement of passive shoulder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and to compare anterior glide distance of humeral head in three methods. Fifty healthy subjects and fifty patients with shoulder musculoskeletal pai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passive shoulder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by visual estimation, manual stabilization, and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s. In two trial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two examiner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3,1))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three methods was excellent (ICC=.77~.93) in both groups.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visual estimation method was poor (ICC=.20, .29), the manual scapular stabilization method was poor and fair (ICC=.09, .50), and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was excellent (ICC .86, .75)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 of examined range of motion by each examiner was significant in the visual estimation method and manual scapular stabilization method, but there was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s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pressure biofeedback unit was better than the other methods. The difference in distance of the anterior glide of humeral head was insignificant among all the methods. The pressure biofeedback unit method was the most reliable method, so it is proposed to be a new and reliable method to measure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4,000원
        5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시의 계획 및 개발위주의 정책은 기존의 도시와 마을을 가꾸고 정비하는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흐름과 더불어 주민참여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참여형태가 다양해지고 참여도도 활성화되고있다.최근들어 지자체, 시민단체,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민참여 도시․마을만들기가 시도되고 있으며, 국토해양부에서는도시․마을만들기 계획수립과 더불어 주민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도시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도시대학의영은 사전준비단계, 프로그램 진행단계, 사후평가단계로 구성된다.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인 국토해양부에서 주최하는 스튜디오형 도시대학의 운영과정 특성을 살펴보고, 2009년도 호남권도시대학 실제 운영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운영과정의 한계점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2009년도 호남권 도시대학의운영과정별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정책적)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중앙정부주최의 도시대학 운영은 규모에 있어 전국을 대상으로 운영함에 있어 참여자의 관심 및 결과물에 대한 의의가매우 크다. 이에 전국적 형평성을 고려한 도시대학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권역설정 및 스튜디오 구성의 한계점을 해결하기위해 권역별 광역․기초자치단체와의 협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결과물의 실효성(사업성)을 높이고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위해서는 프로그램 운영단계의 실습프로그램에 대한 범주화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4,000원
        53.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남덕유지역 낙엽활엽수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임분의 구조와 특성을 비교하였다. 남덕유지역의 낙엽활엽수림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그늘사초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굴참나무하위군락, 서어나문하위군락), 서어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및 층층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67.8) 다음으로 들메나무(44.8), 졸참나무(24.5), 당단풍(17.0), 층층나무(15.9), 쇠물푸레(11.5), 철쭉꽃(11.0), 까치박달(11.0), 쪽동백나무(10.9), 함박꽃나무(10.4), 서어나무(9.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는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들메나무는 계곡부에 한정적으로 출현하며 어린 개체의 밀도가 높아 지형적인 극상림으로 발달될 것으로 판단된다. 졸참나무는 어린 개체와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앞으로 계속 높은 우점도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남덕유지역의 낙엽활엽수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분류된 5개 군락과 11개의 환경 요인으로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양이온치환용량과 전질소(C.E.C, T-N)가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들메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수분과 치환성양이온(Ca, Mg, K)이 많은 곳에 분포하였으며, 졸참나무군락과 서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양이온치환용량과 전질소가 적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층층나무군락은 타 군락과 비교해 볼 때 중간지역에 분포하였다.
        4,600원
        5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 19세에서 35세 사이의 전북 지역 남녀 대학생 78명(156안)을 대상으로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원거리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프리즘 분리법, 마독스로드 검사법 등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원거리에서 수평 및 수직사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프리즘 분리법에 의한 수평사위검사에서는 전위 22명(28%), 외사위 48명(62%), 내가위 8명(10%)이었다. 2. 마독스로드 검사법에 의한 사위검사에서는 정위 30명(39%), 외사위 39명(50%), 내사위 9명(11%)이었다. 3. 프리즘 분리법에 의한 수직사위검사에서는 정위 68명(87%), 수직사위 10명(13%)이었다. 4. 마독스로드 검사법에 의한 수직사위검사에서는 정위 73명(94%), 수직사위 5명(6%)이었다. 5. 두 검사의 각각의 평균값은 프리즘 분리법 1.22△BI, 마독스로드 검사법 1.49△BI으로 측정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