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41.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 느타리버섯속에 속하며 미색 또는 약한 황갈색을 띄며 일반 느타리버섯에 비해 작고 폐모양이며 자실체는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침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순하며 향기가 있고,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은 강원도 내․외에서 수집한 산느타리버섯 10계통에 대하여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성을 검정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GWM-20107 등 4계통을 1차로 선발한 후 선발된 4계통의 단포자 분리 및 교배로서 교배계통 600계통을 육성하고, 육성된 교배계통에 대한 2차 선발을 하였다. 2차 선발 결과 강원도 자생종 수집계통인 GWM20107와 GWM20139와의 교배로서 4계통, GWM20107와 GWM20145와의 교배로서 4계통, GWM20107와 GWM20148과의 교배로서 16계통 등 총 24계통을 선발하였으며 그 중에서 갓의 색깔, 갓의 모양, 대의 모양과 길이 및 경도, 수량특성에 따라 GWM20107와 GWM20139와의 교배계통으로서 PP-m-151, GWM20107와 GWM20145와의 교배계통으로서 PP-m-178, GWM20107와 GWM20148과의 교배계통으로서 PP-m-418, PP-m-430 계통을 선발하였다.
        42.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차신고버섯(Agrocybe chaxingu)은 주로 차나무나 활엽수의 고사목 또는 뿌리에서 발생하며, 분류학적으로는 소똥버섯과, 볏짚버섯속에 속하며 이뇨(利尿), 건위(健胃), 풍습(風濕), 눈을 밝게 하며 아미노산 및 무기질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 일부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버들송이1호(Agrocybe aegerita)와는 속이 동일하나 유전자분석 연구 결과 종이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본 시험은 맛과 향기 등 기호도가 우수하여 재배가치가 높으나 국내에서 재배기술이 확립되어있지 않은 차신고버섯을 국외에서 수집하여 균사배양특성, 종균 및 재배배지개발, 농가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균사배양특성 조사 결과 합성고체 배지는 YMA(Yeast extract malt extract agar), 균사배양 온도는 25℃, 배지pH는 6.0이었으며, 기내배지의 적정 영양원으로서 탄소원은 Maltose 2.5%, 질소원은 Yeast extract 0.3%, 탄질율은 1:1, 무기염류는 KH2PO4 0.15%에서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병재배 배지로서 미송톱밥70+밀기울 30% 배지가 균사밀도가 양호하고 수량이 850㎖병당 82.2g으로 비교적 많았으며 액체종균 제조기술로서 배양용 플라스크는 진탕플라스크, 배양액량은 100㎖, 균사체디스크의 접종량은 4~5개, 배양기간은 17일에서 건조균사체 생산량이 많았다. 액체종균을 접종한 병재배 농가실증 시험에서는 액체종균 접종배지가 톱밥종균 접종배지에 비해 초발이소요일수가 길고, 발이율이 낮으며 수량이 감소하였다.
        4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핵균주 간 교잡을 통해 육성된 고품질ㆍ다수확 느타리버섯“청산”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균사생장적온은 27∼28℃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4∼17℃이다. 나. 갓색은 진회색이고 얕은깔대기형이며 발생형태는 다발형이다. 다. 대색은 백색이고 형태는 굵고 긴형이다. 라. 버섯의 균일성에 있어서 갓색과 갓형태의 이형개체 발생은 없었고, 배양기간에서도 지역간 균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 균상재배 시 초발이소요일수는 20일 내외, 자실체 생육일수는 4일이며, 수량은 농가실증시험에 평균 38 kg/3.3㎡을 나타냈다. 바. 청산느타리버섯은 균사활력이 강하며 적정생육온도에서 진회색을 띄나 적정온도이상의 재배환경에서는 갓색이 회색으로 바뀌어 품질이 저하되므로 생육온도 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사. 발이량이 많으므로 재배 시 환기조절에 주의하여야 하며 갓이 약해 부서지기 쉬워 수확 및 포장 시 특히 주의를 요한다.
        3,000원
        4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수한 약리기능성을 보이는 잎새버섯의 병재배에 적합한 새로운 품종 "함박"을 이핵단핵 (di-mono) 교잡육종법으로 육성하였다. "함박" 잎새버섯의 재배는 참나무 톱밥 75% + 포플라톱밥 25%에 영양원으로는 미강 15% 또는 옥수수피 10%를 혼합사용할 때 가장 좋았으며, 병재배와 봉지재배가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재배농가에서 현재 재배되는 버섯을 대체하기에는 배양기간이 길고, 재배시 습도관리가 까다로워 재배법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시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잎새버섯의 약리 기능성에 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함박 잎새버섯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 자실체발생온도는 15∼16℃, 생육온도는 15∼18℃로 기존품종에 비하여 다소 낮은 중온성이다. 함박자실체의 색깔은 갈색이며 갓 이면에는 장타원형의 관공으로 되어 있다. 병재배시 초발이소요일수가 잎새1호보다 2일 빠르고 수량은 병당 97g으로 높으며, 자실체 송이의 크기가 크며 색택이 진하여 품질이 좋다.
        4,000원
        45.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Kluyvera sp. CL-2 (KACC 91283P) on the growth of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L.).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treatments, no treatment (NT), twice application of Kluyvera sp. CL-2 before transplanting (KC1), and five times application around transplanting (KC2). We determin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s, and compar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watermelon among treatments. The treatment of Kluyvera sp. CL-2 at 1.0×106 cfu mL-1 significantly increased available P2O5. The organic matter showed to increase for all treatments, while soil pH, exchangeable Ca and Mg tended to decrease for all treatments. The leaf width was increased by 11.6% for KC1 and 26.2% for KC2 compared to 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yield, leaf length, fruit weight, fruit length, fruit width, and pericarp thickness among treatments. The contents of free sugars such as fructose and glucose were increased by microbial treatments but sucrose was not different from NT. The content of glucose in watermelon was increased by 13.8% in KC1 and 12.8% in KC2 compared to NT. The content of fructose increased by 14.6% in KC1 and by 39.8% in KC2 compared to NT. The results from the study imply that Kluyvera sp. CL-2 can be used to increase sugar content in watermelon.
        46.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ushroom Agrocybe chaxingu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this potential food. The moisture content was 88.9% in the fruiting body of A. chaxingu, and the proportions of ash, crude fiber,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0.9%, 1.4%, 7.2%, 2.5% and 0.4% by weight, respectively. A. chaxingu contained 1.29 mg/100 g edible weight of vitamin , and the contents of vitamin , vitamin , and vitamin C were 0.15 mg, 0.32 mg, and 18.4 mg per 100 g of wet mushroom. Potassium (3,318 mg/100 g, dry basis) was found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A. chaxingu. In addition, the mushroom contained many other minerals (all figures are mg per 100 g of dried mushroom) such as phosphorus (909.7), magnesium (141.3), sodium (12.7), zinc (7.4), iron (6.5), copper (2.8), manganese (0.8), and nickel (0.1). The results indicate that A. chaxingu is a valuable nutrient source.
        47.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실험은 울릉도와 오대산 산마늘 자생종의 종자의 특성 및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종자의 발아 양상과 가온개시기에 따른 종구의 휴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자의 특성에 있어 모양, 색, 탈립성은 2개 자생종이 비슷하였으나 그 외의 형질에서는 달랐다. 천립중는 울릉도 자생종이 14.8g 으로 오대산 자생종에 비해 2.1배였다. 울릉도 자생종은 채종 즉시 파종한 처리에서만 발아하였으며 화학제 처리효과는 없었다. 또한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86%, 평균발아일수 42일, 발아계수 2.05이었으며, 저온유수 및 저온습윤혼용처리에서는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오대산 자생종은 무처리 암장태에서 발아율이 70%,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0이었는데, 저온습윤 처리에서는 명장태에서 발아율 82%, 평균발아일수 47일, 발아계수 1.75로 광에 대한 반응이 달라졌다. 오대산 자생종 종구는 초상후 45일 이후가 되어야 휴면이 타파되어 가온개시시기로써 적합할 것으로 보여진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