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9

        43.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자녀존중과 부모존경을 위한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적용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황금원모델, TREASURE Talk 코칭모델, STOP모델을 재구조화하여 ‘마음꽃’ 자녀존중 부모존경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집단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녀존중 부모존경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전문가집단의 적합성을 확보하였다. 실험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자녀가 있는 학부모 38명을 표집하여 각각 19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녀존중과 부모존경을 위해 9회기로 구성된 ‘마음꽃’ 프로그램과 교육·훈련체계가 개발되었으며,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녀존중 척도와 부모존경 척도가 구성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결과 실험집단에서 자녀존중과 부모존경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실험집단의 추수 연구 질적분석 에서도 부모 자녀의 긍정적인 관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44.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크리스천 유아교사를 위한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2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수행하였다. 연구문제 1은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크리스천 유아교사를 위한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5시간의 워크숍과 다자간 통화방식 및 52개의 받은말씀카드를 활용한 5일간의 ‘받은말씀선생님코칭’이 개발·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은 ‘캐롤리더선생님’으로 명명되었다. 연구문제 2는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구성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153 coaching paper’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양적분석과 ‘받은말씀선생님코칭’의 내용을 Word Cloud 방법으로 해석한 질적분석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크리스천 교사집단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유아교육기관과 교회학교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 되어 크리스천 리더십코칭에 대한 이론적 확장에 기여해야 하고, 실천적 입장에서 크리스천 리더십코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학습이 단계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7,000원
        4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접목은 대목의 특성을 이용하여 환경에 대한 적응성 확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이용 할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에 적합한 대목을 탐색하고 수경재배에서 접목묘 이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경재배에 적합한 대목을 탐색하기 위하여 8개 대목 품종과 3개 재배품종의 생육과 양액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접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재배 품종 ‘대프니스’, ‘수퍼도태랑’, ‘미니찰’을 실생묘와 ‘비브로킹’, ‘맥시포트’ 대목에 각각 접목한 접목묘의 생육과 양액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경재배 대목 적응성 탐색 결과 토마토 품종별 엽 발생 속도가 다르고 엽면적의 차이도 컸다. 재배품종에 비하여 ‘맥시포트’와 ‘버팀목’이 양액흡수는 많았고, ‘닥터큐’, ‘올라운드’, ‘비브로킹’, ‘파이팅’은 흡수력이 떨어졌다. 재배품종을 ‘비브로킹’, ‘맥시포트’ 대목에 각각 접목하여 실생묘와 양액 흡수력을 비교하였을 때 ‘비브로킹’ 접목묘는 실생에 비하여 흡수가 적었던 반면에 ‘맥시포트’ 대목 접목묘는 흡수가 더 많았다. ‘맥시포트’ 대목 접목묘의 초장, 경경, 엽수는 실생묘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엽면적,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 뿌리의 부피는 접목묘가 훨씬 많았다. 품종별로는 ‘대프니스’와 ‘미니찰’은 접목에 의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장량 증가하였으며 ‘수퍼도태랑’은 상대적으로 접목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품종에 따른 접목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ffectively supplement vitamin D and increase the consumption of ear mushroom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ear mushroom supplemented with vitamin D. Cookies were made of 0%, 1%, 3%, and 5% ear mushroom powder treated by ultraviolet B. Increased addition of ear mushroom powder led to a decrease in the bulk density of the dough as well as a spread factor, color value, and hardness of the cook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ss rate, but the water content of the dough and cookies was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cookies added with 1~5% ear mushroom powd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0%.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ies added with 5% ear mushroom powder (23.8%) was 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0% (10.9%). The vitamin D2 content of cookies added with 5% ear mushroom powder (835.5 μg/100 g D.W.) was 4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0% (19.0 μg/100 g D.W.). Consequently, ear mushroom powder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cookies because of high valu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vitamin D2 content.
        4,000원
        4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이 성격에 따른 자신의 학습태도 특성을 파악하고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학습지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청소년 학습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시행하였다. 첫 번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 한 청소년 학습태도 척도의 문항 개발은 1차 문항선정 과정, 2차 문항선정 과정, 문항 검증 과정으로 총 3차의 과정을 걸쳐 진행되었으며 선정과 정을 통해 최종 70문항이 선별되었다. 두 번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학습태도 척도 검증을 위해서는 세 가지 방법이 수행되었다. 첫 번째 방법은 남․녀 성별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두 번째 방법은 에니어그램 세 가지 중심에너지 사고형, 가슴형, 배형과 비교 검증하였다. 세 번째 방법은 대학생 회고적 방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종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 한 청소년 학습태도 척도 총 70문항에 대한 검증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7,800원
        4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드름을 가지고 있는 중국인 20-30대를 대상으로 여드름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법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총 600부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560부 중 27부를 제외한 5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중국인의 여드름 발생원인 인식, 관리인식, 악화요인 인식 차이 분석 결과 ‘관리인식’ t=3.380, ‘악화요인 인식’ t=2.314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여드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30대보다 20대가 여드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인의 연령에 따른 여드름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대의 변화에 따른 여드름 관리 인식과 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고 한국인과 중국인의 여드름 인식에 대한 차이 비교, 추후 여드름 피부의 효과적인 관리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500원
        50.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멜론(Cucumis melo L.)의 코이어 배지 수경재배 시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기 위한 적정 착과 절위, 적심 절위 및 수확 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코이어 배지 슬라브(100 × 20 × 10cm)에 3주를 정식하였다. 양액은 야마자키 멜론 표준액을 이용하였고, 급액 농도는 ‘초기-중기(과실 비대기)-후기’의 생육 단 계별로 1.8-2.0-2.3dS·m-1 공급하였다. 착과 및 적심 절위 실험은 ‘피엠알달고나’와 ‘얼스아이비’ 2품종을 이용하였다. 착과 절위 실험은 8-10, 11-13 및 14-15 마디에 각각 3처리하였다. 적심 절위 실험은 18, 21 및 24 마디에 각각 3처리하였다. 과실 수확시기 실험은 ‘피엠알달고나’와 ‘얼스크라운’ 2품종을 이용하여 착과 45일, 50일, 55일 및 60일 후로 4처리하였다. ‘피엠알달고나’ 품종에서 11-13마디 이상 착과 시, 엽폭 28.2cm, 엽면적은 10,845cm2로 가장 컸다. 줄기 길이는 ‘얼스아이비’ 품종에서 11-13마디 착과시 147.6cm로 가장 길었다. 과중은 ‘얼스아이비’ 품종에서 11-13마디 착과시 2.0kg으로 가장 컸다.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SSC)은 ‘피엠알달고나’ 품종에서 8-10 마디 착과시 14.5°Brix, 24 마디 적심시 14.0°Brix로 각각 유의성 있게 가장 높았다. 착과 절위가 낮아 질수록 SSC값이 증가하는 경향이 두 품종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피엠알달고나’와 ‘얼스크라운’ 2품종 모두 착과 55-60 일 후 수확된 과실의 SSC 값과 과중이 가장 우수하였다.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대부분 SSC값은 착과 절위가 낮아지고 적심 절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고, 과중은 착과 절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착과 후 일수가 증가할수록 과실 의 SSC값이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품종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수 경재배 시 멜론 품종 별로 특성을 잘 파악하여 착과 절위, 적심 절위 및 과실 수확시기를 설정하여야 한다.
        4,000원
        5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월 15일경 본포에 정식하는 딸기 촉성재배에 필요한 묘령 75일 이상의 정식묘를 삽목을 이용해 육묘하기 위해, 어미묘의 정식 시기와 런너의 방임 시기에 따른 삽수의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시험 품종은 국내에서 육성된 ‘매향(Maehyang)’, ‘죽향(Jukhyang)’ 및 ‘금실(Kuemsil)’ 등 3품종을 사용하였다. 시험 1은 어미묘 정식 시기에 따른 삽수 생산량을 조사하 기 위해 20일 간격으로 2월 28일, 3월 20일 및 4월 9일에 어미묘를 정식하였으며, 6월 4일부터 7월 1일까지 2~3회에 걸쳐 삽수를 채취하였다. 시험 2는 어미묘의 런너 방임시기에 따른 삽수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해 3월 5일에 어미묘를 정식하였으며, 정식 후 20일, 40일 및 60일 간격으로 런너를 방임하였다. 그리고, 5월 29일부터 6월 26일까지 1~3회에 걸쳐 삽수를 채취하였다. 어미묘 정식 시기별 자묘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 2월 28일 정식구가 3월 20일 및 4월 9일 정식 구 대비 품종 별로 각각 29∼45%, 114∼165% 더 많았다(시험 1). 어미묘의 런너 방임시기별 자묘 발생량은 정식 20일 후부터 방임한 것이 40일 및 60일 후 방임한 처리구 대비 품종 별로 각 60∼ 77%, 104∼176% 증수된 것으로 나타났다(시험 2). 결과적 으로, ‘매향’, ‘죽향’, 및 ‘금실’ 3품종 모두 9월 15일경 본포 정식에 필요한 묘를 삽목으로 번식할 경우, 어미묘를 2월 하순경 일찍 심는 것이 삽수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어미묘에서 발생되는 런너는 정식 후 20일까지 제거한 후 방임하는 것이 삽수 생산에 유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국내 육성 신품종의 생력 육묘 및 품질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육묘시 스템의 개선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다.
        4,000원
        52.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육부의 개정교육과정(2015)에서 제시한 교육목표인 창의융합형 인재와 제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요구되는 글로벌 인재는 그 맥을 같이한다고 보고, 이러한 인재를 ‘글로벌 영리더’로 재개념화한 다음, 그 육성을 효과적으로 지 원하기 위한 모델-도구-프로그램을 개발·체계화하기 위해 3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수행하였다. 첫째, 코칭접근을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육성을 지원하는 마음의 길(MW : Mind Way) 코칭모델을 개발하는 것으로, 교육부에서 제시한 6가지 일반 역량을 재개념화하여 심성, 본성, 적성, 감수성, 창조성, 사회성의 6개 발달영역에서 통합적 탁월성(excellence)이 발휘될 수 있도록 통섭(consilience)적 접근을 통해 본 연구자에 의해 기 개발된 WISE 모델과 통합·개발하였다. 둘째, MW 코칭모델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핵심요소에 해당하는 ‘심성’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인 멋진 마음의 길(W-MW : Wonderful Mind Way)을 개발·타당화하는 것으로, ‘조하리의 창(Johari’s window)’을 원용하여 52가지 형용사로 구성된 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MW 코칭모델에 기반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반 아동‧청소 년을 위한 Grace & Force 프로그램과 크리스천 아동‧청소년을 위한 Grace & Force-CE 프로그램의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후속연구(2)에서는 Grace & Force 및 Grace & Force-CE 프로그램의 효과를 M-MW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MW 코칭모델의 이론적 타당성과 실천적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7,000원
        5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aronia (Aronia melanocarpa (Michx.) Elliott) contains higher levels of polyphenols and more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berries, it is a berry that is difficult to eat raw due to its strong astringent taste and lack of sweetne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nnin reduction of aronia by bioconversion method using mushroom mycelia cultures. Aronia and liquid cultures of Lentinula edodes and Phellinus linteus mycelia were mixed and then treated for 48 hours at 60°C. Tannin content,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and FRAP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 tannin content decreased from 64.2 mg ECE/g to 57.9 mg ECE/g (9.8% reduction) when treated with liquid culture of L. edodes and from 77.3 mg ECE/g to 47.9 mg ECE/g (38.1% reduction) from treatment with a liquid culture of P. linteus. Therefore treatment with mushroom mycelia culture solution may improve the palatability of aronia reducing the astringent taste.
        4,000원
        5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oybean sediments to diversify the availability of soybean. The cooking method selected for black soybean sediment preparation was a pressure cooking process without soaking, considering the isoflavone content. The black soybean sediments were prepared by the addition of 0, 10, 30, 50 and 100% (w/w) black soybean. When 0% to 100% black soybean was added to the black soybean sediments, the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increased from 53.17% to 54.41% and from 12.07% to 21.68%, respectively. The total isoflavone content of the black soybean sediments was increased from 2.69 μg/g to 696.09 μg/g, respectively,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The anthocyanin content of the black soybean sediments ranged from 279.29 μg/g to 387.8 μg/g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black soybean sediments range from 1.72 mg/g to 2.00 mg/g and 0.89 mg/g to 0.92 mg/g, respectively,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Given the isoflavones, total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 of the black soybean sediments, it is appropriate that the ratio of added black soybeans is at least 50% after the pressure-cooking process, regardless of soaking.
        4,000원
        6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모를 위한 코칭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조모에게 GRAND모델을 활용한 코칭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손자녀를 둔 실험집단 조모 18명과 통제집단 조모 18명을 대상으로 조모코칭리더십 개발과 향상을 위한 도구로 코칭리더십 스크립트 1개와 동영상 3개, 놀잇감 4개, 동화스크립트 18개, 각색동화 18개, 코칭리더십 톡톡보물주머니와 3회기 총 8 시간과정의 코칭 리더십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한, 조모 코칭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을 위해 관찰을 통한 아동-성인 상호작용코칭척도(CICAIO), CCTV모델에 기반한 성인-아동 부정적 상호작용척도(ACNIS), 황금원 모델에 기초한 지필테스트 (KP),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에 의거한 톡톡보물주머니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예비-사전-사후-추후 검증의 단계를 거쳐 분석되었다. 그 결과 실험집단 조모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 및 검증되었다.
        6,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