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 강교량 제작, 조립, 설계, 시공단계에서 상부모듈의 부품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교환하기 위하여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프로젝트에서 정보교환을 위하여 사용하는 국제표준인 IFC 모델을 활용한 부품정보 라이 브러리 구축방법을 제시하였다. 모듈러 강교량의 상부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정보를 IFC 모델로 표현하기 위하여 의미론적 인 관점에서 기존 IFC 모델에서 부품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엔티티와 모듈러 강교량의 구성요소를 매칭하여 적용하였으 며, 구성요소의 역할을 구분하기 위하여 매칭한 엔티티의 타입을 적용하거나 사용자정의 타입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부품 정보 라이브러리에서 부품 및 조립품의 정보를 해당단계에서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조립체계를 네 단계의 상세수준 (LoD)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IFC 모델로 표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속성정보를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IFC 모 델과 매칭하여 정의한 정보를 실제 모듈러 강교량 상부모듈에 적용하여 IFC 기반의 시범 라이브러리 정보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는 반응성애착장애 남아1명, 여아1명을 대상으로 사회화과정에서 구체적인 특징과 그 특징이 드러나는 상황과 양상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2011년 10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약 15주 동안 아동의 사회화과정을 교육과 학습, 놀이상황, 개별놀이치료로 선정하여 참여관찰을 통하여 사회화 개입에서 드러나는 아동의 사회화과정에 대한 특징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알아보는 것이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대상에게만 반응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치료자에 대한 인식반응과 주교사와의 상호작용, 주변 환경에 대한 무반응이며, 둘째, 혼잣말이 많은 특징이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자신에게 주문걸기, 짝지어 말하기, 자기보상하기로 요약되었고, 셋째, 지연반응은 현재와의 불일치, 반복 경험하기, 예측의 즐거움으로 요약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반응성애착장애아동에 대한 사회화과정에서의 특징을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반응성애착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기술 습득과정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이다.
지심도는 한려해상국립공원내 거제ㆍ해금강지구에 속하며 경남 거제시 일운면 옥림리에 위치하고 있다. 본 조사는 지심도 탐방로를 따라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6개 조사구(단위면적100㎡)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동백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지역에서 곰솔과 머귀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조록나무와 광나무; 왕작살나무와 사스레피나무; 육박나무와 생달나무; 육박나무과 센달나무 등의 종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육박나무과 곰솔; 머귀나무와 구실잣밤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519~1.022로 국립공원 내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심도의 탄약고 주변에 환경부에서 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야생식물Ⅱ급인 애기등이 10개체가 출현하였는데,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훼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었다.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편마비 환자 24명으로 전통적 재활 치료를 받은 대조군과 이와 더불어 가상현실 게임을 추가로 훈련한 실험군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나누어 총 16 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기능회복을 알아보기 위해 상지기능, 균형능력, 시·지각 능력, 삶의 질을 훈련 전과 훈련 6주후, 훈련 12주후, 훈련종료 4주후 추적 조사를 통해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균형능력, 시·지각능력과 삶의 질의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군은 상지기능, 균형능력, 시·지각능력, 삶의 질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군은 상지기능과 균형능력, 시·지각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하여 훈련한 결과 균형능력, 시·지각능력, 삶의 질 영역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많은 영역에서 유의한 기능회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한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초기부터 함께 가상현실 훈련을 실시하여 좀 더 많은 정보를 수집 한 후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올바른 프로토콜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지리산국립공원의 동부지역에 인접한 웅석봉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밤머리재-웅석봉구간에 방형구(400m2) 25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떡갈나무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웅석봉지역의 식생은 신갈나무가 가장 우점하고, 다음으로 떡갈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작아지는 반면에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우점치가 점차 커져 전형적인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혼효림으로 천이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소나무와 산초나무, 생강나무, 신갈나무와 진달래, 쪽동백나무와 철쭉, 쇠물푸레와 산초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과 물푸레나무, 층층나무와 히어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떡갈나무와 신갈나무, 비목나무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와 낙엽송, 굴참나무, 노린재나무와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09832~1.1102 범위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orean syllable structure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consonant clusters on the basis of the speech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8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2 females and 6 males). A total of 24 English monosyllabic words that formed 8 different quasi minimal triplets was employed and recorded. Each triplet consisted of mono-consonantal, bi-consonantal, and tri-consonantal words like pin, spin, spring or pin, pink, pinks. The three words at four triplets were differentiated by the number of consonants at the onset position and those at the other four triplets, at the coda position. Using a 5 point-scale scoring method, two native English speakers rated the speech data in terms of (i) intelligibility and (ii) the scoring of bi- and tri-consonantal words with three points being fixed on mono-syllabic words. The main finding was that the tri-consonantal words scored the lowest, bi-consonantal words were in the middle, and mono-consonantal words scored the highest. But, this general tendency held true only at the words dissimilar at the coda position. At the onset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mono-consonantal words scored the lowest. The in-depth analysis that followed the rating showed that a comparison of the words in terms of the syllabic intelligibility can be properly made only when each consonant comprising a syllable is intelligibly articulated on its ow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emic awareness ability and performance in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wo tests―a specially designed phonemic awareness test and an English L/C test―were used and a total of 268 high school students (132 males and 136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statistical result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ability to identify English phoneme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English listening ability. It was also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in a group of students showing a high level of L/C ability, where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for the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L/C ability. In addition, no major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As the global trend of Retro combined with the tendency of individualism which respects dramatic change and diversity in the 21st century, Goth subculture of Korea developed into various popular styles. This study, noticing the influences of Goth to the Korean youth culture and fashion trends, intends to examine the current fashion trends to analyze the various aspects of the influences of Goth to the Korean youth culture. To do this, various documents and numerous Internet materials on the Korean Goth culture ar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the Goth look images of popular stars, photographs from fashion magazines and fashion collections are gathered, analysed, and classified into types,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se types are comprehensively analy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unk Goth look, departing from the sensational and aggressive style of Punk look, expresses sexy and luxurious images, while Romantic Goth look shows the brilliant and cheerful style by mixing the cute girlish image and the elegant feminine image of exaggerated details and voluminous silhouette. Avant garde Goth look parodies Goth image by using the dramatic effects of Goth images or is expressed in performances. Sexy Goth look, which reveals the sexual attractiveness of men and women much more assertively, tries to do suggestive representation and excessive exposure of human body. Dandy Goth look, which has the simple and modern line, expresses the calm and chic feeling by employing basic items with minimized details and coordinating unique accessories for accent.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English pronunciation teaching in Korea has geared toward fluency, less focusing on accuracy. Since then the two technical terms, accuracy and fluency,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EFL literature in Korea, but in a rather confusing way. This paper is an endeavor to clarify these two concepts in terms of the viewpoints of Phonetics and English Education. From the phonetic standpoint, I argued that accuracy is more closely related to 'clear speech,' whereas fluency is applicable to either 'clear speech' or 'casual speech'. I also suggested two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English speaking fluency: one is the evaluation of weak form pronunciation: the other, sentence stresses. From a viewpoint of English Education, I reviewed some relevant literature and found that (1) accuracy and fluency are related to language usage and language use, respectively; (2) accuracy and fluency have been used as terms applicable to all four language skills in language learning, rather than speaking skill only: (3) a definition of fluency needs to be modified for its flexible use in ESL/EFL classroom setting; (4) a number of recent textbooks on pronunciation teaching include lots of useful fluency enhancing practices. As a conclusion, I summed up afore-mentioned discussions and presented some suggestion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future.
This study aimεd to ìnvestigatε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emic awareness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For this paπIC비ar research purpose thζ English name test and TOEFL LlC tests were employεd and a total of 3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κd in this εxpεriment. The English name tεst consisting of relativεly unheard 26 English namζs was specially dεsigned and adminisκrεd for the participants to depend on their own phonemic awarenεss ability, not applying their cognitive prior knowlεdge. whεn they transcribε:d the n잉nεs using the phonεtic alphabεts. Thε statistical result showed that thε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εfficient was .550* and it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303. This result c1ζarly demonstrated that the phonemic awareness ability was highly correlatεd with the overall Iistening comprεhension ability and implied thε need for implεmεnting the so-called bottom-up method for developing students' phonζrnic awareness ability at primary or secondary school levels.
본 연구는 효율적인 돼지 난자의 활성화를 통한 수핵란의 대량 확보를 위하여 ethanol, Ca-ionophore 및 strontium의 최적 농도 및 노출 시간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Ethanol은 10%에서 10분간 노출시켰을 때 난할율과 배발달 성적이 각각 51.4%와 45%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0.05), Ca-ionophore는 에서 2분간 노출시켰을 때 난할율과 배발달 성적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st
본 연구는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에 대한 조사연구로서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에 대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은 단계 0의 지각적 관심이 상대적 강도 98%로 가장 높은 정점을 이루고 있어 대부분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해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활용도에 대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영역별 활용도를 분석한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거의 활용하지 않는 수준(I수준)이 1.69%, 지구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갖고 활용하려는 준비가 되어 있는 수준(II수준)이 17.80%, 지구과학 교육과정을 반성적 사고없이 교사중심적으로 활용하는 수준(III수준)이 43.97%이었으며, 교육과정을 완전히 이해하고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활용하는 교사수준(IV수준)이 31.86%, 장기적 결과를 생각하며 동료들과 협력하여 더 나은 방안을 탐색하는 수준(V수준)이 4.69%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활용수준은 기계적 활용수준(3단계)으로 나타났고 수업목표 영역(평균 3.28)과 내용 영역(평균 3.28)의 활용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성격 및 이념 영역(평균 3.24), 수업자료 영역(3.18), 평가 영역(3.18), 수업방법 영역(평균 3.12)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는 0∼4년, 15∼19년, 20년 이상, 5∼9년 경력의 교사 집단 순이며 10∼14년 경력의 교사 집단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properties of half-cooked noodle was studied. The noodle were treated with lactic acid(0.1%, w/w), heat(10 min in boiling water) or their combination after cooking for 3 min, and irradiated at 0, 5 and 10 kGy. The noodle were stored at 25℃ for 5 weeks and microbial population, Aw, pH, and texture profiles were examined. Fungi were completely eliminated by gamma-irradiation with 5 or 10 kGy does. Number of aerobic bacteria were also decreased by 2 and 4 log cycles with dose of 5 and 10 kGy, respectively. The D_(10) values of aerobic bacteria were 2.34-2.95 kGy. Growth of the aerobic bacteria that survived even at 10 kGy of irradiatio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during storage. Acidification of half-cooked noodle was suppressed by gamma irradiation but A_w were not affected. Stickiness was decreased at the beginning of storage by gamma irradiation but was restored after 3 wee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amma irradiation would be useful to improve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half-cooked noodle.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히어리 군락이 지리산 국립공원 동부지역에 대규모로 분포하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군락지의 분포 및 맹아지 특성 그리고 군락의 보호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수행되었다. 각 계층별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소나무(134.15) 일본잎갈나무, 산벚나무, 비목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히어리, 거제수나무. 비목나무, 졸참나무, 노각 나무 그리고 관목층에서는 히어리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에 철쭉꽃, 진달래, 생강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맹아지 특성은 1개 방형구(25m2)에 평균 17.75개의 주간이 형성되고 1개 주간당 맹아지 수는 평균 6.00개 고사지는 2.80개로 조사되었다. 흉고직경급별 분포에서 생장지의 경우 흉고직경 1.0-4.0cm 구간에서 전체의 64.78%를 차지하였으며 대부분 2.0-3.0cm 구간에서 54.74%를 차지하여 히어리 군락의 중심계급이었다 흉고직경 1.0cm 이하의 고사지가 전체의 53.16%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근주에서 돋아나는 1년생 맹아지가 대부분 고사하였기 때문이었다 특히 히어리의 번식습성은 실생묘에 의한 번식도 가능하지만 본 조사지에서와 같이 수관이 울폐된 지역에서는 주로 근맹아에 의한 번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