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4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afety of liquid-type herbal preparations (47 samples) and beverages containing herbal medicines (18 samples), which are distributed in Gyeonggi province was studied by analyzing heavy metals,benzo(a)pyrene, preservatives and sugar content and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medicine and food based on the labeling standards. The herbal preparation is regarded as medicine and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beverages containing herbal medicine, which is food, based on the fact that the herbal preparation should be labeled with usage,dosage, efficiency and effect. The mean concentrations of Pb, As, Cd, Hg were found to be 0.014 mg/kg, 0.113 mg/kg, 0.004 mg/kg and 0.003 mg/kg in herbal preparation and 0.009 mg/kg, 0.122 mg/kg, 0.003 mg/kg and 0.002 mg/kg in beverages containing herbal medicines, respectively. In 10 cases of herbal preparations and 6 cases of beverages containing Rehmanniae Radix Preparata (Sukjihwang), benzo(a)pyrene was not found. According to preservative test on herbal medicine, dehydroacetic acid was found less than the indicated content in 6 cases out of 37 cases, which labeled with preservatives, and benzoic acid, dehydroacetic acid and methylparaben were contained with 164.0~198.0 mg/kg, 149.8~272.5 mg/kg and 88.4 mg/kg, respectively, in 3 cases out of 10 cases, which was not labeled with preservatives. Among 16 cases of beverages containing herbal medicines, 3 cases of preservative-labeled beverages had the preservatives, and the rest of all, which was not labeled with preservatives, did not show that they contain any preservative, therefore, it was suitable for the labeling standards. As a result of sugar content test, preservative-labeled products were not appreciably different from the others.
        4,000원
        4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고분자물질로는 Poly(ethylene oxide) (PEO)를 사용하였으며, 가소제로서 poly(ethylene glycol) (PEG)을 첨가하였고, 전해질염 및 I-/I3-의 공급원으로서 KI 및 I2를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바탕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내의 가소제로서의 PEG는 95%의 함량으로 주입되었으며, 전해질 내의 EO 1 mole 당 KI mole 수([KI]/[EO] 비)가 0.022, 0.044, 0.066 및 0.088이 되도록 KI가 주입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겔 전해질막은 상온에서 왁스(wax) 형태를 보였다. 낮은 KI 함량의 영역에서는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전해질막을 통한 이온전도도가 증가하였으며, [KI]/[EO]비가 0.066인 때에 이온전도도는 최대값을 보인 후 0.088로 증가하면서 이온전도도는 감소하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고분자 전해질막 내의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VOC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JSC의 경우 낮은 KI 함량의 범위에서는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JSC는 증가하였으며 [KI]/[EO]비가 0.044인 때에 JSC가 최대값을 보인 후 그 이상의 높은 범위에서는 KI함량의 증가에 따라 JSC는 감소하였다.
        4,000원
        4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공성 Poly(propylene) 분리막의 지지 하에 전해질 용액 (EC/DEC 1 : 1 혼합물 내의 LiPF6 1 M 용액) 내에서 DEGDMA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의 70℃ 열중합을 통하여 겔 고분자 전해질(GPE)막이 합성 되었다. 합성된 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은 AC 임피던스법 및 CV (cyclic voltametry)법에 의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겔 고분자를 전해질로, 그리고 양극 및 음극으로는 각각 LiMi0.8Co0.2O2 및 graphite로 이용하여 리튬이온전지(LIB)도 제작하였다. 열중합을 통하여 리튬 이온전지에 적합한 이온전도도(10 -3 S/cm 이상)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이면서 자체적인 성상을 유지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막을 얻을 수 있었다. 단량체 함량 5%의 전구체로 제작한 겔 고분자 전지는 단량체 함량이 7.0% 및 10.0%인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고율 및 충-방전 효율을 보였다.
        4,000원
        4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고분자물질로는 Poly(ethylene oxide) (PEO)를 사용하였으며, 가소제로서 poly(ethylene glycol) (PEG)를 첨가하였고, 전해질염 및 I - /I3 - ,의 공급원으로서 KI 및 I2를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바탕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내의 가소제로서의 PEG 함량은 0%에서 85%의 범위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PEG 함량 전 구간에서 고분자 전해질막은 그 형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하는(self supporting) 완벽한 고체 전해질막의 형태로 제조되었다. PEG 함량이 증가하면서 전해질막을 통한 이온전도도와 I3- 이온의 확산도계수는 증가하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고분자 전해질막 내의 PEG 함량이 증가하면서 그 효율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4,000원
        4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올라이트 분리막 제조 시 제올라이트 골격 내에 존재하는 Na+ 양이온을 K+ 이온과 Ca2+ 이온으로 교환하여 보다 효율적인 물/에탄올 혼합물로부터 물의 분리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Na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각각의 0.5 M KCI CaCl2, 80℃ 수용액에서 4시간 동안 이온교환 하였다. Na+ 이온을 K+ 이온으로 교환한 결과, 이온 교환 전 총 투과플럭스는 900g/m2⋅hr∼2,500g/m2⋅hr이었으나 이온 교환 후 600g/m2⋅hr∼2,000g/m2⋅hr 정도로 낮아졌으며, 이온 교환 전 600∼2,200의 선택도를 나타내던 분리막의 선택도가 이온 교환 후에 850∼2,500까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Na+ 이온을 Ca2+ 이온으로 교환한 결과,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전체 투과플럭스와 선택도 모두 이온 교환 전 후 유사한 결과 값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친수성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유효세공경을 제어하고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여 유기물/물 혼합물 분리에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유기물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f food preservatives, sulfur dioxide an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was conducted on 73 seasoned dried fishes(41 squids, 17 filleted fish, 6 Alaska pollack, 9 others) collected from domestic markets and internet. Among preservatives, only sorbic acid was detected in 25 samples including 23 seasoned dried squids, 1 seasoned filleted fish and 1 seasoned dried Alaska pollack with a range 0.01~0.92 g/kg. Sulfur dioxide was detected from one sample(seasoned dried squid) and its content was 10.5 mg/kg. All samples were contaminated by total aerobic bacteria, and the degree was 3.00~6.45 log10CFU/g(average level was 5.09 log10CFU/g).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most of the seasoned dried fishes were appropriate for Korea food standard, yet biological hygiene control will be needed constantly.
        4,000원
        4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적, 기계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물/에탄올 선택도를 이온교환 실험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높이고자 하였다. K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직접 합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Na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합성한 후 이를 다시 이온교환 하여 K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공급되는 에탄올의 농도 변화 및 투과 증발실험 온도의 변화가 투과플럭스와 물 선택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온교환 실험 후 전체 투과플럭스는 감소하였고 물 선택도는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4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결정핵으로 작용할 수 있는 동일한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다공성 지지체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수용액에 분산시킨 다음 이 수용액을 튜브형 다공성 세라믹 지지체에 일정 유속으로 공급하고, 세라믹 지지체의 반대편에 진공을 유지하여 일부 수용액이 지지체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지지체 표면에 도포하였다. 수용액 상에 분산된 제올라이트의 농도, 도포시간 그리고 분산 수용액의 공급속도 등이 결정핵 도포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공급유속이 100 mL/min, 도포시간이 4분인 경우 농도가 0.01 wt%에서 0.3 wt%로 증가할수록 도포량이 0.0019 g에서 0.0208 g으로 증가하였다. 농도가 0.01 wt%, 공급유속이 100 mL/min인 경우 도포시간이 1분에서 4분으로 증가하는 경우 도포량이 0.0004 g에서 0.0019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농도가 0.3 wt%이고, 도포시간이 1분일 때 유속이 100 mL/min에서 300 mL/min으로 빨라진 경우 도포량이 0.002 g에서 0.01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포량이 증가할수록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통한 물과 에탄올의 총투과속도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4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지역 시중마트와 국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고 있는 견과류 및 그 가공식품 79건, 장류 29건, 곡류가공품 등 가공식품 50건에 대해 immunoaffinity column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HPLC-FLD로 아플라톡신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총 158건 중 45건(28.5%)에서 아플라톡신 오염이 확인되었고, 오염수준은 아플라톡신 B1으로서 0.02~3.13 μg/kg, 총 아플라톡신으로서 0.02~3.96 μg/kg 범위로 국내 기준치인 10 μg/kg을 초과하는 것은 없었다.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식품은 견과류 및 그 가공식품에서 34건(43.0%) 장류에서 8건(27.6%),그 외 가공식품에서 3건(6.0%)으로 견과류 및 그 가공식품에서 검출빈도가 가장 높았다. 식품을 개봉하여 1개월, 6개월 보관 후의 아플라톡신B1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땅콩, 옥수수스낵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된장의 경우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4,000원
        5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and evaluate the contents of caffeine in commercial palatability foods by HPLC. The contents of caffeine in commercial palatability foods were 9.0-49.2 mg in black tea, 35.9-141.4 mg in coffee, 12.4-48.0 mg in green tea, 7.1-16.5 mg in brown rice green tea, 22.8 mg in cocoa tea, 10.3-25.0 mg in cola and 10.0-48.2 mg in ice bar(coffee)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affeine extracted from black tea, coffee(roasted beans) and green tea were rapidly increased for five minutes from the extraction initiation, and were not nearly changed after ten minutes. Moreover, the caffeine contents were increased until 100℃ of extraction temperature.
        4,000원
        5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a simple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seven tar dyes such as tartrazine, sunset yellow FCF, amaranth, erythrosine, allura red, brilliant blue FCF and indigo carmine using aminopropyl amine cartridge an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the dyes in candies, soft drinks, ice bars and okchuns produced in Korea. The tar dye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b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The recovery rates of the dyes ranged from 65.8% to 99.6%. The contents of the dyes in candies, soft drinks, ice bars and octhuns were N.D.-50.1 mg/kg, N.D.-49.9 mg/kg, N.D.-56.0 mg/kg and N.D.-867.3 mg/kg, respectively. The types of the dyes used most frequently for candies, soft drinks and ice bars were tartrazine, brilliant blue and amaranth, respectively. Of the samples, tartrazine was used frequently, and indigo carmine was not used at all.
        4,000원
        53.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sodium saccharin, sodium benzoate and potassium sorbate in danmooji, jangachi, puffed cereal, mixed beverages, carbonated beverages, fruit and vegertable juices (excepted unheated fruit and vegertable juices) and dried fishery products(seasoned) in the market. Sodium saccharin, sodium benzoate and potassium sorbate were analyzed by HPLC at the wavelength of 215 nm with 0.05% ammonium phosphate dibasic acetonitril mobil phase(94 : 6), and recovery rates were 96.2-100.3%, 95.8-100.9%, 96.1-99.8%,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sodium saccharin were N.D.-1234.8 mg/kg in danmoogi, jangachi, puffed cereal and mixed beverages and sodium benzoate in mixed beverages, carbonated beverages, fruit and vegertable juices were N.D.-663.2 mg/kg, and potassium sorbate in danmooji, jangachi and dried fishery products were N.D.-2725.2 mg/kg.
        4,000원
        54.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침채류의 염장 발효과정중 나타나는 여러가지 화학적 성분과 조직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식물조직의 변화는 펙틴질의 성질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이러한 조직의 변화에 관여하는 요인들은 소금의 종류 및 농도, 절임시간, 온도, 예열처리, 염혼합물, 효소, 젓갈, 마늘첨가량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4,000원
        5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화장품의 살균⋅보존제 성분은 포지티브 리스트로 관리되고 있다. 포지티브 리스트는 적절한 정량분석법이 필요하지만 아직 분석법 개발이 미비한 상황이다. 본 실험에서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불꽃이 온화검출기(GC/FID)를 이용하여 살균⋅보존제 성분 14종을 동시분석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법의 validation 결과 특이성을 확인하였고, 검량선의 직선성은 dehydroacetic acid (0.9891)를 제외한 14종에서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검출한계(LOD)와 검량한계(LOQ)는 각각 0.0001 mg/mL ∼ 0.0039 mg/mL와 0.0003 mg/mL ∼ 0.0118 mg/mL로 나타났으나, dehydroacetic acid는 각각 0.0204 mg/mL, 0.0617 mg/mL로 나타났다. 반복성은 1.0% 이하로 나왔으나 dehydroacetic acid는 7.1%로 나왔다. 회수률은 96.9% ∼ 109.2% 나타났다. 본 실험방법으로 유통 중인 화장품 50건을 검사한 결과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살균⋅보존제는 chlorophene, phenoxyethanol, benzyl alcohol, parabens 이고, 모두 배합한도 이내로 검출되었다.
        56.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ethyl carbamate (EC) during the ripening of Maesil with sugar and Soju (19.5~35% alcohol contents) using a homemade method. Maesil, sugar and Soju were purchased at ordinary market in June of 2012. The preparation of sample for analysis was conducted by method of Henry et al. The analysis of GC/MS was used SIM mode (m/z 89, 74, 62). Quantific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the 62 ion and was based on an internal standard procedure. Good linearity was obtained with a regression coefficient (r2 = 0.993). Low detection limits (LOD) was achieved 4.31 ug/kg and recovery for alcohol was 74.8%. During 90 days, fermentation with sugar was not detected EC (under LOQ). 15 days ripened Maesil wine contained EC between non detected~32.7 ug/kg and 90 days ripened Maesil wine was 19.7~87.4 ug/kg. Higher proportion of Maesil and Soju increased EC contents. EC levels were increased 32.7 ug/kg to 87.4 ug/kg in the ratio of Maesil to 35% alcohol-Soju (1:1). In the ratio of Maesil to 35% alcohol-Soju (1:3) was increased non detected to 69.7 ug/kg. After 90 days, Maesil wine was filtered Maesil through a seive and ripened by 180 day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EC compared with non filtered. Treatment of filtered, EC contents was much higher level compared with non filtered. Therefore, this result showed that alcohol contents contribute to increase EC formation more than Maesi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