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

        4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earanc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glutinous(GSP) and non-glutinous sorghum powder(NGSP). As increasing the amounts of sorghum powder, proximate (moisture, ash and protein) and minerals composition(K, Ca, Mg and Na) of muffin were significant difference. The weight, volume, height, lightness(L-value) and yellowness(b-value) were decreased as increasing the amounts of sorghum powder.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ppearanc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quality of untreated muffin were 1.4, 1.6, 1.4, 1.0, 1.1 and 0.9, and muffin added 10% GSP and NGSP were scored relatively high. Antioxidant compounds contents of muffin added sorghum powder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he amounts of sorghum powder.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n methanolic extracts of untreated muffin were 0.74 and 1.31 ㎎ TE/g ER, respectively.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100% GSP muffin were 9.40 and 19.14 ㎎ TE/g ER, and 100% NGSP muffin were 10.59 and 18.78 ㎎ TE/g ER,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otabl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n muffin added sorghum powder are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health benefits.
        4,000원
        4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얼룩찰1호의 재식밀도별 이삭 특성은 4,700주/10a의 재식밀도에서 이삭길이와 개당이삭중이 양호하였으며 착립장률, 10a당 상품이삭수와 이삭중이 높아 수량성과 상품화율이 높았다. 2. 흑진주찰은 4,700주/10a의 재식밀도에서 이삭길이, 착립장률이 양호하였고, 가장 높은 상품지수를 나타내었다. 3. 얼룩찰1호는 출사 후 26일에 이삭특성과 상품형질이 좋게 나타났으며 식미검정에서도 외관, 질감, 맛 등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4. 흑진주찰은 수확시기에 따라 이삭특성과 상품성이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식미검정에서 출사 후 23일에 수확한 옥수수에서 맛과 질감이 우수하였고, 외관과 색에 대한 선호도는 출사 후 27일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출사후 27일에 수확한 옥수수가 가장 높았다.
        4,000원
        4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교량공법은 품질확보에 효과적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공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교량의 상부단면은 시공 중에 지간의 중앙부와 지점부에 일시적이나마 모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면들은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 정 모멘트와 최대 부 모멘트, 그리고 최대 전단력을 모두 경험하게 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압출하는 동안 발생하는 높은 일시적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압출추진코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부단면에 발생하는 이 일시적인 응력의 크기는 압출추진코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압출 중 상부단면에 발생하는 단면력의 크기를 쉽고, 빠르게 검토할 수 있는 해석식을 유도하였다. 개발된 해석식에서 고려할 수 있는 매개변수로는 압출추진코와 상부단면과의 지간 길이비와 중량비 그리고 강성비를 택하였다 특히, 개발된 해석식에서는 변단면인 압출추진코의 단면형상과 다이아플램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설계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해석을 통하여 압출추진코와 상부단면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매개변수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4,300원
        53.
        202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tele-monitoring system (TMS) in South Korea, monitoring of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discharged from nationwide water quality TMS attachments is possible. In additi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implementing a smart sewage system program that combines ICT technology with wastewater treatment plants. Thus, many institutions are adopting the automatic operation technique which uses process operation factors and TMS data of sewage treatment plants. As a part of the preliminary study, a multilayer perceptron (MLP)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MS data to identify predictability degree. TMS data were design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ach pollutant was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ediction, root mean square error analysis was conducted. TMS data from two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s in Chungnam were used. The values of RMSE in SS, T-N, and COD predictions (excluding T-P) in treatment plant A showed an error range of 10%, and in the case of treatment plant B, all items showed an error exceeding 20%. If the total amount of data used MLP analysis increases, the predictability of MLP analysis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54.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폐슬레이트 발생량은 매년 증가 추세로 지정매립장 용량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어 슬레이트를 대용량으로 안전하고 저렴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시멘트 소성로를 이용한 폐슬레이트 열처리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시멘트 소성로의 고온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중간 규모(pilot scale)의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폐슬레이트 내 석면의 비활성화 및 시멘트 원료로의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간규모 실험 장치는 플라즈마 토 치를 이용하여 실제 소성로와 동일한 조건을 가지도록 1/50로 축소·제작하였다. 실험조건은 시멘트 소성로의 소성 시간과 동일하게 20분간 200-2,000oC까지 100oC 간격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며 폐슬레이트의 비활성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플라즈마 고온반응기를 이용하여 열처리한 폐슬레이트의 XRD, PLM, TEM-EDS 분석결과, 1,500oC 이상의 온도에서 슬레이트 내 백석면이 고토감람석으로 광물 상전이가 일어나 비활성화되고 시멘트 구성 광물인 라나이트(Ca2SiO4)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추후 시멘트 소성로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슬레이트를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name’ is a foxtail millet(Setaria italica Beauv.) variety developed and registered by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ICS, RDA in 2014. This variety which collected from IT252182 was developed through pure line selection. ‘Daname’ is a early-maturing variety having 100 days of growth period from seeding to harvesting in Milyang of Korea. The culm length is about 97 cm which is 20cm shorter culm length than standard variety ‘Hwanggeumjo’, and it showed tolerant to lodging in field. The panicle shape is a cylindrical and the length is about 19cm. According to the grain, seed color and dehusked grain colors are orange and yellow and endosperm characteristic is non-glutinous. The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was about 3.81 t ha-1 in local adaptability test from 2013 to 2014 and it showed similar with standard variety ‘Hwanggeumjo’. As the addition amount of ‘Daname’ in rice increased from 0% to 30% and 100%, the antioxidant ability of ‘Daname’ added rice and hardness/stickiness balances were increased. But we could not find out the difference of hardness/stickiness balances between 0%and 10% addition. So, 10% addition amount was concluded to increase antioxidant ability regardless eating quality of cooked rice. (Variety registration No. 6243)
        56.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variety ‘Sodamchal’ was developed and registered by Department of So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13. This variety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Hwanggeumchal’ with brown grain and ’Jungmo4001’ with semi-dwarf trait. ‘Sodamchal’ is the first semi-dwarf stature with waxy endosperm ever developed in Korea. The yield performance of ‘Sodamchal’ was 2.95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2 years. It had 91 cm culm length, which was 58 cm shorter than that of ‘Hwanggeumchal’, 26.3 cm panicle length, 22.0 mm thickness of culm, 21.1 g in 1,000 grain weight. It could be reduce the lodging problem and also adapted to mechanized cultivation. ‘Sodamchal’ produces high quantities of polyphenol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y with diphenyl-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in pigmented testa. Above all ‘Sodamchal’ is suitable for use as a parental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improved pollinator parent lines for developing semi-dwarf sorghum with waxy endosperm and antioxidant activity. (Variety registration No. 6244)
        5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mpungchal’ is a Sorghum bicolor L. developed and registered by Department of Sothern area crop science, NICS, RDA in 2012. This variety was developed through pure line breeding method from ‘Namhae’ landrace. ‘Nampungchal’ is a medium maturing variety having 68 days from planting to heading of sorghum in Miryang, Korea. The plant is pigmented (purple), the glumes and grains are red-brown with waxy endosperm. The panicle has less compact shape and the length is 23 cm. The grain yield of ‘Nampungchal’ is about 2.28MT/ha that is higher 9%, when compared with standard variety ‘Hwanggeumchal’. Culm length and width are about 142 cm and 20.2 cm, respectively. It could be reduce the lodging problem by thicker stems and also adapted to mechanized cultivation. ‘Nampungchal’ does produce high quantities of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wit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igmented testa. The object of this breeding program is improvement for mechanized production with high yield potential, lodging resistant, and responsive to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58.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얀찰95는 2011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개발한 단교잡종 찰옥수수로 이삭의 색깔은 흰색이며 자식계통 KW44를 종자친으로 하고 KW35를 화분친으로 한다. 하얀찰95의 출사일수는 일미찰(표준품종)보다 3일정도 빠르고 하얀찰95의 이삭길이는 18.3 cm, 이삭직경은 4.1 cm였으며 착립장률은 90%로 일미찰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아밀로펙틴함량은 92%로 일미찰과 동일한 수준이었고 조명나방과 도복은 표준품종보다 우수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지역적응시험에서 하얀찰95의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일미찰과 유사하였지만 이삭중은 낮았으며 채종시험결과 종자친과 화분친간 개화기는 잘 일치하였지만 채종량은 낮았다.
        5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백찰’은 제주도에서 수집된 재래기장을 기본집단으로 하여 분리육종법을 통해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11년 육성된 신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는 표준품종인 ‘황금기장’보다 보통기 재배에서는 13일 정도 늦은 중만생종으로 생육일수는 109일 정도이며 기본영양생장 기간은 길다. 간장은 140 cm 정도로 ‘황금기장’에 비해 약간 크고, 도복에 강한 특성을 나타낸다. 이삭은 심한 하수형이며 이삭길이는 40 cm로 매우 길다. 종실색은 흰색이고, 낟알은 노란색이며, 배유의 아밀로스 함량이 8.2%로 찰기장에 해당하며, 낟알의 무기성분 중 칼슘 4.1 mg/100g, 마그네슘 38.0 mg/100g 으로 비교적 함량이 높으며 DPPH 소거 항산화활성이 ‘황금기장’에 비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수량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재배 평균 2.29 MT/ha로서 표준품종보다 15% 정도 증수되는 다수성이고, 기본영양생장 기간이 길기 때문에 중·남부 평야지역에 적응성이 높으며, 내도복 직립 초형으로 기계화 재배에 유리한 우수한 품종이다.
        6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미찰’은 자식계통 KY30을 종자친(모본)으로 하고 KY9를 화분친(부본)으로 하는 단교잡종 노랑찰옥수수이다. 황미찰은 2010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12~2014년 3년간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하였으며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4년 농촌진흥청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선정되었다. ‘황미찰’은 이삭의 색이 황색인 찰옥수수로 이삭의 형태는 중간형이고 일미찰(표준품종)과 달리 웅수 영의 기부에 약하게 안토시아닌 색소를 발현한다. 출사일수는 71일, 간장은 211 cm로 일미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일미찰보다 착수고는 낮고 분지는 적으며 이삭은 작은 편이다. 황미찰은 일미찰보다 깨씨무늬병과 도복에 강하다. 3년간 지역적응시험에서 황미찰은 일미찰보다 10a당 이삭수는 많았으나 이삭중은 적었다. 품질특성에서는 일미찰보다 과피두께가 45㎛로 얇았고 카로티노이드를 32.2㎍/g 함유하고 있었으며 관능평가 결과 전체기호도가 6.1로 식미가 우수하였다. 황미찰은 강원도 및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1대 교잡종이므로 매년 종자를 갱신하여 사용해야 하며 찰옥수수 열성인자를 보유하고 있어 다른 종류의 옥수수와 200m 이상 격리 재배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조명나방에 감수성이어서 적기 방제가 필요하고 밀식 재배시 이삭이 작아지고 이삭 끝달림이 불량해짐으로 가급적 표준 재배(60×25cm)보다 넓게 심기를 권장하며 강풍을 동반한 우기에는 배수 관리에 유의하여야 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