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

        43.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 태아 섬유아세포 유래 체세포복제수정란 이식으로 임신된 수란우가 분만예정일이 도래하였으나 분만징후가 없어 수정란이식 후 272일째에 dexamethasone 20 mg을 근육주사하고 24시간후 PG 25 mg과 estradiol 20 mg을 근육주사하여 분만유도를 실시하였다. dexamethasone 투여후 48시간만 분만징후를 나타내었으며, dexamethasone 투여후 50시간째에 40 kg의 수송아지를 견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분만시켰다. 그러
        3,000원
        44.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칡소의 귀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시에 전기 융합조건이 핵이식란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칡소의 귀세포와 한우의 태아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란을 이식하여 수태율을 비교하였다. 전기자극 조건에 따른 핵이식 후 융합율은 51∼68%의 범위로 차이는 없었으나, lysis 율은 1.9kv/cm의 10us, 20us에서 각각 0.0과 38.7%, 2.0kv/cm의 10us, 20us에서 각각 2.9와 37.5%, 2.1kv/cm의 10us, 20us에서 각각 21.2와 51.8%을 보였다. 난할율은 1.9kv/cm의 10us, 20us에서 각각 75.8과 69.8%, 2.0kv/cm의 10us, 20us에서 각각 76.9와 68.8%, 2.1kv/cm의 10us, 20us에서 각각 70.5와 68.5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반포 발생율은 1.9kv/cm의 10us, 20us 각각 19.5와 48.6%, 2.0kv/cm의 10us, 20us에서 각각 20.0과 40.9%, 2.1kv/cm의 10us, 20us에서 각각 44.2와 27.0%로 각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핵이식에서 공여세포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lysis율은 전압과 통전시간에 영향을 받으며 전압을 높이는 것이 통전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보다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배반포 발생에 유리 하였다. 한우의 태아섬유아세포의 핵이식후 생산된 배반포를 5마리의 수란우에 이식한 결과 두 마리가 임신되었고(40.0%), 칡소의 귀 세포를 핵이식한 후 생산된 배반포를 19마리에 이식한 결과 3마리가 임신되었다(15.8%).
        4,000원
        45.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체세포 및 체세포 핵이식란의 염색체 이상에 체세포의 계대의 영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한우 성축의 귀 조직으로 얻어진 세포를 공여세포를 체외성숙 후 제핵된 난자에 핵이식을 실시하였으며, 1.9kv/cm, 20/2times의 전기자극으로 융합후 5/ml의 ionomycin에서 4min, 1.9mM 6-DMAP에서 4h동안 배양함으로써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핵이식란은 CRlaa에서 4일간 배양 후 8 -cell단계에서 중기상의 유도를 위하여 상기 배양액 1ml당 0.05 colcemid에서 6-8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후, 6%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1% sodium citrate용액에 20분간 저장처리 후, methanol 5 : aceticacid 1 : distilled water 4로 1차, methanol 3: aceticacid 1 로 조성된 2차, methanol 4 : acetic acid 3 : distilled water 1의 3차고정액으로 1분간 재 침지시켰다. 고정 처리가 완료된 slide는 4% Giemsa용액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 하에서 핵형 양상을 검경하였다. 체세포의 5계대에서는 684개의 spreads를 검경한 결과 염색체 수는 72%가 정상으로 60개이었고, 24%가 60개 이하였으며 4%가 60개 이상을 보였다. 10계대도 5계대와 비슷하여 71%가 정상, 26%가 60개 이하, 3%가 60개 이상이었고, 15계대에서는 55%가 정상이었고, 30%가 60개이하, 15%가 60개 이상을 보였다. 10계대 까지는 mixoploid의 비율의 변화가 없었으나 15계대에서 현저하게 늘어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체외수정란과 핵이식란의 비교에서는 체외수정란은 250개의 spreads를 검경한 결과 염색체 수는 95.6%가 정상으로 60개이었고, 2.0%가 60개 이하, 2.4%가 60개 이상이었으나, 핵이식란은 204개를 검경하여 88%가 정상이었고, 4.9%가 60개이하, 7.1%가 60개 이상을 보임으로써, 핵이식란이 체외수정란에 비하여 염색체 이상의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계대에 따라 체세포의 염색체이상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체세포 핵이식에 따른 염색체 이상이 생길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은 농림부 연구비에 의해 수행되었음)
        5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culture system(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s; BOEC) and defined culture system(modified TALP ; mTALP) on the development of IVM-IVF embryos, and survival of in vitro produced blastocysts after freezing and thawing. Occytes from the slaugheterhous ovaries were matured and fertilized using general protoco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the following: 1.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blastocysts using 10% glycerol as cryoprotectant was higher in day 7 blastocysts than in Day 8 and 9 blastocysts from co-cultrue system, but survival rate of frozen-thawed blastocysts was higher in Day 10 blastocysts than in day 8 and 9 blastocysts from defined culture system. Regardless of their age, survival rate of frozen-thawed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o-culture system than in defined culture system. 2. The cell number of blastocysts was significanlty higher (p<0.05) in Day 7 blasotcysts than in Day 8 and 9 blastocysts from co-cultures, but the cell number of blsstocyst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Day 10 blastocysts than in Day 8 and 9 blastocysts from defined culture system. Regardless of the culture system, blastocysts with higher cell number showed higher survival rates after freezing and thawing.
        4,000원
        5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만사 제문을 통해 玉山堂 林柱翊(1741~1797)의 삶의 자취와 인맥기반을 살펴 본 것이다. 이 당시 강우지역 학자들이 출사의 길이 막혀 학문적으로 침체했던 만큼, 임주익 역시 출사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재야의 지식인으로서 가학을 계승하며 합천 지역에서 후학 양성에 주력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남아있는 저술이 없어 그의 삶과 학문의 자세한 면모를 알기는 어려우며, 다만 문중에서 보관해 온『옥산당만제집』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망인을 위한 만사와 제문은 의례에 수반되므로 실용적 목적성이 강하고 관습적이며 상투적인 글쓰기로 흐를 여지가 많다. 또한, 한 명의 망인을 추모하는 만사와 제문들은 내용적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유사한 구조와 표현 방식으로 일정 부분 공통된 내용을 담기도 한다. 이러한 경향들은 만사와 제문을 작품으로 두고 개성과 문학성을 말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망인을 위한 집단 창작이라는 배경 위에서 그들이 일관되게 서술하고 인정하며 공감하는 내용은 그 자체가 객관성을 담보하는 사실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이렇게 별도의 책으로 남아있는 만사와 제문의 경우 저술이 산실된 학자들의 삶의 실체에 접근해 볼 수 있는 유일한 통로가 되기도 한다. 살펴 본 결과, 옥산당 임주익은 합천의 은진임씨 가문에서 태어나, 석천 임득번 – 갈천 임훈과 첨모당 임운 – 임곡 임진부로 이어지는 선대 가학의 계보를 온전하게 계승한 인물로 평가받았다. 그는 과거에 뜻을 두었으나 끝내 성공하지 못했고, 이후 더욱 독서와 학문에 매진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을 쏟았다. 그리고 말년에는 평소 품었던 뜻대로 자연에 의탁해 은거의 시간을 보냈다. 은진임씨가가 대대로 孝友의 실천에 명성이 있었던 만큼 임주익 또한 부모를 극진히 봉양하였고, 아우 매악당 임주석과도 남다른 우애를 자랑하였다. 외아들 임경이 딸만 두고 요절해서 여러모로 고통의 시간을 보냈으나, 달관한 듯 평소에 그 슬픔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한다. 만사 제문을 쓴 사람들을 통해 임주익의 인맥 기반을 들여다보면, 당시 강우지역 학자들이 출사의 길이 막혀 학문적 침체를 겪던 터라 학문적으로 뚜렷한 구심점 없이 분산되어 사생 관계가 지역 단위 정도로 국한되어 나타났던 현실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주익은 합천군 대병면에 세거해 온 안동 권씨·벽진이씨·남평문씨·밀양박씨 가문과 대대로 쌓아왔던 世誼를 바탕으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였고, 그들과 때로는 戚誼를 맺고 때로는 사생관계를 맺으며 그 인맥 관계를 유지하였다.
        54.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Allergic diseases like such as atopic dermatitis, asthma, and rhinitis have recently increased both domestically and globall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select candidates with anti-allergic activity from plant resources. Methods and Results: Fifty-six plant extracts at 20㎍/㎖ were screened against β-hexosaminidase production and interleukin (IL)- 4 release in degranulated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The anti-allergy activity of thre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preliminary screening experiment, Polygonatum sibiricum F. Delaroche (root), Pyrus pyt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leaf), and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root) were measured at concentrations of 2 - 250㎍/㎖ in three cell lines as RBL- 2H3, HaCaT and Jurkcat T cells. The assay showed the root extract of R. glutinosa to have an inhibitory activity of 4.2% - 28.6% on β-hexosaminidase production from IgE-sensitized RBL-2H3 cells. Each extract of P. sibiricum and R. glutinosa reduced IL-4 release in IgE-sensitized RBL-2H3 cells, respectively. The leaf extract of P. pyrifolia var. culta showed a significantly potent suppressive effect of 10.2% - 74.7% on the mRNA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 HaCaT cells sensitized with TNF-a and INF-g, and showed inhibitory effect of –8.6% - 90.9% on the mRNA expression of IL-2 in Jurkat T cells sensitized with PMA and A23187.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ot of R. glutinosa and leaf of P. pyrifolia var. culta could be useful candidates as antiallergy materials.
        55.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Five medicinal herbs have been selected from the preliminary screening for in vitro anti-allergy activity (in RBL-2H3 cells).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edicinal herbs on allergic inflammation in other kind of cells. Methods and Results : Cells treated with five extracts prepared from Betula costata Trautv. (aerial part), Camellia sinensis L. (aerial part),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root),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leaf), and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root) were measured for mRNA levels of TNF-α on HaCaT keratinocytes stimulated by TNF-α /INF-γ and for mRNA levels of IL-2 in Jurkat T cells mediated by PMA/A23187. Pre-treatment with the five extracts reduced the mRNA levels of TNF-α in HaCaT cells and mRNA levels of IL-2 in Jurkat T cells. In particular, the leaf extract of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decreased the mRNA levels of TNF-α and IL-2. To determine the toxicity of the extracts from the selected medicinal herbs to HaCaT cells and Jurkat T cells, the viabilities of the cells treated with several concentrations of the five extracts were measured by MTT assay. Extracts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root),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leaf), and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root) (up to 250 ㎍/㎖) did not show cytotoxic effects on HaCaT cells and Jurkat T cells. On the other hand, 250 ㎍/㎖ of extracts of Betula costata Trautv. (aerial part) and Camellia sinensis L. (aerial part) reduced cell viability in both cells.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leaf extract of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ng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Therefore, the leaf of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anti-allergy/anti-inflammatory materials.
        60.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정란 이식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양질의 수정란 생산, 영양상태가 양호한 수란우의 선발, 수정란과 수란우의 발정동기화, 황체발육이 양호한 수란우의 선발과 숙련자에 의한 수정란의 이식 등의 제반사항이 최적으로 이루어 졌을 때에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수란우의 영양상태는 각양각색이라 판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란우의 사양관리 형태가 수란우 선발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수정란 이식의 효율증진을 도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