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41.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lope adjacent to the road, when it is difficult to observe the shape and if not at the bottom of the upper slopes or steep high due to the presence of the upper slopes of the exact visual inspection is difficult, there is a direct investigation lengthy complaints. In this study, the disadvantages of having the inspection personnel based complementary and mixed low-cost single global region is the number of slope maintenance and safety can be managed efficiently so that helicopters and hexa mobile survey vehicle was developed. Equipment developed difficulties in spatial or temporal slope Visually inspect efficient investigation to be able to support. Survey vehicle computer to the Internet environment because it contains Slope check immediately to determine test results sent to the Center, and the efficient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42.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지역별(북부강원산지, 북부수도권, 중부, 남부) 스키리조트 산업의 미래를 전망하기 위하여 스키활동 기간과 제설 작업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지역별 스키리조트의 대표 지점인 용평, 양지, 무주, 에덴벨리리조트와 인접한 관측지점의 1973~2011년간 기후자료와 A1B 시나리오에 의해 생산된 2012~2100년간 미래기후자료를 이용하였다. 오늘날 스키리조트는 북부에서 중부 지역까지는 개장일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남부 지역의 에덴벨리리조트는 스키 개장일이 늦고 폐장일을 결정하는 설질 유지 또한 불리하다. 한국의 미래 스키산업은 스키활동 기간과 제설 작업의 조건이 불리해질 것이다. 무주와 에덴벨리리조트는 미래에 스키장을 한 달도 개장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설 작업을 고려한 미래 스키장 산업은 지역 별로 비교할 때 북부산간지역인 용평스키리조트에서 제설일수의 감소가 가장 적으므로 미래 스키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가장 유리한 지역이 될 것이다.
        44.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용평 스키장의 개장 시기와 제설 작업 조건을 사례로 인접한 대관령 기상 관측 지점의 기후 자료를 이용하여 스키장 초기 제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 요소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스키장 개장 시기는 1990년대 들어서면서 점차 일러지며 최근에는 11월 중순에 개장하는 경향이다. 이는 스키가 최근 대중화되어 이용객이 증가하고 인공눈을 만드는 제설 기술이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장을 위한 슬로프 형성은 인공눈 형성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관광객 유치에 영향을 미치는 개장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초기 제설 작업이 중요하다. 초기 제설 작업을 위한 유리한 기후 조건은 일최저기온 -1℃ 이하이며 일 평균 상대습도 60~80%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초기 제설이 이루어지고 있는 10~11월의 기온과 상대습도의 변화는 분석 기간인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감소하는 경향이다. 일최저기온 -1℃ 이하인 날 중 일 평균 상대습도 60~80%에 해당하는 날은 10년에 28일씩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며 그 변화가 뚜렷하다. 이는 스키장 관광객을 서둘러서 유치하고자 하는 스키장 경영 관리 측면을 고려할 때 초기 제설 작업의 조건이 점점 불리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5.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나주지역을 사례로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작물 생산량 자료와 기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벼의 생산량은 최근 감소하는 경향으로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운량 및 강수일수와 부의 상관을 보인다. 보리의 생산량은 등숙기간의 기온 상승으로 생산량의 증가를 예측할 수 있다. 배는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기온 상승은 저온요구도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고 이는 나주를 배 재배 안전지역에서 제외시킬 것이라 판단된다. 감은 낮은 저온요구도로 인해 기온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채소류인 고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추의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적산온도가 꾸준히 증가하므로 나주의 기온상승은 고추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배추와 무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다. 배추 결구 후 강수일수가 많아지면 토양 내 수분이 증가하여 포기 무게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46.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10년(1996~2005년)은 관측 이래 기온이 가장 높은 시기이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이상 기상이 빈번하게 출현한 시기이다.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기온 변화는 1980년대 이후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경향이다. 이로 인하여 명년에 비하여 최근 10년의 열대야를 포함한 극한 고온과 관련된 지수의 증가와 한파, 서리일수 등을 포함한 극한 저온 현상의 감소가 특징적이다. 그러나 10년간 기온 변동 중 겨울철 극한 저온을 포함하는 한파 등은 지역별로 1990년대 말보다 2000년대 초 다소 증가하는 경향으로 겨울철 극한 저온의 불안정한 출현 가능성 고려가 요구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