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6

        4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기는 현재까지 약 3500여 종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 중에는 외형적으로 종 동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식적 격리가 완벽하지 않고 낮은 수준에서의 유전자 이입이 일어나고 있는 단발종(incipient species) 또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에 대하여 분자적 수준에서 관련된 유전자 정보 및 미소부수체(microsatellites)를 통한 개체군간 유전적 형태를 분석하여 이들의 유전적 분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종 내에서의 변이 또는 근연종간 유전적 차이와 유전자 이입을 확인하여 연구 대상 종의 진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자료와 이들의 생태 및 행동적 특징을 바탕으로 모기 방제 및 감염성 질병 전파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4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기는 말라리아, 황열,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사상충, 치쿤구냐, 일본뇌염, 지카 등의 여러 질병을 매개하고 있고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에 의한 지구의 기후변화는 이들 병원성 매개모기들이 점점 더 번성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목해야 될 감염성 매개질병으로 말라리아와 뎅기열은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 상승 요인으로 매개모기의 분포지역 확대와 함께 교통수단의 발달 및 국가 간 빈번한 교류에 의해서 유럽을 비롯한 오세아니아, 동아시아의 온대 지역에서도 감염자의 발생빈도 수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 요인과 인간 활동 등에 의한 요인으로 감염 지역과 매개모기 분포가 미래 예측 불확실성과 복잡성을 가지고 있지만 국내 침입을 막기 위한 해외 유입 방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방제뿐만 아니라 국가 간 방제 프로그램 공조를 통한 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 확산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5.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different effects of ultrasonic surface treatment on rice husk carbon (RHC) were studied. The RHC was treated by ultrasound in water, silane, and polyphosphoric acid. Particle size, chemical changes of the surface, dispersion, and surface area were all investigated. The ultrasonic treatment in acid increased the hydrophilicity of RHC. The ultrasonic treatment in silane produced silanol having amphiphilic property. The surface treatment of RHC in a water and acid medium with ultrasound increased the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of RHC.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ultrasonically treated RHC as a biofiller is an effective substitute to commercial filler. This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both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4,000원
        50.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ultry play an important role in meeting the protein demand through the supply of chicken meat and eggs, and antimicrobial-resistant bacteria can be transmitted from poultry to humans through the food chain. In this study, 716 E. coli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poultry industry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2016-2018. Among the cephalosporin antimicrobial, the rate of resistance to first-cephalosporins (cefazolin and cephalexin) was more than 18.0% but secondcephalosporins (cefoxitin and cefuroxime) and four-cephalosporins (cefepime) was less than 10.0%, without any differences based on the poultry. In quinolone antimicrobial, the rate of resistance to nalidixic acid was more than 46.0% in all poultry but ciprofloxacin was more than 44.0% in broiler farm and chicken meat and less than 18.0% in layer farm and egg. In addition, the rate of resistance to ampicillin and tetracycline was more than 30.0% without any differences in poultry, but the rate of resistance to amoxicillin - clavulanate, trimethoprim - sulfamethoxazole, imipenem and gentamicin was higher in broiler farm and chicken meat than in layer farm and egg. MDR was detected in 120 (60.6%), 113 (79.6%), 80 (37.0%), and 75 (46.9%) isolates from broiler farm, chicken meat, layer farm, and egg, respectively, with an overall prevalence of 54.2% (388/716).
        3,000원
        5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e venom, which serves as a weapon to defend the colony from predator attacks, induces an immediate local inflammatory response that causes acute redness and swelling at the site of the sting. This venom-induced inflammation is a rapid anti-predatory defense strategy of the bee against vertebrate predators. Although acute inflammation by venom from venomous arthropods, including bees, is a typical response, how venom acutely elicits inflammatory responses remains unknown. Here, we identify a novel mechanism underlying acute inflammation and provide a rationale for the presence of superoxide dismutase (SOD3) in bee venom. In mouse models, paradoxically, SOD3 in bee venom (bvSOD3) acts as a reactive oxygen species (ROS)-based harm-inducing system to promote acute inflammation. Exogenous bvSOD3 rapidly induced overproduction of H2O2 through endogenously produced superoxide by venom components, such as melittin and phospholipase A2 (PLA2), which then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and promoted the acute inflammatory response. Furthermore, a more severe noxious effect by bvSOD3 elevated a type 2 immune response, and bvSOD3 immunization protected against bvSOD3-mediated toxicity. Our findings that bvSOD3 promotes an acute inflammatory response and induces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against inflammation may offer a new approach in venom therapy/immunotherapy.
        54.
        201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 대상 암종으로 고려되는 화강암에서 방사성핵종의 장기 거동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화강암에 존재하는 우라늄의 용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응 시작 후부터 10일 동안의 반응기간 중 다른 반응용액에 비해 CO3 2- 농도가 높은 UD-CO3 및 UD-Bg 반응용액에서 우라늄의 용출량이 다소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Na 또는 Ca가 다량 함유된 반응용액에서 반응 60일 이후 우라늄 용출량이 다소 급격히 증가하였다. 각 반응용액에 의한 반응 270일까지의 우라늄의 용출량은 UD-CO3 (44.61 μg·L-1), UD-Bg (41.01 μg·L-1), UD-Na (26.87 μg·L-1), UD-Ca (20.26 μg·L-1), UD-CaSi (17.03 μg·L-1), UD-Si (10.47 μg·L-1)으로 지속적으 로 증가 하였으나, 반응 270일 이후 우라늄 용출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화강암 시료 내에 존재하는 우라늄이 반응용액과 상호반응에 의해 최대 용출될 수 있는 한계에 도달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우라늄 용출은 혼합된 반응 용액 내의 CO3 2- 존재와 수질의 지화학적 유형에 따라 우라늄의 용출 농도 및 용출 최대치가 나타나는 시점이 다르게 확인되 었다. 이는 시료와 반응용액의 상호반응 과정에서 용존이온의 영향에 의해 화강암시료와 반응용액 사이에 반응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7년 한해 동안 9개 공항만에서 중국 등 32개국, 120개 품목 8,660건을 조사한 결과, 523건에서 해충 검출이 있었다. 반입빈도가 높은 품목은 사과, 망고, 감귤, 배, 복숭아, 바나나, 오렌지, 오이, 고추. 호두(미탈각), 자두, 드래곤프릇, 포멜로, 토마토, 풋콩, 망고스틴, 대추 등의 순이었으며, 중국, 베트남, 일본, 필리핀, 대만, 태국 등의 나라에서 반입건수가 많았다. 해충 검출 빈도가 높은 품목은 망고스틴, 망고, 사과, 슈가애플, 람부탄, 고추, 자두, 구아바 등이며, 해충 검출 빈도가 높은 국가는 중국, 베트남, 태국 등이었다. 검출 해충류 중 금지해충으로 오리엔탈과실파리류(Bactrocera dorsalis sp. complex) 52건, 오이과실파리(Bactrocera cucurbitae) 1건, Bactrocera latifrons 2건이 있었으며, 과실파리류 32건이 동정중이며,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이 1건 검출되었다.
        5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농도 CO2 환경에 순응한 호접란 유묘의 CO2 교환 및 생장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환경 조절이 가능한 식물생장상에서 6주령 호접란 ‘만천홍’을 27주 동안 야간에 각각 400 ± 100, 900 ± 100, 1500 ± 100, 2100 ± 100μmol CO2·mol-1 농도로 유지해주었다. 처리에 앞서 발달해 있었던 최상위 성숙엽으로 측정한 야간 중 CO2 흡수량은 900μmol CO2·mo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 2100, 1500, 400μmol CO2·mol-1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처리 7주 이후 새로 발달한 성숙엽에서 측정한 결과, 2100μmol CO2·mol-1 처리구가 야간 중 가장 높은 CO2 흡수량을 보였으며, CO2의 흡수량은 처리 CO2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장 반응에서는 최상위 성숙엽의 엽장, 엽폭 및 생체량은 900, 1500, 2100μmol CO2·mol-1 등 고농도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나, 신엽 발달은 고농도 CO2 처리 하에서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호접란 유묘의 높은 CO2 환경에 대한 적응이 CO2 흡수와 신엽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900μmol CO2·mo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잎의 생장과 생체량이 다소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원인구명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59.
        2018.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tinu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i solar cells, which is the prevailing technology at this time. As opposed to the standard front-lit solar cell design, the back-lit design suffers no shading loss because all the metal electrodes are placed on one side close to the pn junction, which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and the incoming light enters the denuded back side. In this study, a systematic comparison between the two designs was conducted by means of computer simulation. Medici, a two-dimensional semiconductor device simulation tool, was utilized for this purpose. The 0.6 μm wavelength, the peak value for the AM-1.5 illumination, was chosen for the incident photons, and the minority-carrier recombination lifetime (τ), a key indicator of the Si substrate quality, was the main variable in the simulation on a p-type 150 μm thick Si substrate. Qualitatively, minority-carrier recombination affected the short circuit current (Isc) but not the opencircuit voltage (Voc). The latter was most affected by series resistance associated with the electrode locations. Quantitatively, when τ ≥ 500 μs, the simulation yielded the solar cell power outputs of 20.7 mW·cm−2 and 18.6 mW·cm−2, respectively, for the front-lit and back-lit cells, a reasonable 10 % difference. However, when τ < 500 μs, the difference was 20 % or more, making the back-lit design less than competitive. We concluded that the back-lit design, despite its inherent benefits, is not suitable for a broad range of Si solar cells but may only be applicable in the high-end cells where float-zone (FZ) or magnetic Czochralski (MCZ) Si crystals of the highest quality are used as the substrate.
        4,000원
        6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changing the period of light and dark influences the vegetative growth and the photosynthesis of Doritaenopsis Queen Beer ‘Mantefon’. Clones of Dtps. Queen Beer ‘Mantefon’ at 4-month-old stage were grown in a closed-plant factory system with four different light/dark cycles; 06/06 h, 08/08 h, 10/10 h, and 12/12 h.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set at 28oC and 80%, respectively, with a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of 160 ± 10 μmol·m-2·s-1. Repetitive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leaf length and the leaf width were the longest under 12/12 h closely followed by 10/10 h. The fresh weight and the dry weight of leaves and roots were the heaviest at 10/10 h treated samples. Different CO2 uptake patterns were observed from different light/dark cycles. Under 10/10 h and 12/12 h treatments, the CO2 uptake started at early dark period. When the light/dark cycles were shortened to 06/06 h and 08/08 h, the CO2 uptake started at the middle of dark period. Total CO2 uptake amounts were the highest under 12/12 h treatment followed by 10/10 h, 06/06 h, and 08/08 h treatments. Quantitative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vegetative growths under 10/10 h treatment were comparable with that of 12/12 h treatment. These studies indicated that manipulating light/dark can modify the photosynthesis patterns and vegetative growth of Dtps. Queen Beer ‘Mantefon’,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the production period.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