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5

        65.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atomic variations in the biliary tree may not be detected until adulthood and they can cause unexplained jaundice and biliary pain. Recognition of these anatomic variations is important to avoid an incorrect diagnosis and significant ductal injury during biliary surgery. Although there are numerous anatomic bile duct variations, an accessory cystic duct draining into the right hepatic duct is rare. We report a case of an accessory cystic duct draining into the right hepatic duct with cholelithiasis, in which the abnormality was identified b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confirmed by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3,000원
        6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pecies in the South Sea of South Korea. In order to estimate the biomass of anchovy, acoustic surveys, concurrently with trawling, were conducted in April, July, and September of 2013 and February of 2014 off the coast of Tongyeong and Yeosu. However, anchovies were found only during spring (April) and winter (February) surveys. To display only anchovy species confirmed by trawls on empty spaced echograms, virtual echograms were created. Three target strength (TS) values of anchovy were used: TS_z = 20 log L – (20/3) log (1+z/10) – 67.6 (Zhao et al.), TS_y =20 log L – 72.9 (Yoon et al.), TS_f = 20 log L – 71.9 (Foote). For anchovy schools combined with other species e.g., hairtail, squid, and Korean pomfret, their TS values were used to calculate an average TS. As a result, the anchovy biomass in the winter survey was approximately 75,000 tons (TS_z), 90,000 tons (TS_f), 114,000 tons (TS_y), respectively. The biomass in spring was 9,000 tons (TS_z), 9,200 tons (TS_f), 10,000 tons (TS_y). The sampling variance of spring was 70% and of winter was 30%. In order to manage anchovy resource sustainably, larvae and adult anchovy should be separately surveyed, the optimal area, date, and time for acoustic survey should be investigated, and the biomass survey should be done for relatively long and regular base.
        4,000원
        6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좌심실의 기능(left ventricular function)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임상적 진단이나 치료 전략 및 예후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동맥판막 협착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좌심실 기능평가를 dual source computed tomography(DSCT)와 two dimensional-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2D-TTE)와 비교하여 심장 검사에서 MRI의 활용에 대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08월부터 2010년 09월까지, AS로 진단된 환자 중, 2주 이내에 DSCT, 2D-TTE, CMR를 모두 시행한 93명(남성 48명, 여성 45명, 평균연령 57.7세)을 수술 전 비교 평가하였다. EDV, ESV, SV, EF은 M mode를 사용한 2DTTE, threshold-based technique를 사용한 DSCT, 심슨의 방법을 사용한 CMR을 통해 계산하였다. LV 기능의 파라미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CMR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분석한 두 명의 방사선사 사이의 관찰자간 일치도를 평가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값 0.05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 과 : 총 환자수는 93명(남성 48명, 여성 45명, 평균연령 57.71±13.7, 1.5T MRI 69명, 3.0T MRI 24명) 이었다. EDV, ESV, SV, EF을 위한 CMR과 DSCT는 매우 우수한 상관관계(r=0.93, 0.94, 0.83, and 0.85, 각각, p<0.01)를 나타내었으며, CMR과 2D-TTE는 우수한 상관관계(r=0.81, 0.92, 0.56, and 0.77, 각각, p<0.01)를 보여주었다. DSCT는 CMR에 비해 EDV(130.48ml), ESV(40.74ml), 그리고 SV(89.74ml)에서 낮은 측정치를 보였으나, EF(71.1%)은 높게 나타났다. CMR을 이용한 LV 기능 평가의 관찰자간 일치도 평가에서 매우 높은 상관관계(r=EDV; 0.96, ESV; 0.94, SV; 0.92, EF; 0.84, 각각, p<0.01)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DSCT의 회귀계수(Β=EDV; 0.91, ESV; 0.72, SV; 0.86, EF; 0.68)는 2D-TTE의 회귀계수(Β=EDV; 0.21, ESV; 0.53, SV; 0.13, EF; 0.32)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결정계수(r2)는 각각 0.88, 0.91, 0.71, 0.78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심슨의 방법을 사용한 CMR 측정은 재현성과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대동맥판막 협착증을 가진 환자의 LV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CMR의 폭 넓은 활용과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dentifies influential factors for invigorating the public management office (PMO) system for system integration (SI) projects in public sectors and analyzes the priority of each factor from the point of different stakeholders, i.e., owners, SI company, and PMO.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ur first-level influential factors are identified: legal system maintenance, owner’s capability, SI company’s capability, and PMO’s capability. Among them, the PMO’s capability is determin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by all the stakeholders. Among the second-level influential factors, the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engineers and project manager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among the PMO’s capability, whereas the reasonable consulting fee is consider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among the legal system maintenance. With respect to each stakeholder,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owners, while the reasonable consulting fee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MO.
        4,300원
        6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4년 현재보은지역의 대추과원에 유리나방 피해가 발생되고 있어 피해 현황 을 조사하였다. 유리나방(Lepidoptera: Sesiidae)의 유충은 대추나무의 줄기 속에 침입하여 형성 층을 섭식하며 피해를 발생 시키는데 소수의 유충만으로도 가지를 부러뜨릴 수 있 어 유리나방의 발생수가 많지 않더라도 많은 피해를 받을 수 있으며 유충 시기 대부 분을 줄기 속에서 보내므로 다른 해충에 비하여 방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 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복숭아유리나방(Synanthedon bicingulata)과 사과유리나방(S. haitangvora)의 발생 정도를 보은군 11개면 28개 농가에서 4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 15 ~ 20일 간격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복숭아유리나방의 발생은 5월 초순부터 시작되어 9월 중순 발생 개체수 는 농가 당 평균 22.5개체이고 7월 하순의 발생 개체수는 16.6개체로서 2회에 걸쳐 발생 최성기가 관찰 되었다. 사과유리나방의 경우 복숭아유리나방과 달리 발생량이 많지 않았다. 5월 하순 에 발생이 시작되어 7월 초순과 9월 중순에 각각 농가 당 평균 1.7 및 1.6개체로 많 은 피해를 주고 있지 않으나 향후 발생양상이 달라 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 관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7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추에 발생하고 있는 복숭아 심식나방에 대한 최적의 방제적기를 구명하기 위 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14년 보은지역 대추과원의 복숭아 심식나방 발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보은군 일원의 대추재배지 10개면 20곳에 성 페로몬 트랩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트랩 설치시기는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15 ~ 20일 간격으로 설치 하였고, 성페로몬 루어는 2개월 간격으로 교체하면서 트랩에 유살된 개체수를 조 사하였다. 조사결과 보은지역 대추과원의 복숭아심식나방 성충 최초 발생 시기는 5월 하순 이었으며 7월 초순까지 증가하였다. 그 후 7월 중순부터 8월 초순까지 감소하다 8 월 초순부터 8월 하순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8월 하순 이후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다 발생 시기는 7월 초순으로 농가 평균 22.4마리가 발생하였다. 비가림하우스 재배농가와 노지 재배농가의 복숭아심식나방 발생 양상을 비교 하였을 때 조사한 대추농가 대부분에서 복숭아심식나방이 발생하였고 발생 시기 및 패턴도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초 발생 시기는 재배환경별 모두 5월 하 순경이었으나 이시기에 비가림하우스 재배농가에서 성페로몬 트랩에 잡힌 포획량 이 평균 6.7마리로 노지재배농가 평균 포획량 0.6마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7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보은지역 무농약재배 대추과원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교란제 처리에 대한 시기별 방제효과를 간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교미교란 제 설치시기는 복숭아심식나방 최초 발생 전인 5월 하순과 다발생 시점인 7월 중순 으로, 각각 3농가씩 설치하였으며 성페르몬 트랩을 설치하여 교미교란제를 설치하 지 않은 관행농가와 트랩에 유인 된 개체수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성페로몬트랩은 5월 중순에서 9월 중순까지 15 ~ 2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무농약재배 대추과원의 복숭아심식나방 성충 최초 발생시기는 5월 하 순경으로 확인되었으며 관행재배농가와 발생시기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행 재배농가에서 복숭아심식나방은 5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발생하였으며 7월과 8월이 다발생기로 연 2회 발생하는 것으로 보였다. 교미교란제 처리시기별 무농약 재배 대추과원의 성페로몬에 유살된 개체수를 비교하였을 때 최초발생시기인 5월 에 설치한 농가에서는 설치기인 5월에 평균 4마리가 유살되었고, 교미교란제 설치 후부터 9월 중순까지 발생이 없었다. 다발생기인 7월 중순에 설치한 농가에서는 교 미교란제를 설치하기 전 인 7월에 평균 15.7, 15.3마리가 유살되었고, 교미교란제 설치후에는 9월 중순까지 발생을 보이지 않았다. 무농약재배 대추과원의 교미교란제처리가 복숭아심식나방 방제에 효과가 우수 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는 성페로몬 트랩에 유살된 개체수를 비교하여 교미교 란효과를 간접적으로 평가한 것이므로 추후 피해 신초율, 피해과율 조사 등 추가적 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73.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은 점액 생성과 췌관의 현저한 확장을 특징으로 하는 관내 유두상 종양이다. 드물게 주위 인접 장기와 누공을 형성한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에 대해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약 6예만이 보고가 되었다. 61세 남성이 6개월 동안 15 kg의 체중감소와 한 달 전부터 발생한 황달, 식욕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췌장의 몸통과 꼬리 부분은 다방성 낭종으로 대체되었으며 췌-십이지장루를 동반하였다. 췌-십이지장루의 입구로 점액이 배출되고 있었고 누공의 입구와 누공을 통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염증세포만 나왔다. 병리진단을 위하여 일반적인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누공을 통하여 삽입하여 췌관 내부를 관찰하였고 융모성 병변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서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을 수술 전에 진단하고 이후 췌장의 전절제술을 시행하여서 환자를 치료하였다. 누공을 통한 췌관경 검사가 수술 전 조직검사로 췌관내 유두상 점액 종양을 진단하고 환자의 수술 결정에 도움을 주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7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온실 내부의 태양 잉여열과 외부의 공기열을 선택적으로 열원으로 이용함으로써 히트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온실의 환기 지연을 통해 이산화탄소 시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온실 공조시스템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의 축열 과정은 태양 잉여열을 이용하는 내부순환모드와 외기열을 이용하는 외부순환모드가 온실 내부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구성하였으며, 히트펌프가동, 축열모드 절환, 난방 가동을 위한 6개의 온도값을 입력함으로써 축열과 난방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설계하였다. 단동온실을 대상으로 무환기 조건에서 기초시험을 수행한 결과, 태양 잉여열을 이용한 축열은 약 11시부터 시작되어 평균 3시간 30분 정도 유지되었으며, 주간의 온실 내부온도는 환기를 수행하지 않음에도 대부분 약 20~28oC 범위를 유지하였다. 주간 내부순환모드에서 시스템의 난방성능계수는 약 3.35로 야간 외부순환모드의 2.46 및 주간 외부순환모드의 2.67 에 비해 각각 36% 및 25%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시스템의 개선사항으로 태양 잉여열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축열조 관리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고효율 히트펌프의 적용이 필요하며, 온실의 무환기 운용에 따른 과습환경의 조성을 방지하고 태양 잉여열 수준이 높은 시기에 온실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환기를 운전모드에 추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7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산화탄소의 효과적인 분리 및 포집을 위해서 등방성 다공성 구조의 폴리프로필렌(pp) 격자의 내부에 제올라이트 입자들이 표면 덮임 없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흡착투과중공사막(APM: adsorptive permeation hollow fiber membrane)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질소 혼합물을 모사 기체혼합물로 사용하였는데, 공급되는 기체혼합물 모두가 APM을 투과하면서 이산화탄소는 APM 내 분포되어 있는 흡착제에 흡착되고 질소는 투과하여 배출된다. APM이 장착된 모듈을 제조하여 이에 대한 흡착투과실험을 수행하여 흡착투과 성능을 분석하였고 또한 포화 흡착된 APM을 진공압에서 탈착재생하여 그 결과를 재생효율과 에너지소모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4,000원
        7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면서 농업분야에도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친환경 유기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업을 위하여 녹비작물로 헤어리베치를 재배하여 이앙 1개월 전에, 트랙터 부착형 진압기로 진압하여 녹비작물을 피복하였다. 피복 직후 물을 관수하여 헤어리베치를 부숙시킨 후 경운작업 없이 이앙할 부분만 경운 동시에 이앙하여 녹비작물 피복 논에서 부분경운효과를 분석하였다.
        4,000원
        78.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 유기용매를 정제할 수 있는 고온, 고압에서 안정한 상업화 규모의 고효율 중공사 투과증발 막, 막모듈 개발, 상업 규모의 막분리 장치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는데 구성 요소기술은 1) 고온 고압 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브레이드 강화 중공사 막제조, 2) 중공사 막모듈 제조, 3) 막 탈수, 정제장치 시스템 설계 및 제작기술등을 개발하였다. 개발 중 공사 투과증발막은 독일의 슐츠막 보다 막 안정성과 막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막면적 4.6 m 2의 고효율 상업적 규모의 중공사 막모듈을 개발하였고, 200 L/hr 이상의 처리용량의 Pilot 규모의 투과증발 막장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 평막 혹은 중공사 막에서 모듈에서 볼 수 있었던 모듈내부에 공급액의 dead volume형성, 공급액의 채널링 현상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 개발 중 공사막과 막모듈의 특징은 고온, 고압의 유기용매를 중공사막 내부로 공급되어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어 막분리 효율이 우수하 며 특히 기존의 막제품의 대비 막모듈 가격이 저렴하고, 막성능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공급액의 열손실 적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할 뿐 아니라 막모듈 내에 중공사막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여 가해주는 진공이 균일하게 각 중공사막의 투과부 표 면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투과된 투과물을 막 표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투과속도 또한 우수하다.
        4,000원
        7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본의 과수 재배 일반현황과 기계화 동향을 살펴본 결과, 일본의 과수 재배면적과 농가 수는 점점 줄고 있으나 호당 경지면적은 증가하고 있고, 특히 3 ha 이상의 대규모 재배농가가 증가하고 있었다. 주요 과수작목의 10 a 당 평균 노동시간은300시간으로 벼 재배의 약 10배 이상을 보였으며, 포도가 가장 긴 455시간을 보였고, 감이 가장 짧은 186시간을 보였다. 과수 기계화율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로 재배측면에서 농기계가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재배양식의 표준화, 저수고화를 포함한 수체의 콤팩트화, 수형의 규격화 등 재배환경의 최적화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배양식의 표준화는 차세대형 기계화는 물론 이미 개발된 기술을 실용화함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기 때문이며, 재배양식 다양성이 기계의 보급대수를 제한하고 제조비용을 높게 만들어 보급이 진행되지 못하게 막는 방해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수체가 콤팩트하게 된다면 기계도 소형화 될 수 있고, 에너지와 기계 비용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체 피복형 작업기가 실현가능하게 되어 환경보전형 방제기와 각종 작업의 로봇화에도 크게 공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수형의 규격화가 진행됨으로서 기계개발의 가능성이 크게 넓어질 것이다. 즉, 노력이 가장 많이 들고 있는 전정과적과, 수확 등의 기계화 여부는 수형의 콤팩트화와 규격화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로 기계측면에서는 노동력 부족 해결을 위해 전정·제초로봇, 친환경 방제용 기계, 수확 운반기계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고령 농업인들을 위한 농작업 부하경감을 위해 파워 어시스트 슈트의 개발과 허리, 손, 무릅에 부담이 가는 작업의 부담경감을 위해 동작 패턴을 기억하여 재현 가능한 기술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