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6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hellinus linteus, Inonotus obliquus, and Pleurotus ostreatu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s were higher in fermented extracts than those in water extracts. The contents were 192.4mg/100 ml for Inonotus obliquus vinegar, 186.9 mg/100 ml for Phellinus linteus vinegar, and 156.5 mg/100 ml for Pleurotus ostreatus vinegar, respectively. EDA(electron donating ability) in Phellinus linteus that was highest among mushrooms was 83.9% in the water extract and 96.8% in the fermented extract. The growth of stomach cancer cells, SNU-719 was inhibited 62.4%, 65.5%, and 53.0% by Phellinus linteus vinegar, Inonotus obliquus vinegar, and Pleurotus ostreatus vinegar, respectively and also the growth of liver cancer cells, Hep3B was inhibited 67.1%, 68.3%, and 57.6% by Phellinus linteus vinegar, Inonotus obliquus vinegar, and Pleurotus ostreatus vinegar, while the growth of normal cell, DC2.4 was not affected. Even though Phellinus linteus and Inonotus obliquus showed higher inhibition in cancer cell growth, Pleurotus ostreatus can be efficiently used for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due to their cheap price in the market.
        6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mungbean cultivar “ohyeon”(Vigna radiata (L.) Wilczek) was bred from the cross between “uwon28”and “M94004”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JARES) in 2006. “ohyeon”has erect type, heart shape leaflet, green hypocotyl, black and straight pod when matured, and dull green seed surface. This new cultivar shows 42 g per a thousand seed weight. And sprout yield was up to 9% more than that of comparison cultivar “wool” It contains 12.0, 12.4 mg/g of vitexin and isovitexin, respectively, which was shown about 38, 31% more than comparison cultivar. It shows resistance to mungbean mottle virus, cercospora leaf spot, and powdery mildew in the normal cultivate condition. The average yield of this cultivar shows 1.62 ton/ha, which was 7% more than comparison cultivar.
        6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두의 식물체 부위, 수확시기, 생육단계, 파종기 등에 따른 주요 flavonoids의 함량 차이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Vitexin과 isovitexin은 녹두 식물체 부위 중에서 종실에만 분포하고 잎, 엽병, 줄기, 뿌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2. 녹두 종피에만 vitexin은 52.1mg~cdotg1, isovitexin은 51.7mg~cdotg1 분포하고 자엽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녹두 조 적 만기 수확에 따른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4. 녹두 잎에 다량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분리 동정한 결과 rutin이었다. 5. Rutin함량은 녹두 잎, 엽병, 줄기 순으로 많고, 종실, 뿌리, 협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6. 녹두 잎, 엽병, 줄기에 함유된 rutin은 3, 5, 7엽기 순으로 유묘기일수록 많았다.
        6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종자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벼 유전자원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비파괴적인 분석방법의 하나인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유용유전자원의 대량 선발체계 구축을 위해 실시하였다. 1. NIR스펙트럼은 700 nm 이하의 가시광선 범위에서 다양한 범위의 spectrum을 보였으며, 700 nm에서 2500 nm의 근적외선 파장에서도 spectrum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1400 nm에서 전체 spectrum의 정점을 나타냈으며 그 이상의 spectrum에서는 포화현상을 나타내었다. 2. NIR 검량식 작성에 이용된 144점의 선발자원이 가지는 단백질함량의 범위는 6.5~9.5% 였으며, 134점의 선발자원이 가지는 아밀로스함량의 범위는 18.1~21.7% 이었다. 3. 단백질함량과 아밀로스함량의 실험치(Lab data)와 NIR 데이터의 모집단 분포의 해석과 상관관계에 관한 통계분석 결과, 단백질함량과 아밀로스함량의 R2 (RSQ) 값은 각각 0.786과 0.865로 높게 보였으며, 검량식 표준오차(SEC)는 각각 0.442와 2.078로 유의한 값을 보였고, 또한 검량식 검정 표준오차(SECV)도 각각 0.541과 3.106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지만 검증시 상관정도(1-VR)는 0.68과 0.70로 검량식 작성시보다 낮은 유의성을 보였다.
        7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 수집종 80개를 대상으로 형태적 형질과 RAPD 분석을 하였고, 유전적 다양성을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품종군을 분류하였다. 주요 형태적 형질을 이용하여 쑥 수집종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군집간의 치대거리 0.82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였을 때 5개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I군에 10개 (15%), II군에 30개 (37.5%), III군에 20개 (25%), IV군에 3개 (4%), V군에 4개 (5%)를 나타내었다. RAPD분석에 이용한 10-mer primer 에 대하여 98개의 밴드를 얻었고, 그 중 다형성을 보인 밴드는 68개로 69%였는데, 선발된 Primer에서 증폭된 밴드 수는 8~11개로 다양하였으며, 평균 9.8개였다. RAPD에 의한 군집 분석에서 유연계수 0.63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한 결과 6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I, II군이 각각 전체의 34%, 36%를 차지하여 가장 큰 군으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III~V군은 모두 소군으로 15%가 속하였다. 특히 I군에는 약쑥이 많았고, II군에는 뺑쑥이 많이 분포하였다.
        74.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cdot 외 찰벼 111개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수량구성요소, 아밀로스 함량, 알칼리 붕괴도등 작물학적 형질과 RAPD 분석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검토하였고, 이들을 이용한 유연관계 분석에 기초하여 품종군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물학적 형질을 이용한 군집분석에서 찰벼 유전자원은 4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1군에는 51종(46~%) 이 차지하였으며, II군과 III군에 각각 25종(22.5~%) , IV군에는 10종(9~%) 이 속하였다. 특히 국내 수집종은 I, II군에 대다수 포함되었고, III군에는 indica 유전자원과 amylose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들이 대부분이 포함되었다. 2. RAPD분석을 통해 선발된 15개의 primer로 부터 117개의 밴드를 얻었고, 이 중 다형성 밴드는 81개 (69.2~%) 였다. 선발된 primer에서 증폭된 밴드의 수는 5~~12 개로 찰벼 유전자원은 평균 7.8개 였다. 3. RAPD에 의한 군집 분석시 9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유전자원의 77~% 가 I군에 속하여 가장 큰 품종군으로 분류되었고, 그 외 II-IX군은 소군으로서 23~% 가 속하였다. 특히 I군에는 indica형과 조생종들이 많았고, 소군인 III-IX군에는 국내수집 유전자원들이 대부분이었다.
        80.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rotenoids are the major pigment of pepper (Capsicum annuum) and tomato (Lycopersicon esulentum) which are very important foods in Korea. However the analysis of carotenoids is quite complicated because of their diversity and the presence of cis-trans isomeric forms of these compounds.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collect the achievements on the field of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carotenoids in food and some vegetables, to describe and critically evaluate the techniques, And to compare the benefits and shortcomings of the various chromatographic methods such as adsorption and reversed-phase HPLC and thin-layer chromatography. HPLC equipped with ultra-violet or photodiode array detection is most often employed in routine use for the analysis of carotenoids. Here, the method to analyze carotenoids by HPLC separation after solvent extration and purification from pepper powder samples done in our laboratory is also mention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