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62.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치를 10℃에서 8일간 숙성시켜 산도 0.6~0.7%로 숙성된 김치를 -70℃와 -20℃로 냉동하여 -20℃에서 저장하면서 배추 조직의 elasticity, hardness, 세포 조직의 변화, 드립양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70℃에서 급속 동결한 것과 -20℃에서 완만동결한 냉동 김치중 배추조직의 elasticity는 냉동저장 15일까지 감소하다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hardness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냉동 방법에 따른 변화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ontrol의 경우 세포벽이 매우 두꺼우며 세포의 모양들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20℃로 냉동 처리하여 해동시킨 세포벽들은 많이 손상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70℃로 급속 냉동 시료의 경우 세포벽의 손상 정도가 -20℃로 냉동 처리한 시료보다 덜 파괴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한편 냉동 저장기간 동안 드립의 손실량의 변화는 -70℃로 냉동 처리한 시료의 드립양은 3~4%정도로 -20℃로 냉동 처리한 시료의 5~6%에 비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64.
        1999.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5.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유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입자상물질은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어 국내외적으로 이의 규제가 점점 강화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전 호에 이어 이러한 입자상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필터인 세라믹 하니컴 필터에서의 기공 및 필터특성의 조절과 설계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또한 그 외 각종 필터, 즉 세라믹 화이버 캔들 필터, 세라믹 폼 필터, 세라믹 크로스 플로우 필터 그리고 금속 필터 등의 성능 및 제조방법을 정리하였다. 이와같이 후처리장치용 필터로는 수없이 많은 필터들이 개발되어 많은 실증시험을 거치고 있으나 이러한 필터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하여는 재료 측면에서의 보다 많은 연구,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66.
        1998.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유리분말의 소결시 그 기공량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소결조건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실험범위내에서 결합제 유리의 총기공량, 개기공량 그미고 폐기공량은 모두 소결온도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고 그 다음으로 소결온도에서의 유지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승온속도의 경우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실제공정에 있어 승온속도보다는 다른 소결인자, 특히 소결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결합제 유리의 기공량 조절에 가장 중요하리라 판단되며 실험계획법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공전조건을 모색할 수 있었다.
        4,000원
        67.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유자동차에 의한 오염물질의 배출은 주로 입자상물질과 NOx가 문제시되고 있는데 특히 입자상물질은 각종 호흡기질환의 원인 등으로 간주되어 이의 규제가 국내외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필터의 특성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경유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및 이의 규제현황에 대하여 다루었으며 각종 후처리장치의 종류 및 개발현황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필터인 세라믹 하니컴 필터를 중심으로 하여 원료 및 소재, 제조방법 그리고 열팽창계수의 조절 등에 대하여 논하였다.
        4,500원
        68.
        1996.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7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oriental cuisine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ietary changes, and Coriandrum sativum is also consumed steadil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for high-quality seed production of Coriandrum sativum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leafy vegetable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production throughout the year through house cultivation Methods and Results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August 2017 at a house facility located in Namwon-si (500 m above sea level) in Jeollabuk-do. Seeds of Coriandrum sativum were sown on March 10, 2017 and planting density was set at 4 levels of 10 × 5 ㎝, 10 × 10 ㎝, 10 × 20 ㎝, and 10 × 30 ㎝. Seeds were harvested on August 2 and 142 days after sow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C. sativum were investigated on May 16, 66 days after sowing.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good at 52.9 ㎝, 3.8 ㎝, and 4.1 ㎝ in planting density of 10 × 10 ㎝,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umber of leaflets per plant, 20.9 leaves in 10 × 30 ㎝ treatment was the best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The fresh weight of the overground part was the highest at 2,322 ㎏/10a in 10 × 10 ㎝ treatment. The total fresh weight of the overground and underground parts were 2,633 ㎏/10a and 2,572 ㎏/10a at 10 × 10 ㎝ and 10 × 20 ㎝, respectively. The total weight of seeds per treatment was the highest at 146 ㎏/10a at 10 × 10 ㎝ treatmen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o determine the proper planting density,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total weight of seeds were good at 10 × 10 ㎝ treatm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when C. sativum are cultivated for the purpose of seed production, the planting density of 10 × 30 ㎝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seed requirement and labor saving.
        7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osmetics materials by comparing growth characteristics, photosynthetic rate and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Rosa multiflora and Perilla frutescens at different altitudes. Methods and Results : This experiment is being carried out in April 2018 in Namwon (500 m above sea level) and Iksan (15 m above sea level) in Jeollabuk-do.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R. multiflora were investigated at the end of May. Flowers were collected at this time and used as samples for functional analysi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 frutescens were investigated in the middle of August and the ground part was collected at this time and used as a sample for functional analysis. Photosynthetic rates were measured using LCpro+ (ADC, UK). The marker compoun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using HPLC Alliance e2695 and 2998 PDA detector (Waters, USA). Photosynthetic rate (based on 1,600 μ mole of light intensity) was measured in mid-June as follows. The R. multiflora showed 9.8 μ mole․CO2/㎡/s in Iksan and 7.9 μmole․CO2/㎡/s in Namwon. The P. frutescens showed 15.0 μmole․CO2/㎡/s in Iksan and 8.8 μmole․CO2/㎡/s in Namwon. Overall,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r in Iksan. As a result of analyzing 18 kinds of marker compound, gallic acid and astragalin were found in R. multiflora,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were found in P. frutescens. Gallic acid and Astragalin of R. multiflora showed 5.4 ㎎/g and 28.4 ㎎/g in Iksan and 3.2 ㎎/g and 21.6 ㎎/g in Namwon, respectively.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of P. frutescens were 2.7 ㎎/g and 49.7 ㎎/g in Iksan and 2.5 ㎎/g and 33.6 ㎎/g in Namwon, respectively. Conclusion : Comparing the yield of the harvesting parts by region, both R. multiflora and P. frutescens was higher in Namwon.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four detected elements of gallic acid, astragalin,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all four components were high in Iksan.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due to optical environment difference.
        7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Matricaria recutita and Dendranthema indicum are known to have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and they are used as processed food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s a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lowers during cultiv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smetics using M. recutita and D. indicum. Methods and Results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October, 2017 at Unbong-eup (500 m above sea level) in Namwon, Jeollabuk-do. M. recutita and D. indicum were planted in late May. Then, flowers were collected in October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analyzed by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 method. Samples of flowers for component analysis were weighed in 0.4 g each and placed in a 20 ㎖ vial. GC/MS was used with Agilent Technologies 7890A/5975C (Agilent, USA). Column and carrier gas were DB-5MS (30 m × 0.25 ㎜ × 0.25 ㎛) and helium ga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 recutita flowers, we identified a total of 24 components. The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mono terpenes and ketones. The main compounds were β-ocimene (24.08%), artemisia ketone (22.82%), γ-terpinene (16.65%), cis-3-hexenyl isovalerate (3.92%), artemisiatriene (3.72%) and O-cymene (3.4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D. indicum flower, we identified 33 kinds of ingredients. The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The main compounds were sabinene (19.67%), trans-oiperitol (13.22%), α-phellandrene (10.05%), myrcene (7.53%), cineole (4.36%), α-terpinene (3.60%) and trans-ocimene (3.57%). Conclusion : We identified 24 flavor components and 33 flavor components in flower of M. recutita and D. indicum, respectively. Eight of the identified or estimated compounds were common to both samples. The reason why the flavor components kinds of M. recutita flowers were few was thought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collection time. The main flowering period of M. recutita and D. indicum were May and October, respectively, but the use of the samples collected in October seemed to have influenced.
        7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lthough Aster scaber is a perennial plant, it needs to be renewed every three years in the cultivation of the facility,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by extending the cultivation peri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facility grown A. scaber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soil conditioner for the extension of the plant cultivation. Methods and Results : Soil physics improvement material for the extension of cultivated aster scaber was selected from rice straw, rice husk charcoal and coir fiber. In this study, 1,000 ㎏ of coir fiber, 1,000 ㎏ of rice straw, and 1,000 ㎏ of rice husk charcoal were treated per 10a of the soil improvement material, and the untreated control was set as a control. After the test treatment, the growth conditions such as survival rate, plant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stalk diameter were investigated. The control group was investigated as the survival rate was 96.1%, plant length average was 16.3 ± 1.8 ㎝, leaf length average was 7.7 ± 1.2 ㎝, leaf width average was 7.4 ± 0.7 ㎝, and stalk diameter average was 1.97 ± 0.3 ㎜. rice straw treatment is as the survival rate was 95.8%, plant length average was 13.8 ± 1.9 ㎝, leaf length average was 6.5 ± 0.8 ㎝, the leaf width average was 5.9 ± 0.7 ㎝ and the stalk diameter average was 1.85 ± 0.4 ㎜. Rice husk charcoal treatment is as the survival rate was 99.7%, plant length average was 17.4 ± 1.7 ㎝, leaf length average was 8.4 ± 1.1 ㎝, the leaf width average was 7.5 ± 0.8 ㎝ and the stalk diameter average was 2.15 ± 0.5 ㎜. Coir fiber treatment is as the survival rate was 96.9%, plant length average was 16.9 ± 1.7 ㎝, leaf length average was 7.9 ± 1.4 ㎝, the leaf width average was 6.9 ± 1.0 ㎝ and the stalk diameter average was 2.01 ± 0.5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wth of rice husk charcoal was good and the survival rate was high and the growth of straw treatment was relatively low and the rate of survival was low.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reatment of the remedies. Conclusion :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A. scaber according to the treatments of the soil improvement agent,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 rice husk charcoal treatments were relatively high,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erefore, the use of rice straw, rice husk charcoal, and coir fiber as a soil improvement agent does not appear to have much effect on the initial growth of the A. scaber.
        76.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사선 이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 방사선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올바른 이해와 방사선 노출로 인한 유아안전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8월 C시와 G시의 유치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에 대한 이해수준 낮았으며, 방사선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을수록 방사선의 일반적인 유해성과 피폭유해성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 이해교육 정도는 낮았으나,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 이해교육의 필요성 및 요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교사교육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78.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천연물질에서 유래한 반추위 메탄저감용 친환경 첨가제 개발을 위해 각기 다른 종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세신 추출물의 항균활성, 항산화활성 및 in vitro 반추위 발효시험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였다. 접종된 균주들의 성장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생균수측정 결과 L. curvatus NJ40 균주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균주성장을 나타냈다(p<0.05). 항균활성측정 결과는 대조구 대비 L. curvatus NJ40 및 L. plantarum NJ45 균주와 발효된 세신 추출물이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vitro 반추위 발효실험에 세신 및 발효 세신 추출물을 적용한 결과,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대비 반추위 메탄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반추위 미생물 활력 및 사료이용 효율을 대표할 수 있는 휘발성 지방산 생성효율에 대한 부정적 효과 없이, 오히려 휘발성지방산 생성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반추위 메탄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0.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소방식에는 크게 미분탄 연소방식과 순환 유동층 연소방식으로 구분된다. 순환 유동층 연소방식은 기존 연소로에는 적합하지 않은 고유황탄, 저품위탄, 폐기물 등 모든 가연성 물질에 대하여 광범위한 원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연소로 온도를 약 900℃ 정도로 유지하고 암모니아를 분무하며, 석탄과 석회석을 혼소하여 노(盧) 내에서 직접 탈황을 실시하는 등의 공정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순환 유동층 연소방식의 석탄재(이하 CFBC-FA)는 화학적 특성이 미분탄 연소방식의 F급 석탄재와는 달리 CaO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할 경우 Free CaO 성분이 콘크리트의 이상 응결현상, 슬럼프의 손실, 지연제의 사용량 증가,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특히 콘크리트의 팽창, 균열 등의 문제를 발생하여 물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량 매립처리 되고 있어 재활용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FBC-FA를 건설재료(콘크리트 구조물 적용 제외)로 활용하기 위해 CFBC-FA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고로슬래그와 CFBC-FA를 활용한 무기결합재 물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CFBC-FA는 미분탄 연소방식의 석탄재와는 달리 CaO 함량 32.4%, SO₃ 함량 8.4%로 높았으며, SiO₂ 30.5%, Al₂O₃ 15.9%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Free CaO 함량은 17.3%, 비중은 2.8, 강열감량은 3.4%, pH는 12.4, 평균입경은 7.23 ㎛로 측정되었으며, 입형은 미분탄 연소방식의 석탄재와 같은 구형이 아닌 부정형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물성을 지닌 CFBC-FA를 개질처리하여 제조한 결합재의 수화열, 유동성, 강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개질처리한 CFBC-FA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수화열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화열의 발열성상은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및 슬래그시멘트와 달리 가수 후 2시간 이내에 최고 온도에 도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질처리한 CFBC-FA와 고로슬래그의 혼합비율이 55:45인 결합재와 슬래그 시멘트의 재령7일 압축강도는 각각 12.7 MPa, 17.6 MPa였으며, 28일 압축강도는 30.0 MPa, 29.8 MPa 로 측정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