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ene is mostly destroyed by the flames but fire fighter's fire suppression and rescue activities also destroys a substantail portion. Structures and furnitures which has already become weaken can be easily damaged. Or when structures built up by moving to another location, it's very hard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Also if it is restored, the object has no evidence that it has existed. In all scenes, the scene can't be preserved when quick extinguishment, rescue activities and preventation of fire spread is needed. On this paper, it reviewed the notes about the possibility of field damage by fire suppression and rescue squad's activities. Also it has reviewed the notes how to minimize the field damage by putting out fires and rescue activities by observing the precautions. The reviewed information will help to make guidelines for preserving the scene. By this, it is expected to make a field study exactly by collecting more valid evidence.
선체운동은 파랑에 기인한 선박의 동요이며, 주로 대형상선 및 여객선의 설계과정에 적용되어 왔다. 운동응답의 특성의 경우 파도의 진행방향과 선속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주어진 조건에 따른 운동응답 특성 해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선의 대표선종 인 Containership, VlCC의 수직운동(heave), 종운동(pitch) 실험결과를 운동성능계산 프로그램 인 Maxsurf Seakeeper를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와 비교 및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체적인 선체운동 RAO값이 실험값과 유사하였으며, 만남각이 추파에서 향파로 이동할수록, 낮은주파수 에서 높은주파수 영역으로 이동할수록 RAO값이 실험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태풍 등 자연환경적인 요인과 통항선박 등에 의해 발생하는 항만에서의 파도는 정온화가 필요한 항만시설이나 마리나는 많은 외력에 노출되어 있다. 이는 이동 및 정박 중인 선박이나 항만시설의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항만 시설 및 마리나가 설치된 정온해역이 필요한 해역에 최적의 부유식 소파제의 유체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상환경에 따른 소파효율 산출하고 부유식 소파제의 재원 변화 등에 따른 형상비에 대한 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울산항 항내 수역면적은 83km2로 전국 주요 항만의 평균인 127.5km2 대비 65% 수준인 반면 연간 선박의 입항척수는 25,432척으 로 통항량이 많으나 동시 정박능력은 35여척에 불과함에 따라 항만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박지 수역 확충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연구 는 비상정박지 개념을 도입하여 미포항 항계 내에 최적의 비상정박지 위치 선정을 위해 해상교통관측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정박지 예상 해역 에서의 선박의 진출입안전성, 통항안전성, 정박안전성 및 안전관리 측면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상이용자, 안전관리기관 및 학계 전문가 그룹 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기본 예비안과 최종 예비안을 도출한 후 이해당사간 협의를 통해 최적 배치안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부족한 울산항 정박지 해소를 위해 이해당사자간 원만한 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최적안을 도출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향후 진단 업무와 관련하여 이 해당사자간 마찰로 인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시 좋은 모범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레저선박의 대형화와 고부가가치화로 인해 설계 요구조건은 점차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제작공정 또한 기존보다 복잡해지고 있다. 해외의 레저선박 제작업체들은 PLM 개념 기반 3차원 모델 설계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이러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2차원 도면 중심의 전통적인 레저선박 개발 프로세스에 머물고 있으며, 일부 3차원 모델 기반 설계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있었으나 이는 매우 초기단계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DMU 기술을 레저선박 설계 프로세스에 적용하기 위한 초기연구를 수행하였다. DMU 모델 중심으로 레저선박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DMU 모델 기반 설계 프로세스를 정립하였고, 40 ft급 알루미늄 레저보트 설계사례를 통해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선미식 트롤선은 선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특징으로 종종 선미트림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항을 한다. 선미트림 상태로 장시간 운항 시에는 선박이 가지고 있던 고유한 선체운동특성이 변화하여 선박의 운항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미트림 변 화에 따른 선미식 트롤선의 종운동 특성을 선박설계 및 해석프로그램인 Maxsurf를 이용하여 평가 및 해석하였다.
When a fire breaks ou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fire, because combustible things around fire scene are usually burnt away. Among many causes of fires are electronic wires, this thesis deal with the destroyed sheath of electronic wires caused by fire. It was studied with the use of measurement devices focusing on the distinctions of wires and conductors. This study especially emphasized the process of deterioration, burning pattern, and composition of electronic wire conductor. It also h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distinctive cause of fire by some partial force. The fire prevention methods have been suggested through the analysing results of fire patter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useful material for analyzing various electrical fires.
레저선박의 발달로 인하여 고속화, 대형화에 따라 더불어 레저선박 운항에 있어 안정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로 인하 여 선박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장치인 핀킬 및 핀안정기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핀킬 주위 유동과 끝단에 서 발생되는 와거동을 추적해보고자 하였다. 실험조건은 Re=2.0×104이며, 영각변화에 따른 유동변화를 계측하고자 하였다. 실험모 델의 경우 핀 안정기의 단면형상을 실험조건에 적합한 NACA0012로 선정 하였으며, PIV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영각이 증가함에 따라 후류에 발생하는 와류의 규모가 확대되고, 외측에서 발생한 와가 내측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genotyping was executed by using 11 microsatellite markers (BM1824, BM2113, ETH10, ETH225, ETH3, INRA23, SPS115, TGLA122, TGLA227, TGLA53, and TGLA126) for diversity of 214 Hanwoo cows in Hoengseong area. Each marker's size and number of allele, observed heterozygosity, expected total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were analyzed by 11 Microsatellite marker. The average of size range was detected from 150.9 to 174.9 in Hanwoo cows of Hoengseong. The number of average allele was 10.0 that is similar to the average of Kangwon Hanwoo, which is known as 10.5 in the previous report. The average were 0.751 for observed heterozygosity, 0.760 for expected total heterozygosity, 0.725 for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in Kangwon Hanwoo, National Hanwoo and Korean Proven Bull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genetic improvement of Hanwoo cows in Hoengseong as a popular brand.
Over the past years, many research work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govern the performance of diesel engine. The air pollutant emission from the diesel engine is still a significant environmental concern in many countries. In the present study, new system of smoke reduction of diesel engine is proposed. This new system is using vacuum equipment and STS filter for capture smoke. To confirm new system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engine dynamometer.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smoke reduction ratio of this system was identified high reduction ratio than PDPF. But the power of this system application was measured 10% decrease than base engine performance. There were improvement effects of using STS filter than ceramic filter.
국보 1호인 숭례문 화재는 화재조사자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크나큰 아픔을 안겨 주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조사를 통하여 목조 문화재 화재 시 생성되는 연소패턴과 목재 마루바닥에 인화성물질을 살포 후 착화하였을 때 나타나는 촉진제에 의한 연소 흔적 등을 확인하는데 있다. 또한 이 연구결과는 유사한 화재 발생 시 화재조사요원에게 정확한 화재 원인을 감식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ese studies is to confirm the red and blue painting damages during the fire suppression of wooden cultural assets by using the loaded stream charge extinguishant. As a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the ingredients of extinguishant existing on the surface of wooden cultural assets were perfectly eliminated by the water washing only. Any changes on the surface of wooden cultural assets couldn't be detected. Moreover, any color changes of the red and blue painting didn't occur.
본 논문은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대공간 구조물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설명하였고, 외부 외력 작용시에 대공간 구조물의 요소인 막이나 케이블의 변형을 계측하는데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가 매우 적합하다는 점을 검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공간 구조물에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하여 변형을 모니터링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장스팬의 대공간 구조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많은 요소를 계측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실험의 결과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는 외력 작용시에 정확한 계측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대공간 구조물의 변형율을 계산할 수 있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Ultrasonic-milling of metal oxide nanopowders for the preparation of tungsten heavy alloys was investigated. Milling time was selected as a major process variable. XRD results of metal oxide nanopowders ultrasonic-milled for 50 h and 100 h showed that agglomerate size reduced with increasing milling time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contamination or change of composition by impurities. It was found that nanocomposite powders reduced at in a hydrogen atmosphere showed a chemical composition of 93.1W-4.9Ni-2.0Fe from EDS analysis. Hardness of sintered part using 50 h and 100 h powder samples was 399 Hv and 463 Hv, respectively, which is higher than the that of commercial products (330-340 Hv).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optimization of low-pressure ultrasonic spraying process for synthesis of pure nanoparticles. As process variables, pressure in the reactor, precursor concentration, and reaction temperature were changed in order to control the chemical and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iron oxide nanoparticles including crystal phase, mean particle siz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X-ray diffraction (XRD)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tudies revealed that pure nanoparticles with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5-15 nm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from iron pentacarbonyl () in hexane under 30 mbar with precursor concentrations of 0.1M and 0.2M, at temperatures over . Also magnetic properties, coercivity () and saturation magnetization () were reported in terms of the microstructure of particles based on the results from vibration sampling magnetometer (VSM).
한우의 혈액성분과 도체형질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도체 품질을 예측하고 예견되는 능력에 따른 사양관리로 도체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우에서 도축 2개월 전과 수송전 그리고 도살시 혈청성분 농도와 도체 형질간의 표현형 상관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거세우의 도살 2개월 전 혈청 성분 농도와 도체 형질간의 상관에서 육량지수는 total protein (0.23), albumin(0.26), calcium(0.31)과 정의상관이나 BUN (-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