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63.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dequate standard pot and number of plants per tree of raising seeding pot on the foxtail millet transplanting culture in the southern province. Due to the various application of wellbeinghealth food recently, for upbringing of the foxtail millet, millet and sorghum in minor cereals, R & D and policy support is being promoted actively. The foxtail millet growing season is so short from 90 to 130 days, and it is large variations for a growth temperatur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When it comes to foxtail millet transplantation, seedling quality of 406 holes, 200 holes and 162 holes of raising seeding pot type were not all significant, and field rooting percentage is accounted for all 94 to 95%. Yield of a foxtail millet was exposed in 406holes 305 kg/10a>162holes 303 kg> 200holes 302 kg order, and it was no significance between test processing. When it's the raising seeding transplanting culture, in case of pot culture, 406holes pot culture were reduced the bed soil cost 63%, pot 50%, working hours 18% for 200holes pot. Transplanting seedling quality per a foxtail millet transplanting culture method, dry weight was high inclination as transplanting number of plant is less, and field rooting percentage displayed more than all 95%. Yield appeared to 2 plants seedling transplanting 315kg/10a> 3 plants seedling transplanting 304kg>1 plant seedling transplanting 256kg order. The projected cost per the pot-sort on the raising seeding transplanting culture of foxtail millet, the seedling transplanting culture of 406holes was reduced 40% percentages compared to 200holes as 76,230won/10a. As a result, 406holes pot and 2plants seedling transplanting culture, labor-saving culture was possible.
        65.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and to select genetic resources for production of cowpea sprouts. Seowon was treated between 15°C and 30°C at intervals of 3°C to investigate growth temperature. Twelve resources, including Seowon, IT154149, IT154153, Tvu7426, and Tvu7778, were used for cultivating sprouts at a temperature of 27°C. The yield ratio of cowpea sprouts was highest at 27°C (657%), and was reduced when growth temperature was decreased. The hard seed rate was lower when the growth temperature was increased. Vitamin C content was highest at 24°C (2.85 mg/g), ranged between 2.15 and 2.29 mg/g at other growth temperatures, and increased with the length of the growth period. The inorganic component content of cowpea sprouts did not vary based on growth temperature, while th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growth temperature between 15°C and 24°C, and then subsequently decreased as growth temperature rose from 24°C to 30°C. IT154153 had the highest yield ratio of cowpea sprouts per genetic resource (647%), followed by Seowon (615%), and Tvu7426 (608%). Genetic resources with a higher yield ratio had smaller seeds, a thinner seed coat, and superior germinability. The inorganic components found at highest concentrations in the cowpea sprouts were potassium, magnesium, calcium, sodium, iron, molybdenum, and zinc (in that order). In comparison to raw seeds, the protein, calcium, zinc, molybdenum, and iron content in the cowpea sprouts was higher, while the content of aluminum and boron was lower.
        6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proper sowing time and planting density of cowpeas for labor-saving cultiv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Naju, Jeonnam Province (Latitude 35° 04' N, Longitude 126° 54' E) during 2012 and 2013. The intermediate-erect type strains used in this study were Jeonnam1 and Jeonnam2. Sowing was performed five times between June 25 and August 5 at approximately 10-day intervals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sowing time, and sowed at 5,000, 10,000, 15,000, and 20,000 plants per 10a to establish proper planting density. The days from sowing to first flowering was shortest (32 days) in plants sowed on July 25 and became longer for plants sowed on or around July 25. The days from sowing to first flowering was longest (41 days) in plants sowed on June 25. The days from first flowering to first maturing was shortest (8 days) in plants sowed on June 25 and, became considerably longer at later sowing dates. The days from first maturing to first harvesting ranged from 8 to 10 days, with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owing periods. Plants sowed on August 5 harvested at the same time, and plants sowed between June 25 and July 25 were harvested either three or two times. The yield was highest in plants sowed on July 25: 209 kg/10a was harvested for Jeonnam1 and 221 kg/10a for Jeonnam2. Furthermore, harvested at the same time enabled when the harvesting was delayed for around 15 days because the share of the seeds first harvested was highest (91%). The proper planting density was estimated to be 15,000 plants/10a, showing the highest yields of 199 kg/10a for Jeonnam1 and 224 kg/10a for Jeonnam2.
        7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의 콘크리트 공학의 발전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상승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으며 연구자들은 이를 초고강도 콘크리트로 지칭하고 있다. 초고강도 콘크리트로 제작된 부재는 일반적으로 얇고 긴 형태를 가지게 되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형태로 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재들은 적합한 부착 강도 및 앵커에 의해 서로를 연결시켜 줄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제 성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부착특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얇은 초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에서 나타날 수 있는 쪼개짐 파괴를 막기 위해 섬유로 보강되었으며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로 제작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부착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단순 뽑힘 실험 방법을 통해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100~200MPa로 설정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뿐만 아니라 섬유의 보강효과, 피복 두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구성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체가 철근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발생한 균열에 의해 파괴되었다. 그러나 실험 결과 쪼개짐에 파괴시의 부착강도가 보통 또는 고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큰 부착강도를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착강도는 피복 두께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복두께의 증가에 대한 부착강도의 상승폭은 콘크리트의 강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섬유는 부착강도를 크게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이 또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증가와 함께 부착강도 증진율이 낮아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7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감과수원의 지표면 관리방법(녹비작물 재배, 초생재배, 청경재배)이 감 해충 발생량과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 과수원의 녹비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은 알팔파바구미, 긴꼬리볼록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 등 7종이며 가장 피해가 심한 해충은 알팔파바구미였으나 감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없었다. 과수원 지표면 피복식물에 서식하는 해충과 천적은 재배방법 즉 유기재배와 초생재배에 따라 발생량의 차이는 없었다. 차잎말이나방은 연 3회 발생최성기를 나타내는데 감나무에 피해는 경미하였으며 재배방법별 총 발생량은 유기재배 1,261마리, 관행초생재배 1,003마리, 청경재배 621마리로 청경재배 포장에 비해 지표면에 식물체가 존재하는 포장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복숭아순나방은 연 4회 발생하였는데 역시 감나무에 피해는 극히 적었다. 재배방법별 토양내 서식 미소동물 종과 개체수는 유기재배 22종 838개체, 초생재배 17종 421개체, 청경재배 15종 381개체였으며 종 풍부도는 유기재배 3.12, 초생재배 2.65, 청경재배 2.36으로 유기 > 초생 > 청경 순으로 개체수와 풍부도가 높았다.
        73.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료곡인 동부의 침종, 포화, 노화 조건이 동부나물 생산량과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흡수량은 침종 초기 2시간까지는 급속히 증가하다 이후에는 완만히 증가하였으나,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 및 잔뿌리 발생량은 침종기간(1~6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았다. 5일간 포화(수분 96±1%, 20℃)처리가 무처리나 1, 3일간 포화처리에 비해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 및 잔뿌리 발생량이 높았다. 고온 노화처리에 따른 발아력과 나물 생산수율은 무처리에 비해 낮았는데, 이상의 결과로 동부나물 재배를 위한 원료곡 전처리 방법은 5일간 포화(수분 96±1%, 20℃)처리하고 세척하여 재배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7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동부 유전자원 245점에 대한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육성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개화일수는 41∼50일(51.5%), 51∼60일(43.7%), 등숙일수는 21∼30일(53.9%), 31∼40일(23.7%), 생육일수는 71∼80일(26.9%), 81∼90일(23.4%) 순으로 많이분포하였다.2. 신육형은 무한형 72.7%, 중간형 25.7%, 및 유한형1.6%, 초형은 포복형 78.8%와 직립형 21.2%, 잎 모양은 심장형 98.4%와 피침(결각)형 1.6%, 꽃색은 보라색85.2%, 백색 13.6% 및 연주색 1.2% 씩 분포하였다.3. 성숙 꼬투리색은 갈색 54.7%와 황갈색 37.6%, 착협위치는 아래로 향함 90.6%, 중간 5.7% 및 곧추섬 3.7%씩 분포하였다.4. 종피색은 갈색 25.3%, 흑색 23.3%, 백색 20.8%, 종자모양은 계란형 66.9%, 장방형 24.9%, 신장형 8.2% 씩분포하였다.5. 협장은 10.1∼20.0 cm 89.0%, 20.1∼30.0 cm 8.6%,협당립수는 12.1∼15립 62.0%, 9.1∼12립 25.7%, 15.1∼18립 9.1% 씩 분포하였다.6. 백립중은 15.1∼20.0 g 37.6%, 10.1∼15.0 g 28.6%,주당수량은 100.1∼200.0 g 52.7%, 100.0 g 미만 22.9%,200.1∼300.0 g 15.9% 씩 분포하였다7. 선발한 7자원 종실의 전분 함량은 44.1∼57.0%, 단백질 함량은 23.3∼27.5% 범위로 유의차가 있었다. Sucrose함량은 자원에 따라 1.46∼2.03% 범위에 포함되어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7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agriculture in no-tillage pep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vinyl greenhouse with organic cultivation having no pesticide certification. 1. Growth and yield in pepper cultivation General growth in pepper was suppressed with decreasing hill spacing, primary branch length, and stem width. Fruit diameter and fruit weight in no-tillag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yield of pepper increased by 10% compared with conventional tillage. From results organic cultivation in no-tillage improved a quality of pepper compared with conventional tillage. 2. Production cost of conventional tillage and no-tillage Production cost of conventional tillage and no-tillage was not different in seed cost, inorganic fertilizer cost, pesticide cost, repair cost, light agricultural tool cost, agriculture facilities depreciation cost and so on. Intermediary goods cost in no-tillage was decreased by 11% for organic fertilizer cost, light and heat expenses and power rate, heavy agricultural tool cost, and repairing expenses compare with conventional tillage. Employment effort cost and work effort cost were decreased, and farm income and farm income rate were increased by 11% and 5%, respectively, in no-tillage. In this work, yield and gross income were increased by 10% and 25%, respectively, in no-tillage. Therefore material cost, intermediary goods cost, working expensive, farm income, and income rate were increased by 34%, 3%, 2%, 52% and 22%, respectively.
        80.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미는 화훼 재배면적의 6.7%, 절화류 생산액의 33.5%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화종으로 국내 재배면적은 2006년 864ha를 정점으로 2010년에는 456ha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탠다드 장미가 90% 이상 재배되며 적색 50%, 분홍색 품종이 20% 내를 차지하고 최근에는 녹색, 복색 등 다양한 화색과 화형이 재배되고 있다. 국내 품종 개발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0년 ‘미향’(Kim 등, 2001) 품종을 처음 육성한 후 전남도원 등 6개 기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화색의 신품종을 육성하고 있다. 또한 2006년 장미사업단이 구성되어 활발한 품종육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국산품종의 재배면적을 확대하고 있다. 재배농가의 로얄티 지불액은 75억원(’07), 38억원(’10)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는 국내 환경에 적합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스탠다드 품종을 육성하여 농가의 로열티 부담을 덜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2007년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장미 육종포장에서 꽃이 예쁜 분홍색 “Saphir” 품종을 모본으로 화형이 예쁜 대표적인 분홍색 품종인 “Noblless”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하였다. 2008년 “JRB0754-01” 등 89개 실생을 양성하고 선발을 진행하여 JRB0754-43 등 2계통이 선발되었으며 2010~2011년 3회의 특성 및 생산력검정을 실시하고 육성계통평가회를 거쳐 “White Jewelry”(JRB0754-43) 계통을 선발하였다. 육성된 “White Jewelry” 품종의 특성은 백색 스탠다드 품종으로 꽃 크기가 10.4cm, 꽃잎수 45.6매, 절화장이 66.4cm, 절화수명이 10.3일 이고 꽃 향기정도가 5이며 절화수명이 10.3이로 긴 편인 품종이다. 절화수량이 143.6본/㎡/년으로 대비품종에 “Rose Yumi” 비해 19.8% 많았다. 꽃의 향기가 좋고 절화수명과 수량성 등이 우수하여 결혼식 부케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색꽃의 이미지를 담아 “White Jewelry” 로 명명하고 육성계통 평가회 및 농작물직무육성 선정심의회를 거쳐 국립종자원에 2012년 3월 품종보호출원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