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197

        6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th flies (Diptera: Psychodidae) are small fuzzy flies found in diverse habitats from mountains to urban areas, even in your house. Approximately 3,000 species among 6 subfamilies are recorded worldwide. However, in Korea, only 10 species from 3 genera of the subfamily Psychodinae have been recorded, including 8 species from North Korea. A preliminary study on moth flies in Korea was conducted using specimens collected via malaise traps and by hands from various locations in South Korea. As a result, Brunettia lungjingensis, Thornburghiella decoricornis, Philosepedon monstruosus and our friendly but unrecorded, Clogmia albipunctata are newly described in Korea. Brief description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hese four species are provided.
        6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tegration of machine learning for species identifi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entomological research. However, automatic species identification faces significant challenges such as low resolution, sample discoration, and small dataset sizes, which impede the reliability of traditional machine learning methods. Building upon the previous research on quantification of the color patterns of Stenaptinus occipitalis jessoensis using R-based analysi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in training machine learning for species identification. This approach allowed us to successfully classify geographic variations of S. occipitalis. Our results demonstrate the model's ability to identify these variations, despite the small size of the image datasets. This advancement shed some light on the potential of machine learning to identify morphological variation in highly polymorphic species.
        6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species belonging to two families of minute-sized spiders, viz, Theridiosoma fulvum (Araneae: Theridiosomatidae), Microdipoena ogatai and Microdipoena shenyang (Araneae: Mysmenidae), were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Previously T. fulvum and M. ogatai were known to distribute only in Japan, M. shenyang only in China. All former records of Microdipoena jobi from Korea are misidentifications of M. shenyang. Detailed descriptions and photographs of three species are provided.
        6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Peromitra Enderlein is a small group of phorid flies, including two European parasitic species known to parasitize larval bibionid flies. In this study, specimens of the Peromitra species collected from South Korea are examined morphologically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n ocellar region, leg chaetotaxy and hypopygium. As a result, four species are described new to science and two species, viz. P. fimbriata and P. multisetalis are newly recorded from South Korea. Photographs of diagnostic characters and a key to males of South Korean species are provided.
        6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icrophorus Fabricius, 1775, commonly known as necrophagous beetle, is associated with vertebrate carrion. Up to date, the genus consists of 72 species worldwide. In recent years, various phylogenetic studies explored on the evolution and relationship of the species in the genus. Howeve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continuing the problem over whether Nicrophrous quadraticollis is monotypic or not. The present study is to report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N. quadraticollis that was sequenced in prior to a systematic research of Silphinae. It was 17,747bp in length and comprised 12 protein-coding genes(PCGs), 2 rRNA Genes, 22 tRNA Genes and one non-coding region. The nucleotide composition is 40.9% for A, 36.7% for T, 9.0% for G and 13.4% for C.
        6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Anaclasiger which is one of the myrmecophilous beetle (Clavigeritae) was described by Raffray in 1890 with the type species, A. sinuaticollis. Since then, only one species, A. zhudiae, had been added in this genus. The former species has known to distribute in Singapore (type locality), Taiwan (Raffray, 1914), Malaysia (Nomura & Idris, 2005), Thailand and Japan (Nomura et al., 2006), and the latter has been reported only in China (Yin et al., 2012). During specimens research of Korea National Arboretum, we were recognized one species, A. sinuaticollis, collected by pitfall trap in Mt. Geombong. Therefore, we are going to report this unrecorded genus and species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Both the information of the species including diagnosis, habitus and male genitalia, and that of the genus distribution on the map are going to be provided.
        6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ayfly genus Drunella is the most diverse genera in the family Ephemerellidae, and is found in lotic streams throughout East Asia and North America. The species D. ishiyamana is found widely throughout East Asia and their species concept has not been properly defined until recently. The D. ishiyamana species group was examined, an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of a new species were uncovered. In this study Drunella punctata sp. nov. is formally described, mainly distinguished from D. ishiyamana by the lack of a notch in their median clypeal tubercle in their larval stage. Photographs, diagnosis, and descriptions of D. punctata are provided.
        6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Priopoda is a small group of the subfamily Ctenopelmatinae, comprising 22 species from worldwide, 10 species from the Eastern Palaearctic and 13 species from the Oriental region. This species and genus are report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The Ctenopelmatinae comprises one of the two major radiations of parasitoids of sawflies. The approximately 1,350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105 genera and nine tribes. In this study, diagnoses and photos of four unrecorded species from South Korea are provided.
        6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Helictes is a small group of the subfamily Orthocentrinae, comprising 11 species from worldwide, most species from the Palaearctic region, four species from the Nearctic, and two species from the Neotropical region. This subfamily is wide morphological variation between genera but most are readily recognizable as orthocentrines. They are generally small sized, clypeus strongly convex and malar space long. Among them, this genu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In this study, description, photographs of diagnostic characterists are provided.
        7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꿀벌의 폐사가 증가하고 있으나 관련 데이터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어려움 을 겪고 있어 학습용 인공지능 데이터를 구축하여 양봉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학습용 데이터로 생애주기 별 5단계(알, 애벌레, 번데기, 숫벌, 여왕벌), 종봉별 4가지(이탈리안, 카니올란, 한봉, 호박벌), 발생질병 1종(백묵 병) 총 10가지 클래스를 데이터 수집장소 6곳(장성, 포천, 칠곡, 완주, 의령, 장흥)에서 학습용 데이터를 274,206장 구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원시데이터, 원천데이터 가공, 라벨링 데이터 결합, 가공데이터 검수 등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관측지에서 온습도, CO, CH4, NH3 등 환경데이터를 200,000건 확보하여 데이터 라벨링을 수행하 였다. 데이터는 AI Hub(www.aihub.or.kr)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확보된 데이터는 꿀벌의 생애 단계별, 종별, 건강 상태별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 양봉 관리 자동화, 꿀벌 질병 예측, 양봉 기술 개발 및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7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원예작물에서 화분매개곤충의 의존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사과, 딸기 등 화분매개곤충의 의존도가 높은 주요 과수와 시설작물에 대하여 화분매개곤충의 사용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딸기, 키위 등 5가지 주요 농작물에서 화분매개벌을 적용한 결과, 딸기에서 뒤영벌의 적용결과 기존 꿀벌과 통계적으로 같은 수준의 화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하우스에서 농약적용시 하우스 밖으로 벌통을 위치시키는 것이 방치보다 벌의 소실을 20% 더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인공수분 에 의존하고 있는 씨없는 수박에서 수분수 식재와 꿀벌을 이용함으로 기존 벌 방사보다 16% 착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설고추에서 꿀벌과 뒤영벌의 혼합사용시 기존 꿀벌 방사보다 고추 수량이 10% 향상되었고, 토마토 에서 660㎡당 뒤영벌의 봉군량을 1.5배 증가시 토마토 수량은 4.4% 향상되었다. 키위는 꿀벌로 기존의 인공수분 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었고, 인건비가 60%이상 절감되었다. 또한 현재 시판중인 30종의 살충제와 27종의 살균제 에 대하여 24시간내 반수치사를 보인 농약은 각각 살충제 6종와 살균제 4종 이었다. 이어서 2023년부터 참외, 멜론, 사과, 단감에 대한 현장적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7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e traffic at the hive entrance can be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foraging activity. We investigated patterns of honeybees and bumblebees near their hives as a basis for calculating bee traffic using the image deep learning. The flight pattern near the hive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ee at entering and leaving the hive. Honeybees mainly showed flight that changed flight direction more than once (69.5%), whereas bumblebees mainly performed straight flight (48.7%) or had a single turn (36.5%) in flight. When bees entered the hive, honeybees primarily showed one-turn or two-turn flight patterns(88.5%), and bumblebees showed a one-turn flight pattern (48.0%). In contrast, when leaving the hive, honeybees primarily showed a straight flight pattern (63.0%), and bumblebees primarily showed a straight or one-turn pattern (9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ight speed according to the flight pattern. The speed of straight flight (0.89±0.47 m/s) was 1.5 to 2.1 times faster than flight where direction changed. Therefore, our results can help determine the capturing and recognizing the flying image of bees when calculating bee traffic by image deep learning.
        7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소리곤충 상담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서표현에 도움을 주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구분 없이 만 65세 이상이며 정서표현 척도 검사에서 51점 이하,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자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2023년 7월부터 8월까지 주 2회, 회기당 5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 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SPSS/WIN 26.0을 활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하고 입증이 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 단의 사전과 사후에 노인 정서표현 척도 측정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정서표현 전체의 사전 평균 56.25에서 사후평균 66.38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Z=-3.41, p<.05). 그러나 통제집단의 정서표현 전체의 사전평균 58.15에서 사후 평균 58.92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Z=-0.43, p>.05). 향후 본 연구결 과를 기반으로 소리곤충을 활용한 노인의 정서표현 향상에 이점을 유도하는 소리곤충 활용 상담 프로그램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소리곤충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위치한 I치매안심센터에서 추천을 받은 우울 척도 검사에서 5점 이상을 받은 노인 20명이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10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2023년 6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회기당 50분 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v.26을 활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 검증(Mann-Whitney U test)을 하여 동질성이 입증이 된 후 각 집단의 사전과 사후에 노인 우울 척도 측정을 실시하고 비모수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우울 전체의 사전・사후에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다(Z=-3.53, p<.05). 그러나 통제집단의 우울 전체의 사전・사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Z=-1.06, p>.05). 따라서 본 연구는 소리곤충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 을 준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소리곤충을 활용한 정서 및 심리 치료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 여 관련 분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용곤충은 미래식량 자원으로써 우수한 가치를 지니고 있어 해외에서는 사육자동화, IoT 및 AI 기술적용, 수직재배시스템 구축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대규모 사육농가나 곤충스마트팜 기술개발 이 부족하여 이를 위한 AI/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학습용 인공지능 데이터는 식용곤충으로 활용되고 있는 장수풍뎅이, 흰점박이꽃무지, 갈색거저리, 백강잠, 메뚜기, 풀무치의 생애 주기별 총 6종의 RGB 사진데이터와 분광이미지 데이터 408,000장을 구축하였으며 온도, 습도, CO,, 암모니아, 조도, 수분 등 환경 데이 터 200,000세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원시데이터 수집, 원천데이터 가공, 라벨링 데이터 결합, 가공데 이터 검수 등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관련 데이터는 AI Hub(www.aihub.or.kr)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확보된 식용곤 충 6종의 데이터는 곤충 종별 성장단계, 환경 변수에 따른 최적의 사육환경 조성, 생산시기 예측, 스마트대량사육 시스템 개발, 제품 가공시 추적이력제 도입, 식용곤충 스마트팜 기술 개발 및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7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누에씨는 매년 계대사육을 통해 자원을 보존하지만, 이 과정에서 잠종의 소실 및 혼합사고 등의 위험이 있어, 누에 유전자원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장기보존법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2년 동안 저온에 보관 된 누에 보급품종(백옥잠, 대황잠, 백황잠)과 누에 유전자원(n29, sa2, yang2)의 누에씨를 봄과 가을 사육기에 맞추 어 점진법을 사용하여 부화를 유도하였다. 부화된 누에씨의 부화비율과 함께 전령 경과기간, 화용비율, 전견중 등의 사육 성적을 조사하였다. 2년간 저온 보관된 누에씨의 부화비율은 보급품종에서 87~88%, 유전자원에서는 71~75%로 나타났다. 화용비율은 보급품종에서 79~89%, 유전자원에서는 71~79%로 조사되었다. 품종 지정 시 사육 성적과 비교해 볼 때, 부화비율, 화용비율, 번데기 무게, 고치무게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2년 동안 저온에 보관된 후의 누에씨 부화기간은 1년 동안 저온에 보관된 누에씨보다 1~2일 더 길었다.
        7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troduce a method for preserving yellow mealwom (Tenebrio molitor) larvae for an extended period and show that a high percentage of larvae can survive in good health under low-temperature storage conditions combined with specific diapause termination conditions. When storing larvae for 140 days, the storage temperature can be varied based on our goals, giving us control over yellow mealworm production to meet specific demands. To produce adult beetles, storing larvae at 15 ℃ with wheat bran and ending diapause at 30 ℃ resulted in 90% pupation rate, with 60% becoming adults in 21 days. If our aim is larvae production, storing them at 10–12 ℃ with wheat bran and ending diapause at 25–30 ℃ allows the larvae to reach a suitable weight for processing. This approach ensures long-term storage of yellow mealworm larvae and provides a practical way to control their development, allowing efficient mass production tailored to market demands.
        7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ivision of the risk management, APQA(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is conducting the IRA(Import Risk Assessment)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pests when importing foreign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2023 IRA, 55 cases of 19 items from 23 countries was analyzed, and fresh avocado(variety: HASS) from the Philippines was concluded in September 2023 and can be imported in accordance with appropriate phytosanitary measures. The main issue in the IRA of fresh avocado fruits from the Philippines was whether HASS variety avocados were host plants of Bactrocera dorsalis. As a result of the risk analysis, B. dorsalis were included in the pest list that needs to be managed by special risk management. As a risk management for B. dorsalis, one trap using methyl-eugenol is installed per 20 ha once a week. After surveying, if the population is more than 2/trap/day, control measures such as adding traps and spraying pesticides are necessary. As equivalence, regionalization, and transparency have been strengthened with the recent entry into force of the mega FTA, a higher level of scientific basis is required. Accordingly, division of the risk management, APQA is working harder to improve its expertise, and we need your cooperation and attention of the IRAs.
        7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재배 딸기의 화분매개에 꿀벌 사용이 보편화되어있지만 동양종(A. cerana) 꿀벌의 화분매개효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딸기에서 동양종 꿀벌의 화분매개자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닐하우 스 딸기에서 서양종 꿀벌과 화분매개행동 특성을 비교하였다. 향후 봉군 수명과 착과된 딸기의 기형과율품질을 평가 할 예정이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은 10시 이후부터 활동량이 증가하고, 13시에 방화활동이 가장 활발하였 으며 이후부터 감소하는 일주행동 패턴을 보였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 활동성은 모두 온도, 조도, 자외선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상대습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서양종 꿀벌은 온도, 조도, 자외선이 같은 수준의 상관(r=0.7)을 보이는 것에 반해, 동양종 꿀벌의 경우 온도와 습도보다 광조건(조도, 자외선)에서 더 높은 상관계수(r>0.9)가 나타났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의 방화특성을 조사한 결과 꽃에 머무는 시간은 서양종 꿀벌 이 평균 6.9초, 동양종 꿀벌이 7.0초로 같은 수준이었으나(p>0.05), 꽃 간 이동시간은 동양종 꿀벌이 2.4초로 서양 종꿀벌(3.1초)보다 20% 유의미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1). 따라서 같은 시간에 동양종 꿀벌이 서양종 꿀벌보다 더 많은 꽃을 방문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8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identify viruses and compare their abundance levels in the venom glands of hymenopteran species, we conducted venom gland-specific transcriptome assemblies and analyses of 22 Aculeate bees and wasps and identified the RNA genomes of picornaviruse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viruses in the venom glands over time following capture. Honeybee-infecting viruses, including black queen cell virus (BQCV), deformed wing virus (DWV), and Israeli acute paralysis virus (IAPV),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venom glands of Apis mellifera and social wasp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venoms of bees and wasps likely contain these viruses, which can be transmitted horizontally between species through their stinger usage. A. mellifera exhibited an increasing pattern of abundance levels for BQCV, DWV, IAPV, and Triatovirus, while the social wasp Vespa crabro showed increasing abundance levels of IAPV and Triatovirus over different capture periods. This suggests that the venom glands of honeybees and wasps may provide suitable conditions for active viral replication and may be an organ for virus accumulation and transmission. Some viral sequences clearly reflected the phylogeny of Aculeate species, implying host-specific virus evolution. On the other hand, other viruses exhibited unique evolutionary patterns of phylogeny, possibly caused by specific ecological interactions. Our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omposition and evolutionary properties of viral genes in the venom glands of certain Aculeate bees and wasps, as well as the potential horizontal transmission of these viruses among bee and wasp speci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