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

        81.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1998년 충남 성환에 있는 천원목장의 불경운초지 및 임간초지에 선점식생을 제거하지 않고 피복종자를 겉뿌림하였을 때 목초의 정착 및 초기생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불경운초지에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정착률 및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불경운에서 alfalfa 피복종자는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7% 및 로 부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p<0.05). 한편 임간초지에서 tall
        4,000원
        82.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ven sorghun-sudangrass hybrids have been recommended as the government recommended forage cultivars, however, their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have mostly been tested at two regions, such as Suweon in the Middle Northwestern Coast Region and Sunghw
        4,000원
        83.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rial was conducted at two locations to compare forage yield, plant height, disease reaction, lodging and maturity of oat(Avm sativa L.) cultivars introduced from Western Australia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cultivar of oat 'Cayuse" over a period
        4,000원
        84.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있어서 사일리지용 옥수수(Zea mays L.)는 널리 재배가 되고 있지만 실제로 농가의 포장에서 옥수수의 사초로서 이용에 관한 연구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기도 여주 및 이천에서 1988년에 8개 농가 1989년에 13개 낙농가를 선정하여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재배 실태를 연구 조사하였다. 1988년에 농가생산 옥수수의 암이삭 착생주율은 75.3%. ha당 재식밀도는 75,826주, 암이삭 비율은 38.3% 그리고 수확시 건물률은 2
        4,000원
        85.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t'ects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all sown cats(Avena sativa 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Seoul Nati
        4,000원
        86.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결과는 수원과 성환에서 3년간에 걸쳐 가을과 봄에 도입연맥품종을 대조품종인 Cayuse와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를 비교한 결과 얻어진 것이다. Speed oat와 G-sprinter는 대조품종인 Cayuse 보다 조생종이었으나 Taiho, Zenshin 및 Almighty는 만생종이었고, 비가 많을 때 Taiho, Hay oat 및 Swallow 품종은 도복이 많았으며 Taiho, Zenshin 및 Hay oat는 누른오갈병이 더 많이
        4,300원
        87.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gronomic performance of four introduced corn(Zea mays L.) hybrids and a domestic hybrid Suwon 19(control) was compared for silage production in the Middle Northwestern Coast(MNWC). Middle Southwestern Coast(MSWC) and Middle Northern Inland(MN1) regio
        4,300원
        8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가 권장하는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장려품종은 10종이 있으나 이들은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 함께 평가된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시험은 수원소재 서울대 농대의 사초시험포장에서 2년간에 걸쳐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축협장려품종에 대한 사초수량과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종의 공시품종중 G83F 및 NC+855는 조생품종으로 분류되었으며 Pioneer 988 및 Sordan 79는 다른품종에 비하여 잎마른병에 강하였
        4,000원
        89.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선박의 전복사고는 무게중심의 부적절한 관리, 기상악화 또는 과도한 조타사용 등으로 인한 선체운동이 발생하면서 화물 또는 중량물이 이동하여 복원력 저하 또는 상실 등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전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한 횡경사가 발생하더라도 직립 상태로 되돌아오려는 복원성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GM은 복원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평가요소이며, 항해사는 GM을 복원 성 검토에 좋은 척도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5년간 운항 중인 선박으로부터 수집한 복원성 자료를 바탕으로 운항 상태에 따른 선종별 GM을 선박 길이, 폭, 총톤수 등 선박제원으로 분석하였다. 선박 길이에 따른 GM 분포의 특징을 확인하였고, 선박 폭과 GM의 상관분석을 수 행한 후 선폭대비 GM의 비율을 산출한 후 과거의 비율과 비교하여 최근 경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선박 대형화 추세를 반영하기 위하여 총톤 수(GT)/선폭(B)을 이용하여 GM을 회귀분석하여 선종별 GM 추정을 위한 간이근사식 및 최소 GM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선박에서 항 해사가 안정적인 GM 확보의 검토를 위한 자료로 이용되길 기대된다.
        90.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로는 선박의 통항이 빈번하고 특히, 항로의 입구부는 선박의 출입이 잦아 사고의 위험이 높은 지역이지만, 항로 단면에서의 통항 분포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가 다수였으며, 항로 통항 선박간의 시간분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항로에서의 통항 선박간의 시간 최적분포를 분석하기 위해서 1주일간의 선박의 통항현황을 조사하였다. 통항현황을 바탕으로 항로 입구부에 1개의 Gate line을 선정하고, Gate line을 통과하는 선박을 입출항, 교통량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상항로의 해상교통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입출항과 교통량으로 구분하여 항로 통항 선박간의 시간 최적 확률분포를 분석하였다. 최적 확률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계분포, 비경계분포, 비음수분포, 고급분포로 구분하여 총 31개의 확률분포를 적용하였으며, 최적 확률분포 상위 3개를 분석하기 위하여 KS 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 항로에서 통항 선박간의 최적 시간 확률분포는 Wakeby 분포로 분석되었으며, 도로교통 등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비음수 분포와 다르게 고 급분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항로 통항 선박간의 시간 분포를 적용함에 있어 다른 교통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대표적인 확률분포를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제 교통조사 시 통항 선박간의 거리와 최적 확률분포로 추정한 거리가 비교적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대표적인 1개의 항로를 분석한 만큼 향후 다양한 항로에서의 통항 선박간의 시간 간격 및 교통용량 산정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9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로는 선박의 통항이 빈번하여 사고의 위험이 높은 지역이지만, 선박의 통항분포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가 다수였으며, 항로의 특성과 선박의 크기별 통항패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주요 항로에서의 통항분포와 통항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3일간의 선박의 통항현황을 조사하였다. 통항현황을 바탕으로 항로를 10개의 Gate line으로 구분하고 각 Gate line을 통과하는 선박크기를 소형선, 중형선, 대형선으로 세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각 항로의 통항분석을 바탕으로 각 Gate line에서의 통항분포에 대하여 ND-K-S(Normal Distribution-Kurtosis-Skewness)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ND 평가 결과 통항분포에서 대형선은 정규분포를, 중형선은 편도항로에서만 정규분포를 만족하고, 소형선은 정규분포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K-S 평가 결과 통항패턴은 왕복항로와 편도항로에서 뚜렷한 구분을 보였다. K 평가의 결과 편도항로에서는 고루 항로를 이용하는 통항패턴을 가지지만, 왕복항로에서는 항로의 한 부분에 집중하는 통항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S 평가의 결과 편도항로에서는 항로의 중앙을 따라 항행하는 통항패턴을 가지지만, 왕복항로에서는 항로의 우측에 치우치는 통항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본 연구는 3개의 주요 항로를 비교한 만큼 향후 다양한 환경에서의 항로분석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9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ic forage produc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Animals in the organic farming system are also essential for manure to be used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Both organic forage and animals are essential to maintain the cycle of organic agriculture system.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organic forage production system in Korea. Summer and winter crops are getting popular in Korea because of their high forage yield and cultivation in double cropping systems. Common cropping system for forage production in Korea is the double cropping system with legume and grass mixture.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are the most popular ones of annual summer forage corps because of their high production with low cost in the double cropping systems. In the mixture of forage crops, inter cropping is more suitable in the corn and sorghum cropping system because of high lodging resistance and forage yield, and low weed population.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are difficult to preserve as direct-cut silage due to the fact that its high moisture content causes excessive fermentation during ensiling. Corn grain addition to sorghum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creasing quality and reducing production cost. It is recommended that corn grain could be added up to 10% of total amount of silage. And agriculture by-products also can be added at the time of ensiling to minimize losses of effluent and have the additional advantage of increasing quality. Agriculture by-products as silage supplements increased DM content and quality, and decreased the production cost of sorghum silage. Field pre-wilting treatment of forage crops also increased DM content and quality of the silage. Wilting sorghum×sudangrass hybrid before ensiling was the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effluent and increasing pH and forage quality more than direct cut silage. Optimum prewilting period of sudangrass silage was 1 or 2 days. In organic forag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enhancement of organic forage sufficiency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friendly and organic livestock. Consequently,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for animal production and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Korea. No forages no cattle concept should be emphasized in organic farming system.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