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6

        8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blast resistance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its in rice breeding and the disease, caused by Magnaporthe grisea Barr, has brought significant crop losses annually. Moreover, breakdown of resistance normally occurs in two to five years after cultivar release, thus a more durable resistance is needed for better control of this disease. We developed a new variety, Keumo3, which showed strong resistance to leaf blast. It was tested in 2003 to 2007 at fourteen blast nursery sites covering entire rice-growing regions of South Korea. It showed resistance reactions in 12 regions and moderate in 2 regions without showing susceptible reactions. Durability test by sequential planting method indicated that this variety had better resistance. Results showed that Keumo3 was incompatible against 19 blast isolates with the exception of KI101 by artificial inoculation. To understand the genetic control of blast resistance in rice cultivar Keumo3 and facilitate its utilization, recombinant inbred lines (RIL) consisting of 290 F5 lines derived from Akidagomachi/Keumo3 were analyzed and genotyped with Pizt InDel marker zt56591. The recombination value between the marker allele of zt56591 and bioassay data of blast nursery test was 1.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S can be applied in selecting breeding populations for blast resistance using zt56591 as DNA marker.
        8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 온난화 대비 고온 내성이 우수한 벼 품종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남평벼 등 중만생종 11개 고품질 품종을 유리온실에 공시하여 벼의 등숙과 미질 및 도정특성의 품종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불임율은 청무와 동안벼,일미벼 가장 낮았으며 등숙율과 중량등숙율(F%)은 추청벼와 일미벼가 가장 높은 특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현미품위는 불임율이 높았던 남평벼와 동진1호, 신동진벼가 가장 양호하였고, 백미 품위 중 백미완전립비율도 남평벼와 동진1호가 우수하였다.도정특성 중 도정수율은 일미벼,추청벼,동안벼,청무가72%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완전미도정수율은 불임율이 높아서 상대적으로 착생영화수가 감소하여 백미 완전립비율이 높았던 남평벼와 동진1호가 66% 이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완전미쌀수량은 일미벼가 182kg/10a으로 가장 높았고, 추청벼와 청무가 각각 174kg/10a과 159kg/10a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청무는 출수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7일 이상 늦어서 성숙기 고온회피로 등숙과 도정특성이 양호한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생각되며, 불임율이 낮았던 동안벼는 고온생육시 백미완전립비율이 낮아서 완전미쌀수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따라서 등숙특성과 도정특성 및 완전미쌀수량 등을 고려할 때 일미벼와 추청벼가 고온 내성이 우수한 유전자원으로 판단되었다.
        8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고품질 벼 품종인 칠보의 도정특성과 식미특성의 지역간 변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남의 밀양과 함양, 경북의 상주와 안동에서 칠보와 더불어 지역별 대표 재배품종을 공시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벼 생육기간의 소모도장효과는 안동과 상주에서 가장 적었으며, 일평균기온과 일조시간으로 추정한 기후등숙량은 안동과 상주에서 높고,밀양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칠보는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모든 지역에서 수장은 짧았으나 수수가 월등히 많았으며, 현미 천립중은 가벼웠고, 등숙율이 함양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90% 이상으로 대조품종들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일품벼나 주남벼에 비하여 칠보는 모든 지역에서 현미 품위가 우수하였으며,백미 완전립율도 높아서 완전미 도정수율이 높았고,지역별로는 안동에서 도정관련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칠보의 쌀수량은 함양과 상주에서 가장 높았으나,완전미 쌀수량은 안동에서 가장 높았다. 단백질함량은 함양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6.0% 이하였고, 식미치는 함양에서 월등히 낮았으나, 안동과 밀양, 상주에서는 유사한 경향이었고,밥맛,찰기,질감,밥모양 등 식미특성도 대조품종인 일품벼에 비하여 안동,밀양,상주에서 높았다.밀양에서 영덕44호의 수확시기별 식미특성을 살펴본 결과, 식미치와 식미 패널검정 모두에서 출수 후 45일에 수확했을 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8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열병은 전세계적으로 벼에서 피해가 가장 심각한 병중에 하나이며, 특히 이삭도열병의 발생은 수량 및 품질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힌다. 벼 이삭도열병 저항성 유전분석을 수행하고자, 이병성인 일미벼를 반복친으로하고, 포장저항성인 화영벼를1회친으로 사용하였으며, 여교잡은 BCnF1세대에 벼이삭도열병 저항성과 연관된 DNA marker RM206을 이용하여 heterozygote인 개체를 이용하였다. BC4F1세대에서 약배양한 DH 집단 110계통을 포장에서 이삭도열병 저항성검정을 수행한 결과 화영벼는 발병되지 않았으며, 일미벼는 58~75%정도 발병되었다. 이 집단의 이삭도열병 발병은 저항성59계통, 감수성 51계통으로 비연속적인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t-검정을 수행한 결과 1개의 주동유전자(X2 =0.582, p=0.446)에 의해 지배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BC3F2 집단을 개체 검정한 결과 저항성 519개체, 이병성 162개체로 우성유전(X2 =0.747 p=0.383)함을 알 수 있었다. 이삭도열병 저항성 연관마커 RM206과 생물검정사이에는 조환가 3.6%로 연관되어 있었다. BC4-DH 집단의 유망계통을 선발하여 생산력 검정을 수행하여 출수기, 간장 등 주요 농업적 특성이 일미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을 선발하였다.
        8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기재배는4월 하순 ~5월 상순에 이앙하여 8월 중하순에서 9월 상순 사이에 수확하는 재배 작형이며, 특히 추석용 햅쌀은 묵은쌀에 비해 밥맛이 우수하고 판매가 용이하기 때문에 평야지에 조생종 벼를 일찍심어 수확하는 조기재배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조생종 품종의 조기재배에 따른 미질저하와 벼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피해가 발생하여 문제시 되고 있다. 평야지 조기재배 적응하는 고품질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인 품종을 육성하고자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이며 밥맛이 우수한 풍미벼와 밥맛이 우수한 고시히까리를 교배한 재조합자식계통(RILs)을 이용하여 농업적 특성 및 품질관련 변이를 조사하였다. 출수기는 준조생으로 모부본에 비해 ±3일 정도 차이로 큰 변이는 없었으며, 대부분의 농업적 형질이 양적인 변이를 나타내었다. 백미완전미율이 높은 상위 10%그룹과 낮은 하위 10%그룹으로 구분하여 농업적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백미완전미율이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에 비해 간장이 크고, 단백질함량이 낮으며,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경향이였다. 또한 밥의 윤기(식미치)를 측정하여 상위 10%인 그룹과 하위 10%인 그룹을 비교한 결과, 식미치가 높은 그룹은 간장이 크고 백미 완전미율에서 약간의 높은 경향이였으며, 기타 농업적 특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간장과 완전미율과는 상관계수 0.41로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으며, 단백질 함량과는 -0.64로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조기재배의 품질향상과 재배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기세대에 단간계통에 대한 강력한 선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8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남평야지 조기재배시 국내 육성된 고품질 조생종 품종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공시품종들의 평균 출수기는 7월 22일로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사이에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공시품종들의 평균 수당립수, 등숙율 및 수량에서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운광벼가 수량이 529 kg/10a로 가장 많았다. 2. 수확시기별 현미 품위를 조사한 결과 동할미 발생을 줄이고 현미 정립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출수 후 40일경에 수확하는 것이 정립은 8월25일~ 9월1일 사이 수확하는 것이 가장 높았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미숙립의 발생은 감소하고 동할립의 발생은 증가하였다. 백미 완전미는 중화벼와 고운벼가 72.2%와 71.0%로 높았으나 싸라기 발생이 높았으며, 운광벼와 오대벼는 분상질의 발생이 많았다. 3. 운광벼와 오대벼는 백미 단백질 함량은 6.4%로 낮았으며, 식미관능검정의 총평이 각0.6 및 0.5로 밥맛이 양호하였다.
        8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important traits have been tagged allowing plant breeders to apply marker assisted selection (MAS) in rice. PCR itself is simple to set up, and requires little hands-on time. However, a crucial limiting step of MAS programs is the reliable and efficient extraction of DNA which can be performed on thousands of individuals. In this study, We describe a modification of the DNA extraction method, in which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is used to extract DNA from leaf tissues for suitable MAS in rice. We followed the standard 2% CTAB extraction method in all the procedure. In addition we used the 1.2 ml 8-strip tube instead of 1.5 ml E-tubes to fit the 8-multichannel pipette and employ the 96 well plate to use the swing bucket centrifuge. Our modified CTAB DNA extraction method offers several advantages with respect to traditional and simple methods. 1) adult leaf samples collected in paddy field are applicable. 2) 96 leaf samples can be homogenized only one-time by using tungsten carbonate bead and 96well block. 3) semiautomatic loading method using 8-multichannel pipette from DNA extraction to electrophoresis of PCR products. 4) our system can extract about 400 leaf samples per day by only one technicion. Therefore, this method could be useful for marker assisted breeding in rice.
        93.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quatic and riparian vegetation of river ecosystems are very important both in ecological and management perspectives. Vegetation survey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iparian vegetation in the mid and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Korea. A total of 68 families and 260 species were identified at eleven survey sites. The numbers of taxa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in a previous survey in 1996,but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more than two times compared to that in the previous survey. Survey sites near Yangsan Bridge and Nambu Park in Yangsan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Urbanization indices of the survey sites were high at 18.8% on average. Therophytes were the most dominant plant life form at the survey sites with 39.2% of total plants identified, followed by phanerophytes (19.2%), hemicryptophytes (18.9%), aquatic plants (13.9%), cryptophytes (5.8%), and chamaephytes (3.1%). The relative composition of hemicryptophytes decreased whereas those of therophytes and chamaephyte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survey in 1996. This may be due to increase in dryness of riparian soils or degradation of riparian areas. Plant compositions at sites near Jeokpo Bridge and Hwoicheon suggest that th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are affected by land use pattern surrounding riparian areas or human accessibility to the areas.
        9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포니카형 품종에서 벼멸구 저항성 육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삼강벼'/'낙동벼' BC5F5 세대의 여교잡집단(SNBIL)에서 개발된 DNA marker RM28493에 대하여 활용성을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Bph1의 근동질 유전자 계통인 SNBIL61과 감수성인 주남벼가 교배된 약배양 집단에서 RM28493은 벼멸구 저항성 생물검정 성적과 일치하였다. 2. RM28493은 다양한 유전자원에서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인 B
        9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바이러스병에 대한 최선의 방제책은 저항성 품종의 육성이라 할 수 있다. 저항성 품종의 육성을 위해서는 정밀하고 대량으로 검정 할 수 있는 검정법의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격리 검정망실을 건립 보독충을 방사한 후 이를 계대유지 하여 검정에 이용하였다. 망실내에 바이러스 보독충율 변이에서 연중 높은 보독충율을 유지하였으며, 매개충의 밀도도 검정에 충분하게 유지되었다. 망실을 이용한 바이러스병 저항성검정의 효율성은 줄무늬잎마름병은 92~100% , 오갈병은 100%의 검정효율을 보였으며, 이러한 대량검정법은 실내유묘검정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포장검정의 대량검정과 실내유묘검정의 정밀도 등 장점을 겸비한 유용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