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0

        102.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포장가속시험기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안정처리층의 피로모형을 개발하여 기존의 실내실험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아스팔트 안정처리층의 피로모형은 Miner(1945)의 누적파손(Cumulative Damage)가설을 적용하였다. 포장가속시험에 사용된 아스팔트 안정처리층은 골재최대입경 25mm(BB-3)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포장가속시험결과 피로모형의 변수인 포장하부의 최대인장응력은 하중재하회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포장층의 탄성계수는 점차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스팔트 피로모형의 기본식에서 변형률계를 통하여 얻은 인장변형률을 통하여 k1=1.29×10-6, k2=3.02의 값을 도출하였으며, 같은 인장변형률에서의 피로수명은 실내실험을 통한 모형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파괴실험인 FWD를 이용하여 포장의 잔존수명을 추정하는 논리를 개발하였다.
        4,000원
        107.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0.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2.
        200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3.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superovulation (PMSG, FSH) on the ovarian response of matured cows were tested. The survival rates of bovine embryos and ovarian oocytes frozen by slow, rapid freezing and vitrification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5 heads of cow were devided into 3 groups by injection dose of GTH (PSMG, FSH). Each group was superrovulated with injections of 2, 500, 3, OOOJU PSMG and 40mg FSH followed by injection of 30mg PGF2a. Embryos were non-surgically recovered from superovulated cows 6~7days after estrus. The recovered embryos were frozen in 10% glycerol + 10% sucrose by slow and rapid freezing. Ovarian oncytes were frozen in 20% g]ycerol+l0% ethylene glycerol + 30% Ficol + 10% sucrose by vitrification and the survival of frozen embryos and ovarian oncytes were judged by FDA-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strus after the injection of 2500, 3000 I.U. PMSG and 4Omg FSH were 32.8, 35.0 and 43.4 and the duration of estrus were 18.6, 18.8 and 22.4 hours respectively. 2. The average sizes of the left ovaries were 5.4cm (2, 500 IU PMSG), 5.1cm (3, OOOIU PMSG) and 6.4cm (FSH), and the right were 6.2cm (2, 5001U PMSG), 5.7cm (3, OOOIU PMSG) and 7.&m (FSH)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ght overies among treatments (P<0.05). 3. The average number of ovarian follicles in the left ovaries were 4.8 (2, 500 IU PMSG), 5.2(3, 000 IU PMSG) and 7.8 (FSH)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ght ovaries among treatments (P<0.05). 4. In the average numbers of ovulation points in the left ovaries were 3.0 (2, 5001U PMSG), 3.2 (3, OOOIU PMSG) and 4.4 (FSH) respectively, and the right were 7.2 (2, 5001U PMSG), 7.8(3, 000IU PMSG) and 11.4 (FS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ght ovaries among treatments (P<0.05). 5. The numbers of the recovered embryos were 20 (2, 5001U PMSG), 19 (3, 000 IU PMSG) and 21 (FSH) respectively, and oncytes and degenerted oncytes were 6.5 and 11.0 Estrus periods of post parturation were 52.4days (2, 5001U PMSG), 69.8days (3, OOOIU PMSG) and 62.4days (FSH) respectively. 6. The FDA score of cow morulae frozen by slow freezing, sernirapid frezing and vitrified freezing was higher in slow (3.1) and vitrified freezing (3.0) than that in semirapid freezing (1.28). The FDA-scores of cow, pig and rabbit ovarian oocytes frozen in 20% glycerol + 10% ethylene glycol + 30% Ficoll + 10% sucrose by vitrification were higher in cows (3.3) than both in pigs (2.6) and rabbits (2.3).
        4,200원
        118.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내부에서는 콜라겐의 합성 능력이 떨어지고 탄력섬유의 손상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발현이 증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눈가에 주름이 형성되기 전에 연령이 증가할수 록 피부 내부에서 피부 노화의 징후가 관찰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피부 내부에서 먼저 발생하는 노화의 징후가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 함유 크림(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의 효능으로 인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육안으로 눈가에 주름이 관찰되지 않는 21 ∼ 34세의 한국 여성 52명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에게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외부의 노화 징후가 관찰되지는 않지만 피부 내부에서 노화의 징후가 시작되는 시점을 진피치밀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육안으로 주름이 관찰되 지는 않았지만, 진피치밀도가 감소하는 연령대에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을 4주 및 8주 사용한 후에 진피치 밀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이 피부 내부에서 먼저 진행되는 노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이 향후 주름 개선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하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11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using the finite element program(ANSYS), was carried out the modeling for the stainless steel large capacity water tank.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e safety of the structure of the snow and wind load. In addition, we performed a optimization desig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for the combination load and maximum stress to occur into the allowable stress.
        12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피의 이상은 탈모, 비듬, 가려움증 등의 두피 질환으로 이어지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여서 발병하면 치료가 쉽지 않다. 따라서 두피의 생리적인 항상성을 유지해서 두피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두피 질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최근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분야에서는 한의학적으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약재들을 원료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한약재는 대량생산과 규격화 등의 문제로 뜨거운 물에 우려낸 열수추출물을 제형에 혼합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고온에 의한 영양소와 효능성분의 파괴는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적으로 두피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검은콩, 작약, 녹차 잎을 대상으로 성분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저온용출법으로 효능 성분을 추출하고, 이 추출물들의 두피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저온용출물들은 열수 추출물보다 평균 2배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보유하였으며, 모낭 및 모발 강화, 두피 보습, 가려움 방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검은콩, 작약, 녹차잎의 저온용출물은 두피 트러블을 해결하는 효과적인 두피 개선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