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

        101.
        199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102.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재식성안강망 그물은 본 연구의 제1보에서 그 1/20 크기의 모형어구를 측정.조사한 결과, 몇 가지 흠함이 규명되었으나, 여기서는 그 흠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망지배치와 구성을 새로하고, 그 1/20크기의 모형어구를 써서 전개장치를 측정.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로 설계된 어구의 특징은 (1) 망지배치는 등판.밑판.양 옆판의 앞끝을 재뢰식보다 20%정도 줄이고, 옆구리의 폭을 10%정도 늘였으며, 등판.밑판의 앞쪽 중앙부는 길이의 20%정도까지 만곡되게 사단했다. (2) 뜸줄.발줄의 길이는 망지배치상 재뢰식보다 6%정도 짧게 했다. (3) 그물의 네모서리에서 적당한 성형을 하면서 힘줄을 붙였다. (4) 전개장치의 높이는 재뢰식보다 17%정도 짧게 했으며, 상단에 붙이는 뜸의 부력은 20%정도 크게 했다. (5) 네갈랫줄의 길이는 중앙부의 것을 길게, 상하의 것을 짧게 했다. 2. 이 어구로서 측정한 결과는 (1) 등판.밑판 앞쪽 중앙부의 구김살이 제거되어 상면에서 본 그물 언저리 선이 원활해 졌다. (2) 망구의 전개 높이는 재뢰식보다 3%정도 커졌다. (3) 망구의 전개간격은 재뢰식보다 1.5~1.6배로 커졌다. (4) 유체저항은 재뢰식보다 10~17% 작아졌다
        4,000원
        103.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시 선적의 근해안강망 어선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구의 1/10, 1/20 모형을 제작하여 흐름이 비교적 빠른 연안에서 전개상태를 측정 및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개장치의 전개높이, 전개간극 등은 네갈랫줄의 상대적 길이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바와 같이 네갈랫줄의 길이를 길게 하고, 맨 위쪽 줄의 길이를 그 보다는 짧게한 방식이 효과적이며, 가장 효과적인 것은 갈랫줄의 길이를 아래로부터 차례로 맨 아랫것 보다 5%, 9%, 4%씩 길게 한 것이 전개 높이, 전개간극, 전개면적 등의 모든 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2. 흐름이 빨라지면 등판과 밑판의 평면형상은 뜸줄과 발줄이 아주 심하게 만곡되고, 그물 길이의 2/5 정도까지는 망지가 뒤로 많이 쏠려서 망구에 있어서의 물의 여과를 혼란시켜 어군의 입망을 방해할 것 같고, 또 밑판이 해저의 장애물에 걸렸을 때는 파망의 우려가 크다. 3. 유체저항을 실물어구의 것으로 환산하면 R=29.2×103 v1.65 이라고 표현되고, 이것을 그물의 설계상 구성요소를 고려한 식으로 바꾸면 R=5.9×d/l×abv1.65 이라고 표현된다.
        4,000원
        104.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답전윤환밭과 연속밭에 풋옥수수 찰옥4호 등 8품종을 사용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발생, 생육 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풋옥수수의 체계적인 유기농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률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발병률이 2% 미만인 흑진주찰과 대학찰 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 피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 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피해주율이 낮 은 찰옥4호와 흑점2호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수량은 윤환밭에서 연속밭의 85 %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답전윤환밭에서는 찰옥4호가 789.0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 다. 내병성, 내충성, 수량을 종합 평가하면 유기농 답전윤환 시 적합 품종으로는 찰옥4호, 흑진주찰, 흑점2호로 판단된다.
        10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5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2%를 차지하며 전체 노인 인구 중 독거 노인수가 2020년에 343만 명으로 늘 어날 전망이다(통계청, 2015). 독거노인은 일반 노인에 비해 친인척 등으로 부터의 도움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일상생활 수행에서도 도 움을 제공받기에 취약하여 우울감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Smith et al.,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물을 매개로 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독거노인들의 우울증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자원봉사센터에서 독거노 인 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12일부터 11월 17일까지 월 2회씩 총 16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2급 복 지원예사 2명((사)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과 3명의 실습생이 보조를 하였다. 독거노인들의 근심, 침울감, 무력감, 무가치감을 나타내는 기 분장애인 노인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Sheikh와 Yesavage(1986)가 개발한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를 우리나라에 맞게 수정한 한국형 단 축 노인 우울척도지(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독거노인 의 우울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우울감은 15.40±5.64점에서 17.73±3.5점으로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P=0.019). 프로그램 선호도는 꽃장식, 공예활동, 식물심기 순으로 선호하였다. 원예활동 시행 중 관찰된 변화는 처음에 무관심한 반응을 보이던 대상자가 시간 이 지남에 따라 표정이 밝아지며 말수가 늘었고 실습기간 동안 결석도 없이 적극적인 참여와 태도를 보여 주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보면 원 예활동 프로그램이 독거노인들의 우울감 감소에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106.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적 폐기물관리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자원순환형 기술개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받아 국내 정책 또한 저에너지소비형 자원순환 사회 구축을 위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1992년 리우지구정상회담 이후 지속가능 발전이 국제사회가 추구해야할 목표로 제시되었으며 2002년 지속가능 발전 정상회담(WSSD) 등을 통해 범지구적인 규제와 협약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최근 2016년 파리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에서 기존의 기후체재보다 강제성을 띈 규제의 발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신기후변화체재의 대응을 위해 2016년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저탄소 에너지 정책으로의 전환, 탄소시장 활용을 통한 비용효과적 감축, 기후변화대응 신산업 육성 및 신기술 연구투자 확대와 같은 정책적 흐름을 만들고 있다. 지속가능 발전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신재생에너지관련 정책에 있어서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과 저에너지소비형 기술개발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내포하고 있다. 2020년까지 국내 1차 에너지 중 5.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이며 전체 신재생 에너지 중 폐기물의 비중은 약 50%에 해당되는 만큼 매우 중요한 에너지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의 자원화 방법 중 고형연료 제조기술로 생산된 SRF를 이용하여 공기비와 화상부화율의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의 변화에 대해 주목하였다. 연소로의 로내 온도 변화와 연소가스의 조성, 가스상/입자상오염물질의 배출 특성을 비교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10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로 연평균 강수량이 1910년대 1,155mm에서 2000년대 1,375mm로 약 19% 증가했으며 21세기말에는 약 17%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 1일 100mm 이상 집중호우의 발생빈도는 총 385회로, 70~80년대 222회에 비해 1.7배나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기상의 변화가 심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강원지방의 경우 대부분 지역이 산악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어느 지역보다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높은 태백산맥으로 인해 영서 및 영동으로 구분되어 산악 및 해양성기후를 모두 가지고 있는 특이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강원지방의 기후가 최근 어떤 특성변화가 있는지 ETCCDI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지수를 이용하여 정량화하고자 한다.
        109.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to recent meterological disasters, social awareness for safety of infrastructure is heightened by increasing natural disasters such as Fukushima accident, landslide of Umyeon mountain. Also scale of landslide is increased in Korea but safety review of dam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reviewed data(reservoir capacity, type of dam, danger map of korea forest service, satellite pictures, geologic map, etc.) and conducted site investigation whose the area is the most dangerous. Based on the results, we choose the most dangerous dam and analysis site close examination, slope stability analysis, scale of debris flow, etc. As a result, we will conduct measures establish on reinforcement and final evaluation of landslide's hazard.
        110.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performed structural analysis by boundary condition of pile head. At result, proposed reinforcement length and calculation formula in Super Pretensioned and Reinforc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11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was investigated for the feasibility of recycling lawn waste from a golf course to use liquid fertilizer. Turfgrassclippings, microbial agent, waste molasses and synthetic culture medium were used as a raw material of liquid fertilizer,and those were fermented anaerobically to investigate the optimum mixing ratio and fermentation period. The sanitarysafety of liquid fertilizer was evaluated as well. When the turfgrass clippings and waste molasses were used as a rawmaterial of liquid fertilizer, increase of the amount of waste molasses resulted in the decrease of decomposition rate oforganic matter. When the high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wastes were decomposed, the organic acids were accumulatedby the predominant acid forming stage resulted in inefficient anaerobic digestion. The optimum mixing ratios for 1 gramof grass waste were 2.4 to 3.6mL for sugar and 1.6 to 2.4mL for EM (Effective Microorganism), respectively. It wasalso found that optimum fermentation period was about 15 days.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from the manufacturedliquid fertilizer was less than the standards guideline. The microorganisms were observed by SEM (Scanning ElectronMicroscopy) and spherical and rod shaped microorganisms were predominated. The sizes of spherical and rod shapedmicroorganisms were 0.7~0.8µm and 0.7×1.3µm, respectively. The population density of microorganisms wasincreased rapidly after the 15 days.
        11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수량은 건물생산성에 비해 고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하는 형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등숙기 고온이 종실의 발달, 품질특성 및 수분흡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1. 등숙온도가 높을수록 백립중은 감소되었는데, 황금콩은 선유콩에 비해 감소폭이 컸고, 등숙기 지속적인 고온은 종실비대를 억제시켜 소립종의 비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종피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 등숙온도가 높을수록 지방 함량 및 C/N율이 감소되고,단백질 및 총당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당의 조성으로볼 때 단당류와 이당류는 증가되고 올리고당류는 오히려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고온은 동화물질의 축적을억제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3. 고온에서 등숙된 콩은 침지초기에 부피 및 무게의 증가가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졌으나 침지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부피 및 무게증가율이 모두 낮게 나타났고, 황금콩은 선유콩에 비해 침지에 따른 부피증가율 및 무게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4. 콩의 백립중과 종피율은 침지에 따른 종실의 부피 및무게증가율뿐만 아니라 용출액의 TDS와 EC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형질로 판단되었고, 단백질 함량과C/N율은 TDS 및 EC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당함량은 부피증가율과 무게증가율뿐만 아니라 TDS 및EC와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5. 따라서 등숙온도가 높을수록 종실에 동화물질의 축적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져 침지에 따른 가용성 고형물의용출량이 많아지고, 결과적으로 TDS 및 EC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1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생육반응, 수량성 및 isoflavone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밭작물의 안정생산을 위한 재배기술개발에 활용하고자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월파종구는 6월파종구에 비해 콩 식물체의 생육이 왕성하고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약 40일까지 비교적 높은 상태가 유지되지만, 6월파종구는 개화 후 등숙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30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2. 6월 파종구는 5월 파종구에 비해 100립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생육온도가 높으면 100립중이 증대되었으나 control + 5℃ 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어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별 등숙 반응이 달랐다. 3. Isoflavone 함량은 5월파종구의 평균이 1201.8ug/g 이었으나 6월파종구는 1479.8ug/g 으로 5월파종구 대비 약 278ug/g 함량이 높았다. 생육온도에 따라서는 5월파종구 Mc + 3℃ 및 Mc + 4℃ 처리구는 isoflavone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Mc + 5℃ 의 isoflavone 함량은 오히려 낮았고, 6월파종구는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isoflavone 함량이 감소하여 파종시기별 온도처리 효과가 달랐다. 4.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oleic acid의 조성이 증가되고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감소되었으나 palmitic 및 stearic acid의 조성도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5. 주경절수는 isoflavone 함량 및 불포화지방산 조성에 모두 관여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주경절수와 isoflavone 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부의 상관관계(r = -0.661)가 있었고, 불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관계(r = 0.775)를 보여 주경절수가 증가되면 isoflavone 함량이 낮아지고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의 증가에 관여하는 형질로 판단되었다.
        114.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destruction types and causes of timbacrib wall through detailed investigation on a large timbacrib wall construction site. As a result, the damage of member was 5.7%(2,315 locations) and 80.2% of damaged member was occurred in the member of header. The 65.7% of the damaged header was concentrated in the lower position of wall. From the result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damage cause and type is different in the kinds of member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distortion of member can have a various effect on the timbacrib wall.
        115.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hows experimental loading tests on monolithic and spliced hybrid PSC girders with Y-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s. The main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static behaviors of joint parts in the spliced girder and load-resisting capacity of Y-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s in steel-concrete composite connections. Two specimens (monolithic and spliced girder) with 10.3m length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As results of the loading tests, static it is expected that the spliced girder can be utilized effectively in practical design. In addition, Y-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s can be applied adequately in steel-concrete composite connections.
        116.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형강판 구조물은 기존의 단지간 구조물에 비하여 더 큰 압축력과 활하중에 유연한 휨거동을 나타내며, 시공중에는 활하중에 의한 비대칭 토압분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 및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고 휨변형에 탁월한 대골형 파형강판의 볼트 이음부의 극한강도 및 모멘트강도 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트 이음부의 보강량 증가에 따른 강도 증가와 시험체의 파괴양상을 비교함으로서 대골형 파형강판 시험체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17.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straciiform swimming mode allows the simplest mechanical design and control for underwater vehicle swimming. Propulsion is achieved via the flapping of caudal fin without the body undulatory motion. In this research, the propulsion of underwater vehicles by ostraciiform swimming mode is explored experimentally using an ostraciiform fish robot and some rigid caudal fins. The effects of caudal fin flapping frequency and amplitude on the cruising performance are studied in particular. A theoretical model of propulsion using rigid caudal fin is proposed and identifi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 experimental method to obtain the drag coefficient and the added mass of the fish robot is also proposed.
        11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타타리메밀싹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가공상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타타리메밀싹 발효추출물의 영양성분과 생리활성을 검정하였다. 일반 영양성분분석에서는 메밀싹 발효추출물은 단백질, 나트륨, 아연, 마그네슘에서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메밀전초 발효추출물은 나머지 무기물과 비타민에서 높게 나타났다. 동물실험을 통한 항당뇨 및 혈중지질에 관한 생리활성 검정 결과, 메밀싹 발효추출물이 짧은 기간의 실험임에도 불구하고 혈중 LDL-cholesterol의 수치를 낮추고, HDL-cholesterol의 수치를 올려주어 혈중 total lipid를 낮추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맥경화지수인 atherogenic index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타타리메밀싹의 발효추출물은 혈중 지질의 개선을 통해 순환기 질환에 효과를 줄 수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제품화하여 메밀의 새로운 수요창출 및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동물실험 및 제품이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한 관능검사 등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119.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13분류군이며, 목본식물은 25과 51속 70종 9변종 7품종 86분류군(27.5%)이고, 초본식물은 43과 140속 194종 32변종 1품종 227분류군(72.5%)이 조사되었다. 초본식물 227분류군 중 일년생 초본은 42분류군(18.5%), 이년생 초본은 24분류군(10.6%), 다년생 161분류군(70.9%)가 분포한다. 2. 조사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범위로 3A가 37분류군, 3B가 16분류군, 2A가 70분류군, 2B가 96분류군, 1A가 9분류군, 1B가 85분류군으로 분포하고 있다. 3. 자원식물은 293분류군이다. 유용성에 따라 식용자원 156분류군(49.8%), 약용자원 223분류군(71.2%), 관상자원 141분류군(45.1%), 초지자원 69분류군(22%), 공업원료자원 12분류군(3.8%), 목재자원 8분류군(2.6%)으로 나타났다. 4. 특산식물로는 10과 10속 9종 2변종 1품종 12분류군 (3.8%)이다. 5. 환경부의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미선나무와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위기종인 붓꽃과의 솔붓꽃이 조사되었다. 6. 식물구계학적인 특정식물종 V등급의 1종, IV등급의 1종, III등급의 5분류군, II등급의 3분류군, I등급의 9종으로 모두 19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 7. 귀화식물은 10과 20속 23종 1변종으로 2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환경부의 자연환경 보전법에 의한 생태계 교란외래식물은 돼지풀과 서양등골나물 2분류군이 있다. 귀화율은 7.7%, 도시화지수는 8.4%로 분석되었다. 8. 귀화식물의 귀화도 5등급의 13분류군, 4등급의 1종, 3등급의 8분류군, 2등급의 1종, 1등급의 1종이 있다. 이입 시기로는 제1기 귀화식물 12분류군, 제 2기 귀화식물 3분류군, 제 3기 귀화식물 9분류군이 있다. 9. 원산지별 귀화식물로는 중국 1종이 있고, 유라시아 4분류군, 유럽 10종, 중북미 9분류군이 도입되었다. 생활형을 구분하여 일년생 초본은 7분류군, 이년생 초본은 5분류군, 다년생 초본은 10분류군이 있으며 목본으로는 2분류군이 있다.
        120.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valuat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a facility in which freshly cut onions were prepared. The total plate counts on walls, equipment, and raw materials were ND (not detected) to CFU/100 , CFU/100 , and CFU/g, respectively. No coliforms were detected on walls however, coliforms were detected at concentrations of ND to CFU/100 and CFU/g on equipment and raw materials, respectively. The total plate counts for falling and floating bacteria in the processing plant were ND to CFU/plate and , respectively.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on walls, equipment, or raw materials.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hygiene control at the fresh-cut processing plant should be improved.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