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101.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출수 후 수확할 때까지 이삭이 전혀 추출하지 않고 엽초에 싸여 등숙되는 특성을 가진 Nepal의 수도품종 GAMADI를 포장 및 벽실 양조건의 8시간, 자연일장 및 24시간 일장하에서 생육시켜 일장조건이 GAMADI 품종의 이삭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8시간과 자연일장 조건에서는 이삭이 전혀 추출되지 않았으며 24시간 일장조건에서 생육된 경우에만 전체 이삭 길이의 71% 정도가 추출되었다. 2. 24시간 일장조건에서는 상위 제일절간신장 정도가 8시간과 자연일장에 비하여 현저하여 이삭추출과 유의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제3 및 제4절간신장 정도는 자연일장에 비하여 8시간 및 24시간 일장조건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4. GAMADI 품종의 수장, 수당입수는 일장에 영향하지 않았다. 5. 수원의 자연상태에서의 GAMADI 품종의 임실율은 Nepal에서 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102.
        198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양수분이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경Pot(1/2000cm)에 묘삼을 이식하여 토양수분함량별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장황, 근수량과 지상부 형질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생육에 대한 토양의 적정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65. 5%(절대수분 22.1%였고 생육이 정지되는 토양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31.5%(절대수분 10.7%)였다. 2. 토양수분 함중이 적은 곳에서는 출아 및 전엽율이 상당히 지연되었으며 엽면적외 감소와 지상부 결주가 많아져 근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였다. 3. 근수량은 엽면적(r=0.91**) 경직경(r=0.76**) 경장(r=0.71**) 지상부생중(r=0.96**)간에 각각 정의 상기관계가 있었고 지상부 결주율(r=-0.77**) 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생근중과 수분함량(r=- 0.80**)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어 수분이 충분한 곳에서 자란 인삼은 조직이 치밀함을 나타내었다.
        103.
        198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인삼농가포장에서 행별로 수량, 결주 및 이병주를 조사하였다. 평당수량은 결주율과 부의 상관이었다. 행간에 대부분의 포장에서 수량에 유의차가 있으나 결주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행별수량기여율은 전3행에서는 20% 이상이었다. 평균결주율은 32% 생존주에 대한 이병율은 24%, 건전주율은 53%였다. 결수율은 이병율과 유의 정식관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행별수량은 현행일복방식에 영향을 받으나 결주와 수량감소를 초래하는 발병은 영향받지 않으며 따라서 수량증대에는 일복개량과 병해방제의 두 길이 있음을 시사한다. 평균수량한계는 3kg으로 보였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