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0

        10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대극(Euphorbia jolkinii Boiss.)은 우리나라 제주도 및 남부 해안가 암석지에서 자생하는 대극과(Euphorbiaceae)의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등잔모양꽃차례가 황록색으로 3월부터 5월까지 긴 기간 동안 개화하기 때문에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할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암대극을 재배화하고자 우선적으로 제주도의 자생지 환경과 개체군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주도 전역의 해안을 따라서 암대극 개체의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40여 지점에 걸쳐 약 14,817개체가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제주도 본섬의 동쪽에 위치한 우도에 1,075개체(전체의 7.3%), 북서쪽에 위치한 비양도에 952개체(6.4%), 남쪽에 위치한 가파도에 589개체(4.0%)가 조사되었다. 암대극은 주로 제주도 본섬 남동부 해안가 암석지대에 집중적으로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가파도, 우도, 비양도의 경우에도 섬 동쪽지역에만 분포되어 있었다. 암대극의 생육은 자생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초장, 줄기 길이, 줄기 직경은 꽃 크기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든 지역에서 꽃이 피는 시기는 3월 말로 비슷하게 개화가 시작되었고, 6월 초에는 대부분의 꽃에서 종자가 성숙하여 탈리되었다. 암대극의 주변 식생은 갯개미자리, 돌가시나무, 순비기나무, 갯강활 등 30여 종이 분포되어 있었고, 초본이 80%를 차지하는 데에 반해, 목본은 20%로서 초본식물이 주를 이루었다. 토양의 pH는 8.3~9.4의 범위에 있었으며, 염분 농도는 0.003~0.017%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은 중문에서 1.9%, 가파도에서 1.4%, 표선면에서 1.0%로 나타났고, CEC는 가파도에서 10.7cmol+/kg, 표선면에서 5.6cmol+/kg, 중문 지역에서 1.3cmol+/kg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는 중문, 가파도, 표선면에서 각각 0.47dS/m, 0.19dS/m, 0.16dS/m으로 나타났고, Cl-은 57.45mg/kg, 63.01mg/kg, 8.12mg/kg으로 나타났다. 중문에서 유효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4,000원
        106.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염식식습관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고 공중보건을 위협할 수 있다. 그 동안 고염식식습관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나 건강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염식식습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고염식의위험성과 식습관의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고염식식습관을 얼마나 예측하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식습관 개선 교육을 위한 시 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호동기 이론의 하위요인인심각성, 취약성, 효율성, 효능 및 행동 경향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설 문지를 충남소재 대학의 대학생들과 그들의 가족을 대상 으로 배포하였다. 설문결과를 SPSS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은 장년층보다 나 트륨섭취가 더 많았다. 둘째, 상관관계분석에서 장년층은 고염식으로 인한 위험에 취약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고 염식을 억제할 수 있다고 확신할 때 까지는 식습관을 바꾸지 않는다. 셋째, 구조모델분석에 따르면 대처지각이 높을수록 고염식식습관의 경향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 결과는 고염식식습관을 줄이기 위해서는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고 저염식을 하였을 때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인식 시킴으로써 대처지각을 높이는 방안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4,000원
        10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velopmental biolog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mmature stages of Argynnis nerippe were studied in the laboratory using host plant, Viola papilionacea. Dormancy of the first instar larvae was broken when exposed in summer-like conditions (25 ± 1℃ and continuous illumination of 5000-7000 lux). Feeding began within 1-2 days after awakening. This species has six larval stadia and individuals take ca. 60 days (excluding dormancy) to mature from egg to adult. Illustrations and descriptions of the various immature stages and their behaviors are provided.
        11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omenclatural changes are provided for Sorbus-feeding Cacopsylla moiwasana (Kuwayama, 1908) species group. Thirteen Palaearctic Cacopsylla species have been recorded from Sorbus L. (Rosaceae), and of these, seven species restricted to East Asia. Among the East Asian species, four Japanese species, i.e. C. elegans Inoue, 2004, C. jezoensis (Miyatake, 1963), C. midoriae (Miyatake, 1963) and C. moiwasana (Kuwayama, 1908), assigned to C. moiwasana species group. Above the latter three species very similar to each other, allopatrically distributed, and all or some of them could be synonymous. The present investigation of the type material resulted in confirmation that Psylla jezoensis and P. midoriae should be treated as junior synonym of P. moiwasana. The following synonyms are proposed: Cacopsylla moiwasana (Kuwayama, 1908) = Psylla jezoensis Miyatake, 1963, syn. nov., Psylla midoriae Miyatake, 1963, syn. nov. The species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11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rinae is the most diverse subfamily within the family Miridae (Hemiptera: Heteroptera), and includes more than 4,000 species. In Korea, mirids were first recorded from Jeju Island in the mid-1960s. Since that study, numerous plant bug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newly recognized and described. Previously, 101 species of Mirini were recorded from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we provide an additional information of Mirini in Korea with a description of new species and new records.
        11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Bi-Sb-Te thermoelectric materials are produced by mechanical alloying (MA) and spark plasma sintering (SP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milling atmosphere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rmo-electric (TE) properties, a p-type Bi-Sb-Te composite powder is mechanically alloyed in the presence of argon and air atmospheres. The oxygen content increases to 55% when the powder is milled in the air atmosphere, compared with argon. All grains are similar in size and uniformly, distributed in both atmospheric sintered samples. The Seebeck coefficient is higher, whil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lower in the MA (Air) sample due to a low carrie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MA (Ar) sintered sample. The maximum figure of merit (ZT) is 0.91 and 0.82 at 350 K for the MA (Ar) and MA (Air) sintered samples, respectively. The slight enhancement in the ZT value is due to the decrease in the oxygen content during the MA (Ar) process. Moreover, the combination of mechanical alloying and SPS process shows a higher hardness and density values for the sintered samples.
        4,000원
        11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onfused taxonomy of the east Palaearctic pear psyllids, serious pests on cultivated pear, is reviewed. Fifty-sixnominal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Pyrus, 25 of which we consider valid and ten as not being associated withPyrus. Our taxonomic revision suggests that, in Korea, four Cacopsylla species develop on pear. Three species occuralso in Japan. New synonyms are suggested and seasonal dimorphism are critically discussed.Key words : Psyllidae, Cacopsylla, taxonomy, host plant, Pyrus, Rosaceae, Manchrian pear, Asian pear, European pear, China,Japan, South Korea, Russian Far East
        11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st Nile Virus (WNV) is transmitted by infected mosquitoes. Vector mosquitoes usually acquire these pathogens fromfeeding on an infected host, and transmit the pathogens to a naive host during feeding events. To understand the virustransmission dynamics and to survey WNV throughout country,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We collected mosquitoesat urban parks in Seongnam, Wonju, Gunsan, Daegu, and Tongyeong using CDC light trap with Dry ice from April toSeptemper in 2017 (mosquito collecting is on going). Among collected mosquitoes, blood-fed mosquitoes were conductedblood meal identification assay and the other mosquitoes were subjected to virus detection using real-time PCR method.A total of 2,290 mosquitoes representing 6 genera and 15 species were collected.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ulexpipiens complex (42.1%) followed by Aedes albopictus (15.1%), Ae. vexans nipponii (14.6%), Ochlerotatus koreicus (9.8%),Cx. orientalis (6.5%), and Armigeres subalbatus (4.4%). The blood meal source were of mammal (93.3%), and birds (6.7%).So far, no WNV has been detected in any mosquito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