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4

        10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땅나리와 섬말나리의 수요는 최근까지도 늘어났지만 종자 상태에서 개화에 이르기까지 확률은 낮은 편으로 자생지에서의 개체수는 해마다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땅나리(Lilium callosum Siebold & Zucc.)와 섬말나리(L. hansonii Leichtlin ex D.D.T. Moore)의 대량증식을 도모하기 위하여 종자 발아에 유리한 주·야간 온도 조건과 적합한 GA3 농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땅나리 종자는 2017년 10월 24일 강원도 춘천히 둔산면 원창리(37°47’10.00”N, 127°44’31.00”E), 섬말나리 종자는 2017년 10월 2일 울릉도 울릉군 북면 나리 (37°31’27.06”N, 130°52’25.08”E)에서 채종하였다. 땅나리와 섬 말나리 종자들을 주·야간 15/5, 20/10, 25/15, 20/20°C의 환경 조절상에서 처리구 당 30립씩 3반복으로 치상하여 온도 처리 실험을 진행한 후, 발아율 결과가 가장 우세했던 온도 조건의 환경조절상에서 섬말나리 GA3 처리 실험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온도 처리 실험결과 땅나리는 20/20°C의 온도 조건에서 발아율이 95.0%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 또한 10.1일로 가장 낮았다. 섬말나리는 20/20°C의 온도 조건에서 발아율이 78.8%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 또한 40.1일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토대로 20/20°C에서 실시한 섬말나리 GA3 처리 실험은 증류수를 대조구로하여 200, 400, 800mg・L-1의 농도로 상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처리구 당 20립씩 3반복으로 치상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서 81.6%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는 200mg・L-1처리구에서 37.1일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땅나리와 섬말나리의 주·야간 발아 최적 온도는 20/20°C이며 GA3 24 시간 처리는 섬말나리 종자 발아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 되었다.
        4,000원
        104.
        202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체 원전에서 총 폐기물의 약 70~80%에 해당하는 많은 양의 콘크리트 폐기물은 해체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해체 시 발생된 콘크리트 폐기물은 핵종별 농도에 따라 규제해제 폐기물과 방사성폐기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성 콘크리 트 폐기물의 처분 비용을 저감하기 위하여 자체 처분 및 제한적 재활용을 위한 제염 작업의 수행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폐기물의 효율적인 제염 작업을 위해 내부 방사능 분포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원전 해체 시, 발생되는 콘크리트 폐기물의 내부 방사능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다양한 컴프턴 영상 재구성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다양한 컴프턴 영상 재구성 방법으로 단순 역투사(SBP), 필터 후 역투사(FBP), 최대우도 기댓값 최대화 방법(MLEM), 그리고 기존 의 MLEM의 시스템 반응 함수에 에너지 정보가 결합되어 확률적으로 계산하는 최대우도 기댓값 최대화 방법(E-MLEM)이 사용되었다. 재구성된 영상을 획득한 후, 정량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영상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 및 평가하였다. MLEM 및 E-MLEM 영상 재구성 방법은 각각 재구성된 영상에서 높은 이미지 분해능과 신호 대 잡음비를 유지하는데 있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원자력 시설 해체 시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내부 방사능 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컴프턴 영상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000원
        11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four Brucella (B.) abortus recombinant proteins, namely adenylate kinase (Adk),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Ndk), 50S ribosomal protein (L7/L12) and preprotein translocase subunit (SecB), as a combined subunit vaccine (CSV) against B. abortus infection in BALB/c mice. Immunoblotting assay showed that these four recombinant proteins as well as pcold-TF vector reacted individually with Brucella-positive serum, but not with Brucella-negative serum. The peripheral blood CD4+ T cell population was increased in CSV-immunized mice compared to PBS and pcold-TF vector groups. In addition, CSV and pcold-TF groups displayed induced IgG1 and IgG2a antibodies production compared to PBS and RB51 group, whereas IgG2a titer was higher than IgG1 titer in CSV group. The secretion profiles of IgG1 and IgG2a production together with an enhancement of CD4+ T cell population suggested that CSV did not only induce T helper 1 (Th1) T cell immunity but also humoral immunity. Therein, Th1 T cell immunity is more predominant in eliminating intracellular bacteria B. abortus. Furthermore, CSV immuniz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bacterial burden in the spleen as well as the spleen weight in comparison to PBS and pcold-TF groups. Altogether, combination of these antigens could be potential to induce protective immunity against B. abortus infection in animals.
        4,000원
        11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arn or cycle of grazing on changes of biochemical metabolites in prepartum and changes of milk composition in postpartum of dairy cow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sixteen 25 months old Holstein primiparous dairy cows were allocated in two groups (n=8)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571.61 ± 35.30 kg (Barn) and 578.10 ± 39.20 kg (Grazing).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2018 to October 2018. Results revealed that barn raised dairy cows had a higher increase in their serum albumin and calcium level on day 14 prepartum. However, the level of palmitic acid, 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level of fat, oleic acid, γ-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significantly in barn raised dairy cow’s milk on day 14 postpartu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with respect to all other biochemical metabolites, fatty acids and minerals between barn raised and cycle grazing dairy cows during prepartum and postpartum. Our study results could serv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barn raised cow with respect to changes of biochemical metabolites in prepartum and changes of milk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content in grazing dairy cows in postpartum for estimating their physiological status.
        4,000원
        11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LB/c mice were vaccinated with Brucella (B.) abortus recombinant protein L27 (50S ribosomal protein L27) cloned into a pMal vector system. L27 was induced, purified and injected intraperitoneally (IP). Mice were vaccinated on 0-, 15- and 35-day. Serum cytokines were evaluated on 36- and 49-day from first vaccination.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fected with 5×104 CFU of virulent B. abortus 544 on day-50 and sacrificed after two weeks from infection. Bacterial burden from the spleen was quantified and showed a 0.7- and 0.9-log reduction in vaccinated mice in comparison to PBS and MBP (maltose binding protein) groups respectively. Cytokines in the serum demonstrated increased interferon-gamma (IFN-γ) and other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macrophag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and interleukin 6 (IL-6). On the other hand, interleukin 10 (IL-10) was attenuated in the sera of vaccinated mice. This cytokine profile is indicative of a cell-mediated type of immune response which is favorable for the eradication of intracellular infections. The current study showed the potential of another B. abortus ribosomal protein in inducing protective immunity against B. abortus infection.
        4,000원
        11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imple and fast analytical method based on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was developed for detection of the veterinary drugs acetanilide, anthranilic acid, antipyrine, cyproheptadine, diphenhydramine, DLmethylephedrine, and phenacetin in bovine milk. The target analytes were extracted from milk samples by using acetonitrile followed by clean-up with C18 and liquid-liquid purification with saturated n-hexane. A reverse-phase analytical column was employed with a mobile phase comprising (A) 0.1% formic acid in distilled water and (B)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to achieve the best chromatographic separation. Matrix-matched calibration curves (r2 ≥ 0.9986) were constructed using six concentrations (1, 2, 5, 10, 20, and 40 μg/kg) of drugs in the milk matrix. Recoveries at three drug-spiking levels (5, 10, and 20 μg/kg) ranged from 71.2% to 103.8% with intra-day and inter-day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 8.6%. The calculated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were 0.19-7.1 μg/kg.
        4,000원
        11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previous studies depicting origin and sequence variability of the species using DNA barcoding region with the samples collected from Korea showed relatively low sequence variability. Thus, additional markers that reveal higher variability were necessitated to scrutinize population structure in connection with dispersal and invasive dynamics among international populations. Therefore, we sequenced two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mitogenomes) of M. pruinosa from the two haplotypes occurring in Korea (H1 and H3). Comparison of the two mitogenomes each with 16,312 and 16,314 bp evidenced that one region located in the A+T-rich region to provide higher number of haplotypes (4 vs. 3), sequence divergence (1.636% vs. 0.636%), and variable sites (7 vs. 3) than those of DNA barcoding region from the screening test using 13 representative individuals. This variable region, in concatenation with the currently available DNA barcoding region might be useful for population genetic analysis of worldwide populations including those of Korea.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paper.
        11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late aphids needs reliable and appropriate methods such as morphometrics. In previous studies, the seven species which aphids have been known as migrating to potato had been separated into genus levels using specific points of forewing vein (Landmarks). Adding the number of secondary sensillum of antennae, setae of abdomen, etc., we experimented to separate four species of genus Aphis (Aphis craccivora, Aphis fabae, Aphis gossypii, Aphis spiraecola). After taking each of 25X twenty photographies of four species, we calculated and measured coordinates of landmarks, the number of secondary sensillum of antennae, dorsal setae of 8th abdominal segment, anterior/posterior genital plate setae and cauda, and then perform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PAST3 and the canonical variate analysis using MORPHO J, only with a landmarks. As results, in PCA, Aphis gossypii has been separated, but the others are overlapping. In CVA, all species of aphis has been separated.
        11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파밤나방 등 다양한 나비목 해충에서 diamide 계통의 살충제 (IRAC group 28)의 저항성이 많이 보고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저항성이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강릉에서 2018년 채집한 파밤나방의 경우 Chlorantraniliprole에 대하여 감수성 대비 2,500배 이상의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추천 농도 처리 시 30% 이하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며 Cyantraniliprole, Cyclaniliprole, Flubendiamide에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냈다. 이 저항성 집단에서 diamide 계통 살충제의 작용점인 ryanodine receptor에 이미 보고된 G4946E 돌연변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새로운 I4760M 돌연변이를 발견하였는데, 2014년 배추좀나방에서 보고된 돌연변이와 위치가 동일하였다. 따라서 I4760M 돌연변이는 파밤나방에서 diamide 저항성에 관여 할 것으로 판단한다.
        12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적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PRISMA) guidelines의 보고 지침 체크리스트 항목을 바탕으로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CINAHLPychINFO, Embase, Cochran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Cochrane Risk of Bias Tool을 통하여 각 연구의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다. 검색어에는 “MCI”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hysical activit*” OR “physical performance” OR “physical exercise*”, AND “executive function*”을 사용하여 최종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무작위대조군 연구 11편을 선정하였다. 결과 : 중재는 주로 그룹으로 진행 되었으며 복합적 중재보다는 단일 중재가 많았다. 중재를 진행한 전문가는 피트니스 전문가,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가 많았다. 실행기능을 측정한 도구로는 TMT-A(21.4%)와 TMT-B(17.9%)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로 사용된 신체적 활동으로는 유산소 운동과 (8편, 72.7%) 무산소 운동 (7편, 63.6%)이 많았다.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을 포함한 중재는 실행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여가 활동을 제공한 중재는 실행기능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적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실행기능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업치료는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로 인지적 접근과 더불어 신체적 활동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