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0

        118.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멸구에 대(對)한 벼품종간(品種間)의 피해(被害)와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하였다. 1983 년(年) 전남(全南) 해남(海南)에서 29개(個) 벼품종(品種)을 살충제무산포구(殺蟲劑無散布區), 살충(殺蟲) 및 살충제무산포구(殺蟲劑無散布區), 살균제무산포(殺菌劑無散布) 두어 이앙(移秧)하고 충밀도(蟲密度), 벼고사시기(枯死時期),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삼강(三剛)벼, 가야(伽倻)벼, 한강(漢江)찰벼, 청청(靑靑)벼는 극히 낮은 밀도(密度)와 피해(被害)가 없었고 밀양(密陽) 30호(號)와 원풍(圓豊)벼는 중간정도(中間程度)의 밀도(密度)와 피해(被害)를 보였고 그 이외(以外) 품종(品種)은 높의 밀도(密度)와 고사현상(枯死現狀)을 나타냈다. 살충제무산포(殺蟲劑無散布)에 의한 수량(收量) 감수효과(減收效果)가 적었던 품종(品種)은 가야(伽倻)(12%), 삼강(三剛)벼(29%), 한강(漢江)찰벼(35%)였고 감수효과(減收效果)가 컷던 품종(品種)은 복광(福光)벼(260%), 팔금(八錦)(223%), 송전(松前)벼(200%), 관악(冠岳)벼(200%)였다.
        4,000원
        11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property and soil biota characteristics through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for a one-year period before creation of a tea plantation as follow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ate tended to decrease after sod-culture by green manure cultivation and open-pollination, when compared to the level before cultivation. The ratio soil porosity increased by approximately 30% when Crotalaria juncea and Sorghum bicolar L. Moench were cultivated, while the soil bacteria and fungi also increased. In a research on microfauna using a pit fall trap, the population number of the microfauna was 174 of 27 species in the plot of open-pollinated sod-culture and no organic matter application, and 268 of 26 species in the plot of Sorghum bicolar L. Moench. Consequently, the culturing tool of Crotalaria juncea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species diversity at 2.5, the evenness index at 3.7 and richness at 4.6, with the lowest level of a dominance index. The ecological quotient of microfauna was 0.76 in the plot of Sorghum bicolar L. Moench, and 0.63 in the plot of Crotalaria juncea.
        120.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의료용 엑스선 장비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필름, 카세트를 대신하여 디지털 방식인 CR, DR 이 널리 사용 되며 그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디지털 엑스선 장비의 변환물질로 BiI3(Bismuth tri-iodide)를 적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기존 선행연구에 비해 만족할만한 결과 값은 얻을 수 없었지만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a-Se(Amorphous Selenium)의 단점인 고전압인가와 제작방식의 어려움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 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변환 물질은 순도 99.99%의 BiI3가 이용되었으며 3cm × 3cm의 크기 와 200um의 두께를 가지는 변환물질 층이 제작되었다. 변환 물질의 상하부에는 Magnetron Sputtering system장비를 이용한 ITO 전극이 형성된다. 형성된 BiI3 엑스선 변환 물질의 특성 평가를 위해 구조적 분석과 전기적 분석이 이루어 졌다. SEM 측정을 통해 제작된 필름의 표면 및 단면적, 구성 성분을 관찰하였고, 전기적 분석을 위해서는 누설전류, 엑스선에 대한 신호량 및 잡음 대 신호비의 관찰이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BiI3는 1.6 nA/㎠의 누설전류와 0.629 nC/㎠ 의 신호량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Screen print method로 제작된 엑스선 검출 물질은 PVD방법을 이용해 제작 된 물질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제작 방법의 간소화 및 수율을 향상 시킬 수 있어 BiI3도 a-Se를 대체하기 위한 변환물질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