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

        10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물용 녹두 신품종 '주현'은 금성녹두와 VC1834-4-B-2-B-3B-B를 인공교배하여 2009년에 육성되었다. '주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 협수는 26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8개 많고, 녹두나물 수율은 표준품종보다 18% 많다. '주현'은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수량은 1.84 MT/h
        10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보리 신품종 '유호'는 까락이 없어 가축 기호성이 높지만 수확 시 곡실의 탈립이 많아 수량 및 영양적 손실이 큰 기존 삼차망 품종 '유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1999년에 내탈립 삼차망인 수원339호를 모본으로 하고, 보리호위축병에 강하고 총체적성에 좋은 수원355호를 부본으로 교잡하여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제반 특성이 우수한 'SB992047-B-B-B-6-2' 계통을 선발, 생산력검정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08년에 육성되었다. 그 특성을
        10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품종 '영한'은 병해 및 도복, 한해 등 재해에 강해 수량이 많고 품질이 우수한 청보리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7년에 조숙, 내도복, 내병, 다수성 계통인 'YB3433-3B-5'와 조사료 품질이 좋고 수량이 많은 'YB3135-3B-2-3' 사이의 F1에 'YB3135-3B-2-3'를 여교잡하고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제반특성이 우수한 'SB971305-B-B-B-B-4-4' 계통을 선발, 생산력검정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08년에 육성되었다
        10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콩용 신품종 ‘상원’은 1997년 황색 대립이고 극조숙인 큰 올콩을 모본으로 하고 일본에서 도입된 Oshimamidori가 교배된 조합이다. 1998년부터 2002년도에 걸쳐 F1 -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풋콩 특성이 유망하여 선발된 YS1309- 2B-4-1-1 계통으로 생산력검정시험에서 수확시기가 빠르고 도복에 강한 대립 풋콩 다수성 계통으로 유망하여 선발된 밀양154호이다. ‘상원’의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유한신육형이며
        10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신육형은 유한신육형, 화색은 자색, 엽형은 환형이다. 모용 및 성숙기의 협은 갈색이며 종피색과 제색은 흑색이고 종실 자엽색은 황색이다. 입형은 장형으로 성숙기가 지나면 협의 자연개열이 다소 나타난다. 2. 성숙기는 10월 3일로 ‘일품’ 검정콩보다 4일 늦으며, 경장은 54 cm로 4 cm 길고, 100립중은 29.2 g으로 ‘일품’ 검정콩 보다 1.6 g 무겁다. 3. 도복에 비교적 강하며, 포장 재배기간중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다소 발생하였으
        110.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ptortus clavatus, one of the many insects in major crops, damages pods and seeds, which reduces seed vigor and viability in soybe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versely damaged seeds by R. clavatu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damaged seed with quality and yield of soybean sprouts. All seeds damaged by R. clavatus significantly (P<0.05) reduced seed vigor as measured by the rates of seed germination, germination speed, and seedling emergence. Mean seed germination rate of non-damaged seeds in sprout-soybean varieties was 97.8%, whereas the rates of seeds damaged at different levels, 31-50% and 51-80%, were 23.0 and 5.4%, respectively. The rates of seedling rot and abnormal, incomplete germinatio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s the amount of seeds damaged by R. clavatus increased to 5, 10 and 15% against the total seeds for sprout production. Yield of soybean sprouts from seeds damaged at different levels decreased up to 13% as compared to that in normal seeds. In customer preferences on soybean sprout produce, 84% of customers participated in survey preferred to purchase sprouts from seeds with 5% of damaged seeds, but sprouts produced from seeds with 15% of damaged seeds were intended to purchase only by 22% of the customers. Areas of the seed damaged by R. clavatus were readily infected by pathogens as the seed germinated, resulted in deteriorated quality and reduced yield of sprout produce.
        11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황"은 양질 내재해 다수성 나물콩 신품종 육성을 목표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나물콩 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황"의 신육형은 유한형, 꽂색은 자색, 엽형은 피침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며, 성숙기 꼬투리색은 담갈색이고, 종피색 및 배꼽색은 황색이며, 립형은 구형으로, 꼬투리는 성숙 후에도 잘 터지지 않는다. 2. "소황"의 성숙기는 9월 29일로 대비품종인 풍산나물콩 보다 10일 빠른 중생종이며, 100립중은 8
        112.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발생포장 및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접종구에서 협 피해 및 수량 감소가 적었던 품종은 풍산나물콩, 소백나물콩, 두유콩, 신팔달콩 2호로 다른 품종에 비해 노린재 선호도가 낮은 품종으로 생각되었고, 명주나물콩, 만리콩, 황금콩은 피해가 심한 품종으로 분류되었다. 콩 품종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선호성으로 모용색이 회백색인 품종군의 피해율이 13.0%인데 비해 갈색모용의 품종군은 8.2%로 피해율이 낮았으며, 제색도 황색에 비해 담갈색>갈색>회갈색 순으로 제
        11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채"는 유색 고수율 나물콩 신품종 육성을 목표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나물콩 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갈채"의 신육형은 유한형, 꽂색은 자색, 엽형은 타원형이며, 모용색 및 성숙기 꼬투리색은 갈색이고, 종피색 및 배꼽색은 갈색으로 립형은 구형이다. 2. "갈채"의 성숙기는 10월 2일로 다원콩보다 6일 늦은 중생종이며, 100립중이 8.4 g으로 소립종이다. 3. "갈채"는 콩 모자이크병 중 괴저병에 강하며,
        11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광"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양질 다수성을 목표로 2007년에 육성한 나물콩 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광"의 신육형은 유한형으로 꽂색은 자색, 엽형은 피침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고, 종피색은 황색이며, 성숙기 꼬투리색 및 배꼽색은 담갈색으로 입형은 구형이다. 2. 성숙기는 10월 12일로 표준품종인 풍산나물콩에 비해 3일 늦은 중만생종이며, 100립중은 10.9 g으로 소립으로 도복에 강하고, 괴저바이러스병, 세균성
        115.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두 신품종 "다현"은 전남11호와 AV-1-3-34-2를 작물과 학원에서 인공교배하고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에 육성되었다. "다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협수는 21.0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4.0개 많고, 경장은 57 cm, 천립중은 48 g, 나물수율은 표준품종보다 5% 많다. "다현"의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116.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our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photosynthesis parameters and yield of soybean. To increase dry matter accumulation of seeds, some growth regulators were applied to field grown soybean cv. Sinpaldalkong #2 as determinate type and Muhankong as indeterminate type at dense planting condition. Choline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of stem length, but did not increase seed yield. The number of leaf and total leaf area wer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ll the treatments, but those increased tremendously in Muhankong treated with ethrel. CO2 assimil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of a single leaf were showed the highest as 17.2 molm-2s-1 and 9.3 μ mmol mol-1 treated with mepiquat in Sinpaldalkong, respectively. The Photosynthetic rate was closely related to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Mepiquat treatment mainly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pods, percent of pod setting, number of seeds per pod in two cultivars and also increased their seed yield as compared with control.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