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

        121.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분지 동남부 지역에 발달된 하양층군 퇴적말기의 진동층 및 건천리층과 하양층군 최상부 또는 유천층군 최하부의 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부산 황령산 지역의 호성퇴적층을 대상으로, 이들 퇴적층의 퇴적상, 화석상, 고토양상 등을 비교퇴적학 및 층서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세 호수퇴적층의 공통적인 발달특성은 1) 전반적으로 쇄설성퇴적층이 지배적인 반면, 2) 삼각주퇴적층이 수반되어 있지 않으며, 3) 이질평원퇴적층이 흔히 발달되어 있고, 4)스트로마톨라이트의 발달이 없는 점 등이다. 한편 세 호수퇴적층 발달특성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진동층은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 비하여 이질평원퇴적층의 발달이 지배적이며, 석회질고토양의 발달이 빈번하고,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서는 산출되지 않는 공룡족흔 화석층의 발달이 일반적이다. 2) 건천리층은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 비하여 무척추동물화석의 산출이 일반적이며,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서는 발달하는 폭풍퇴적층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3)황령산지역 호성퇴적층은 진동층 및 건천리층에서는 산출하지 않거나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증발광물의 캐스트가 흔히 산출되며, 응회질 저탁암층의 협재가 일반적이다. 세 호성퇴적층의 층서관계의 경우, 건천리층은 진동층의 하부에 대비되고, 황령산 지역 호성퇴적층은 진동층의 상위에 놓이는 지층으로 추정된다. 이들 3개 호성퇴적층의 층서관계 및 발달특성을 토대로 해석된 하양층군 퇴적말기에서 유천층군 퇴적초기에 이르는 동안의 경상분지 동남부 지역의 퇴적특성은 다음과 같다. 하양층군 퇴적말기의 경상분지는 지반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였으며, 이에 따라 화산활동은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었다. 기후조건의 경우 하양층군 퇴적중기 때보다는 비교적 습윤하여져 호수환경이 확장된 상태였으나, 전반적으로는 건조한 기후가 지배적인 환경이었으며, 특히 건기와 우기가 교호되는 기후조건이발달하는 가운데에 매우 극심한 가뭄이 빈번히 발달하였다. 하양층군 퇴적말기에 경상분지의 동남부 지역은 호수연변부의 이질평원이 넓게 발달한 가운데에 퇴적작용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으나, 백악기 후기(하양층군 퇴적최후기 및 유천층군 퇴적초기)에 접어들면서 조구조운동과 이에 따른 화산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 지역의 퇴적속도는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되었다. 백악기 후기의 기후조건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건조한 기후가 전반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증발암광물이 형성될 정도로 건조한 기후가 발달하였다.
        4,600원
        122.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경제의 발전과 함께 여러 가지 환경 문제가 발생했다. 자연스레 사람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특히 식수에 대한 안전성과 오염도 조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식수로 이용하는 지하수에서 우라늄 및 222Rn 이 다수 지역에서 검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하수 내 포함된 222Rn 농도를 측정하는데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은 알파, 베타 펄스의 분석이 용이한 펄스파형분석 기능을 가진 저 준위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지하수 시료와 혼합하는 섬광체의 조제, 유효기간은 시간이 지날수록 검출값은 낮아지고, 에너지 스펙트럼도 낮은 쪽으로 channel 이동이 있었다. 섬광체의 구입시기가 오래 될수록, 개봉한 후 방치시간이 지날수록 검출값이 낮아짐을 확인했다. 사용목적이 다른 섬광체를 사용했을 경우 channel 이동으로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다.
        12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거 지진가속도계측기는 “지진·화산재해대책법” 제6조, 제7조에 따라 2010년 고시된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에 의거 시설물 관리주체가 설치 및 운영 되었다. 하지만 시설물 관리주체에서는 구조물별 가속도 관측을 수행하고 있으나 지진 발생 시, 이를 활용하지 않거나 최대 가속도 데이터만 저장, 이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데이터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지진가속도 응답신호를 활용한 공공시설 안전관리 기술개발” 연구를 통해서 지진가속도 응답신호 종합분석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안전성평가를 위한 연구는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 제9조에서 정의하는 9개항의 시설물 중 건축물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제한적으로 적용되었기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2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축력을 받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4점 굽힘 시험을 실시하였다. 조작변인으로 변위제어를 통한 단조하중과 반복하중이 있다. 통제변인으로는 축력 강도와 4점 굽힘 시험 등 조작변인 이외의 모든 변수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조작변인에 따른 변위-하중 그래프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변-하중 그래프의 초기 기울기와 최대하중의 변위는 거의 일치하였다. 하중 변화 양상도 동일하였다. 다만 최대하중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파괴 형상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12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제작 시기를 고려했을 때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안전검토 및 내진성능평가를 위해서는 노후화된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그 중 동결융해에 관한 실제 거동에서 유사한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제 구조물의 형태에 가깝게 제작하여 평가를 진행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00×450×2240mm의 보를 제작하였다. 동결융해된 보는 KS F 2456 및 ASTM C 666에서 제시하고 있는 동결융해 시험법을 따라 - 18℃~4℃를 1Cycle로 선정하여 300Cycle의 동결융해를 진행하였다. 두 시편 모두 4점 휨 실험(4Point Bending Test)으로 실험하였다.
        12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rally,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exposed to complex deterior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ubjected to aging more frequent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during complex deterioration. After the beam specimens were prepared, the freezing and thawing tests were carried out and the strength of the specimens subjected to freezing and thawing decreased as a result of 4 - point bending test.
        12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eeze - thaw behavior of FRP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nder the same conditions, two FRP reinforced beam specimens were made, and one speciemen was subjected to freezing and thawing. Then a four-point ben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load values of reinforced specimens after freezing and thawing appear less at the same displacement in displacement-load behavior.
        12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domestic thermal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its impor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himney structure responsible for the exhaust function in the thermal power plant was performed using Abaqus,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we could obtain the flexural strength curves of concrete compressive failure and relative displacement of stack.
        12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crack torsional moment equa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criterion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criterion for the minimum torsional reinforcement amount and spacing is not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when the interval of the closed stirrup is wide, it does not satisfy the crack torsion moment induced by the thin-wall theory. However, when the strength reduction factor of 0.75 is applied, the torsional moment criterion is satisfi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torsional moment can be considered even if the criterion for the minimum rebar spacing is not satisfied.
        130.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추세로 증가하고 있는 열차의 고속화와 대량 운송능력의 요구에 따라 열차 궤도구조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궤도인 PST는 안전성과 경제성에서 그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PST시스템의 각 구조부재의 거동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시스템 개발 및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KRL-2012 열차하중과 KRC 코드에 의한 다양한 정적하중조합에 따른 응력분포 결과를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라우트충전층의 두께에 따른 결과 또한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조부재별로는 그라우트충전층에서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하였으며 하중조합과 두께에 따라 응력의 변화가 민감하였다. 시동하중 및 온도하중에 의해서는 KRL-2012에 의한 수직하중만 적용할 때와 비교하여 콘크리트 패널과 HSB에서 각각 3.3배, 14.1배의 발생응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전층의 두께가 20mm에서 80mm로 증가할 때 콘크리트 패널의 발생 응력은 4% 감소하지만, 충전층은 2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열의 양상은 그라우트충전층에서 인장균열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에 따라 PST시스템 개발 시에는 수직하중 보다는 수평하중에 의한 휨 및 인장거동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충전층의 두께를 40mm 이상 유지함으로써 각 구조부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13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rete structures are exposed to complex degradation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concrete members of bridges are exposed to water and salt by rivers and oceans, and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of freezing and thawing damage in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bridge due to the continuous heat and heavy snow in summer and winter. In this study, a freeze-thaw test method which indirectly evaluates the strength reduction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repeated cycle of freezing and thawing was proposed, and the strength reduction rate was measured by using the concrete specimen. As a result, the concrete strength was reduced by 20% in freeze-thaw test method.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of the study on strength of each cycles.
        13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design of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ullout performance of an cast-in-place anchor. Then,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the planne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size of the specimen was determined by reference to the installation depth of the anchor. The test specimens were checked for bending cracks according to design standards. The numerical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nal test plan,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that the crack occurred at the center of the section. Therefore, the ultimate specimen which cone fracture of concrete was induced by modeling by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on the outside of specimen was planned.
        13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frequency and period of earthquakes are in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interest in the safety of rescue facilities including bridges a lo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tistical index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analyzed by using the seismic acceleration measurement data of the bridge.
        134.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umeric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RC) column with GFRP seismic reinforcement was evaluat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is study. For the numerical analysis, a experimental test results was used to develop a nonlinear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RC column with GFRP seismic reinforcement. The developed the nonlinear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RC column with GFRP seismic reinforcement was well predicted the behavior, maximum strength and initial stiffness, of RC column with GFRP seismic reinforcement.
        135.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umerical behavior of GFRP(Fiber Reinforced Polymer) infill panel in steel frame structure was evaluat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is study. In order to numerical analysis, a experimental test results was used to develop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steel frame specimen. Based on the developed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steel frame specimen, the behavior of GFRP infill panel in the steel frame specimen was evaluated. From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strength of the steel frame specimen with GFRP infill panel was governed by GFRP infill panel. Also, diagonal compression behavior governed the GFRP infill panel in the steel frame specimen i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13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ing is proposed to evaluate welding joint part of steel-fram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was proposed to analyze the welding joint of steel-frame specimens. The numerical results predicted the experimental behavior of the welding joint of steel-frame specimens we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proposed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to evaluate middleand low-rise steel-frame buildings constructed in South Korea.
        13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의 구조물은 고층화,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보통중량 콘크리트는 강도에 비해 질량이 크기 때문에 구조물의 자중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추세에 맞는 콘크리트의 경량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콘크리트의 경량화 방법 중 하나가 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구조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경량골재의 품질에 따라 콘크리트의 물성 및 강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골재와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를 제작하고 인장균열파괴실험을 통해 하중-CMOD곡선은 얻고, 이를 역해석하여 파괴에너지를 도출하였다.
        138.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measure the Radionuclides and Concentration, the directly grinded land samples (river soil, pine leaves and mugwort) among the environment samples around the nuclear power plant were filled in a 450 mL Marinelli beaker and weighed to obtain the dry mass ratio of the samples. Then the background and land samples were measured for 80,000 sec.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land samples showed that most of them contained less radiation nuclide than the detection minimum limit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 Notice No. 2010-32.’In others, the natural radionuclides 40K were detected. Of the products of nuclear reaction discharged by a nuclear reaction, 134Cs and 137Cs are more easily detected, and their discharge sources can be traced using the relative ratio. Although the radioactive concentration in the vicinity of Kori Nuclear Power Plant, which is more than 1,100km away from Fukushima, the Japanese nuclear accident site,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as the radionuclides can still be accumulated in the soil or animals and plants.
        139.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구조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기둥의 경우 지진에 의한 횡하중을 저항하지 못하고, 취성적인 파괴가 유발되어 구조물 전체적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빠른 시간내에 보강이 가능하면서 기둥에 손상을 주지 않는 기존의 보강법과 구별되는 응급 보강법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기둥 보강법으로 단면 증설법과 강판보강법 등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었지만, 최근에는 FRP (Fiber Reinforced Polymer)의 장점을 활용한 탄소섬유시트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긴급시공이 가능한 체결식 FRP 내진보강재를 사용한 구조물의 내진성능보강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검토를 위하여 실제 구조물의 축소모델의 철근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고 횡방향 변위하중을 가력하였다. FRP 내진보강재를 이용한 내진보강시공후 실내시험을 통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보강재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보강 시, 내진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14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pure torsion tests were performed for a square cross-section reinforced concrete beams. Stirrup spacing and yield strength of the material was used to the experimental variables. From the test results, large torsional strength were occurred in specimens, which have small stirrup spacing. when, stirrup spacing wa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depth, regardless of the stirrup strength, maximum torsional strengths were nearly the same. Contrary, stirrup spacing was less than the cross-sectional depth, according to the stirrup strength, maximum torsional moment were largely. Lastly, the cracks of the beam much occurred in smaller stirrup spacing specimens.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