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121.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전남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hanthungensis) 발생현황을 조사하고 친환경 방제체계 확립을 위하여 2016년부터 2017년까지 2년간 수행하였다. 광주, 전남 도내 갈색날개매미충은 15시군 61읍면의 1,344 ha에 발생하였다. 정점지역 4개소 조사 결과 난괴나 약충밀도는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낮아지고 부화율은 감소하고 첫 부화시기나 성충 출현, 산란 시작시기는 더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알기생봉인 검정알벌류(Telenomus sp.)는 대부분의 지역에 발생하고 있으며, 기생률은 순천이 46.1%로 가장 높았고, 무안 40.6, 곡성 29.2, 구례 25.8, 광주 17 순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알 방제를 위한 살포적기는 3월 상순이었다. 살포자재와 희석배수는 친환경재배는 기계유 유제 10배액, 일반재배는 클로르피리포스수화제 500배액을 살포하면 95%가 부화하지 못했다. 기계유유제, 고삼+미생물추출물제, 피마자유제의 유기농업자재가 약충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고, 성충에는 고삼+미생물추출물제, 님추출물제, 기계유유제가 좋았다. 디노테퓨란수화제 등 4종의 화학농약은 모두 약충과 성충방제에 효과적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이 가장 선호하는 주광색 등과 행동습성을 이용하여 성충 유인포획장치를 개발하였다. 포획장치 구성은 주광색 컴팩트램프 2개(30W, 20W), 황색판, 포집수반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루에 700마리정도 포획되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이용해 전남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 생활환과 친환경 방제체계를 확립하였다.
        122.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터널공사의 발파공법의 특성상 여굴 발생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터널 여굴 관련 설계기준에 의하면 공동구 바닥부의 여 굴처리는 채움 10 cm로 되어 있으나 설계 여굴량 이상의 깊이를 모두 콘크리트로 채우게 되면 공사비가 크게 증가한다. 철도터널은 항구적인 콘크리트 궤도를 적용 중에 있다. 그러나 철도터널에서 바닥 여굴이 발생할 경우 압축강도 18 MPa의 콘크리트 채움 시공(T=100 mm)을 하고 있고, 상부에 150 mm ~ 237 mm의 보조도상 콘크리트층, 240 mm 콘크리트 궤도(TCL층)를 시공하는 등의 레일 하부와 터널 암반 사이에 약 600 mm 두께의 콘크리트로 시공하고 있어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터널단면과 변경터널단면에 대해 각각 여굴 깊이에 따라 콘크리트 균열 수치해석 및 콘크리트 균열 위험도 분석, 콘크리트 균열 안정성 확보를 위한 터널 바닥콘크리트 소요 두께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123.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egetation-based spraying method has been used as a revegetation measure for protecting slopes. However, after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fields, the collapse due to deteriorated bond performance of artificial slopes and defective vegetation growth bases prevent it from displaying its proper function. Therefore, research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for revegetation measures that can achieve both the reinforcement of slopes and the ecological restoration at the same time are necessary. Accordingly, in this study, funda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regarding the bond properties of slopes,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additives based on bonding materials for improving bond performance.
        124.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단감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병해충 방제 실태조사, 주요 병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수립한 방제시스템의 현장실증시험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 수행하였다.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주 재배품종은 부유였으며, 병해충 방제를 연간 9~17회 유기농업 자재를 살포하였다. 피해가 가장 심한 병해충은 탄저병, 노린재, 감꼭지나방, 깍지벌레 등 이었으며, 사용한 방제자재는 결정석회황합제, 황토유황, 유화제, 보르도액 그리고 마늘, 은 행, 소나무를 이용한 자가제조 식물추출물제를 이용하였다. 탄저병 방제에 효율적인 자재 는 결정석회황, 황토유황이었고, 마늘유+ 시트로넬라유제, 고삼종자 추출물+차추출물제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독나방에 효과적이었다. 감꼭지나방 교미교란트랩을 60개/10a 설 치하면 감 착과율을 30% 향상시켰다. 유기재배 단감에 연간 10회 방제하는 방제시스템의 현장실증시험 결과 70.7%의 과일을 수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확기 즈음인 9월, 10월에는 약제를 살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때 가해하는 노린재류의 피해는 감소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25.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ordyceps militaris has been an wonder drug to anti-aging efficacy and called the three main drugs with ginseng and deer antler from the past. Cordycepin, cordycepic acid (d-mannitol) and adenosine are known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Cordyceps militaris. Among them, cordycepin, the representative component, has been reported as antimicrobial substance containing immune enhanceme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Methods and Results : After Cordyceps militaris produced from different types of medium mixed with 10-fold volume of purified water, the mixture were extracted at 70±5℃ for a hour and that extracts re-extracted using ultrasonics wave for 30 minute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dex component was determined by using the Q-TOF (A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Xselect HSS T3 column (2.1 X 100 mm, 2.5㎛, Waters, USA) and ultrapure water and acetonitrile as mobile phase A and B. Detection column temperature, injection volume and the flow rate were 35℃, 2 μL and 0.3 mL / minute respectively. The cordycepin content of Cordyceps militaris produced from medium mixed with vegetable and animal ingredients higher than single ingredient. Moreover, through a variety of analyzes by varying the type and content of the medium additives, the cordycepin in Cordyceps militaris produced from medium mixed with animal ingredients highest. Furthermore, the cordycepin content of a fruit body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a mycelium. Conclusion : These results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n high cordycepin content of Cordyceps militari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
        126.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마토는 남아메리카 서부 고원지대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에 널리 재배되고 있는 가지과 작물이다. 최근 토마토의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와 소비의 다양성으로 인해 재배 및 생산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량으로 발생하는 부산물 활용 방안 수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토마토 42자원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flavone aglycones를 분석하여 기능성 소재의 활용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토마토 잎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정 결과, IT191046 (CHN, 130.9 ± 1.2 ug/ml)이 가장 높았고 IT207234 (BTN, 376.7 ± 14.1 ug/ml)가 가장 낮았으며 ABTS의 경우 IT189949 (IND, 1348.6 ± 36.4 ug/ml)이 가장 높았고 IT259255 (TWN, 3789.3 ± 84.4 ug/ml)가 가장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IT207214 (NPL, 59.9 ± 0.0 mg GAE g-1)이 가장 높았고 IT203262 (RUS, 16.8 ± 0.3 mg GAE g-1)가 가장 낮았다. 토마토 잎 추출물의 총 flavone aglycones 함량을 분석한 결과, IT229711 (KOR, 78.9 ± 1.0 ug/mg)가 가장 높았다. myricetin, quercetin, naringenin, kaempferol, isorhamnetin 함량은 각각 0.08 ~ 0.28 ug/mg, 0.6 ~ 24.1 ug/mg, 1.4 ~ 53.1 ug/mg, 0.19 ~ 4.73 ug/mg, 0.06 ~ 0.42 ug/mg 이었으며 특히 isorhamnetin은 88% (37 자원)가 검출한계치 (0.05 ug/mg) 미만이었다. 토마토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flavone aglycones 함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이 두 활성 모두 myricetin과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총 flavone aglycones 함량은 quercetin, naringenin, isorhamnetin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토마토 잎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토마토 부산물 활용을 위한 다양한 활용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12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마토는 남아메리카 서부 고원지대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 및 생산되고 있는 가지과 작물로 토마토에 함유된 steroid glycoalkaloids 화합물은 미생물이나 곤충에 독성을 나타내지만 최근 항염증, 항균 등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토마토 42자원 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검정하고 steroid glycoalkaloids 함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토마토 잎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주에 미치는 독성 효과를 알아본 결과, 추출물 처리 농도 범위 (20 ~ 100 ug/m)l 안에서 RAW 264.7 세포주가 50%이상 생존하였고,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추출물 자체가 세포에 독성으로 작용하지 않아 세포가 생존 가능한 범위 안에서 실험이 가능함을 의미하여 같은 농도 범위의 추출물로 항염증 활성을 검정하였다. 20 ug/ml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14.1%의 낮은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율을 보였고 50 ug/ml을 처리 시 79.4%까지 증가하였으며 100 ug/ml 처리 시 98.9%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각 자원의 IC50 값을 비교한 결과 IT173907 (BRA, 84.0 ± 0.1 ug/ml)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고 IT211836 (JPN, 130.7 ± 2.5 ug/ml)이 가장 낮았다. 또한 steroid glycoalkaloids를 분석한 결과, tomatine 함량은 IT203466 (AUS, 8.2 ± 0.6 100 ug/mg)이 가장 높았고 IT229711 (KOR, 2.5 ± 0.5 100 ug/mg)가 가장 낮았다. 또한 tomatidine의 경우, IT173906 (BRA, 1.41 ± 0.22 100 ug/mg)이 가장 높았고 IT235444 (THA, 0.28±0.07 100 ug/mg)가 가장 낮았다. 토마토 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과 steroid glycoalkaloids 함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tomatine과 tomatidine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두 물질과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활성은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토마토 잎 추출물의 tomatine, tomatidine 함량과 항염증 활성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토마토 잎의 천연 항염증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토마토 부산물의 다양한 활용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12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차원 전기영동 분석을 이용하여 국내 밀 32 품종의 HMW-GS 단백질 발현의 정성 및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품 HMW-GS 발현 정도를 평가하여 국내 밀 품종 육성의 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평균 HMW-GS 스팟 수는 11.78개였으며, Glu-A1 1.31개, Glu-B1 5.53개, 그리고 Glu-D1에서 4.94 개였다. Glu-B1과 Glu-D1에서는 subunit에 따른 단백질 스팟 수가 차이가 없기 때문에, Glu-A1에서는 1과 2* subunit을 지닌 품종이 null allele 품종에 비하여 단백질 스팟 수가 많았다. 단백질 스팟 수는 조경밀이 18개로가장 많았으며, 다홍밀은 7개로 제일 적었다. 단백질의 상대적인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평균 0.44로 대비 품종인 Chinese Spring에 비하여(1.0) 낮았고, 고분밀이 1.11로 가장 높았으며, 은파밀이 0.24로 가장 낮았다. 단백질 스팟수와 발현량을 이용한 유연관계 분석 결과, 국내 밀 품종을 6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130.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수업컨설팅에 관한 학문적․실제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을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하여, 그것의 이론적 완결성과 실천적 가치를 높이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업컨설팅에서 지향하는 교사 및 수업의 상(像), 좋은 수업의 조건 등을 바탕으로 수업컨설팅의 개념을 재정리하였다. 그리고 수업과 관련된 주요 활동(수업분석, 수업비평, 수업장학)과 수업컨설팅을 비교하여 수업컨설팅의 속성을 보다 분명히 하였다. 비교의 기준으로는 해당 활동의 목적, 주요 관련자, 주요 산출물, 원리, 방법 및 기법, 활동 결과의 공유 여부, 참여의 강제성, 절차 등이 활용되었다.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에 관한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컨설팅은 “수업 관련 의뢰 과제를 해결하고 의뢰인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문성을 갖춘 교내외 전문가들이 교원을 중심으로 한 학교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독립적인 자문 활동”이되, “학생의 참여와 배움을 핵심으로 하여, 수업의 기획, 의사소통, 상호작용 등을 기술적․예술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이해하고, 의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업을 학교컨설팅의 원리와 방법에 따라 수행”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수업컨설팅과 여타 활동은 활동 목적, 주요 관련자의 특성 및 영향력, 활동 결과의 공유, 참여의 강제성, 모(母)개념의 성격 등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는 교사의 수업 개선 및 전문성 개발 기제로서 수업컨설팅이 가지는 가능성을 재확인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13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밀 품종 조경, 금강 그리고 중국 밀 품종인 Chinese spring의 genomic DNA를 주형으로 LMW-GS 특이 프라이머세트를 이용하여 3개의 새로운 LMW-GS i 타입 유전자를분리하였고 이들의 분리된 유전자는 각 각 조경 II-2, CSIII-5 그리고 금강 6-12로 명명하였다. 이들의 유추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20개의 시그널 펩타이드, 이소루신으로 시작하는 N-말단 부분 그리고 글루타민이 많은 반복도메인 그리고 C-말단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경 II-2와 CS III-5는 전형적인 LMW-GS i-type 유전자처럼 C-말단에 8개의 시스테인 잔기가 있었다. 금강 6-12는 특이하게도 하나 더 많은 9개의 시스테인 잔기가 존재하였는데 이 여분의 시스테인 잔기는7번째 시스테인 잔기의 11잔기 앞에 존재하며 TAT(타이로신)이 TGT(시스테인)로 바뀐 결과이다. LMW-i 타입 글루테닌 유전자들 간의 SNP와 InDel을 확인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클로닝 된 조경 II-2, CS III-5 그리고 이전에 본 그룹에서 확인된 조경 HQ619933와 기존 문헌에 나와 있는 6배 체 밀 유래의 10개의 LMW-GS i 타입 유전자들과 다중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사이에서 15개의 SNP와 1개의 insertion이 확인되었다. 밀 품종 조경의 Glu-A3 단백질을 동정하기 위해 글루테닌을 추출 이차원전기영동을 하고 Glu-A3c 위치의 스팟을 절취하여 in-gel digestion한 후 LC-ESI MS/MS 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경의 i 타입 LMW-GS 유전자 좌는 Glu-A3c로 확인되었다. LMW-i 타입 글루테닌 유전자들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 그룹에서 클로닝 한 조경 II-2, CS III-5, 금강 6-12 그리고 조경 HQ6199333와 Genebank DB의 35개의 LMW-i 타입 글루테닌 유전자의 유추 아미노산 서열을 이용하여 Phylogenic tree를 완성하였다. 이들 39개의 계통도 분석 결과 이배체 밀과 4배체 밀의 LMi 타입 글루테닌이 육배체 밀의 LMW-i 타입 글루테닌과 크게 나눠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육배체 밀의 LMW-i 타입 글루테닌들은 Glu-A3a부터 GluA-3g까지 7개 subgroup으로 나눠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강 6-12는 GluA-3a와 GluA-3c 사이에 존재하였고 조경 II-2와 CS III-5는 GluA-3d와 일본 연질 밀인 농림 61의 AB062878과 같은 subgroup에 존재하였고 조경 HQ6199333은 Glu-A3c subgroup에 위치하였다. LMW-i 타입 글루테닌 유전자들의 유추 아미노산 다중서열분석결과 반복 도메인은 length polymorphism은 179~149개 정도의 long 타입과 91, 51, 10, 2개의 short 타입으로 나눠지고 이것은 long 타입과 short 타입 LMW-i 타입 글루테닌 유전자를 구분 할 수 있는 마커의 근거가 된다.
        13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FCs는 독특한 사용감과 특성으로 인하여 화장품에 응용되어질 때 많은 특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즉, 물과 오일에 불용성, 높은 비중, 높은 증기압 등과 같은 원료의 특징으로 인하여 PFCs는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특별한 안정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 PFCs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gel network, spherulite lamellar, nanosturucture 이상의 세 가지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세 가지 시스템 중 nanostructure system이 가장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135.
        200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removal efficiency of the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s(LAS) in solution by TiO2 photocatalytic oxidation as a function of the following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 initial concentration of LAS, TiO2 concentration, UV wavelength and pH of the solution. It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initial concentration of LAS and with decreasing pH of the solution.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with increasing TiO2 concentration but was almost the same at TiO2 concentration of 2 g/L and 3 g/L, i.e., for initial LAS concentration of 50 mg/L. It was removal efficiency was 85% at 150 min in the case of TiO2 concentration of 0.5 g/L but 100% after 150 min in the case of TiO2 concentration of 1 g/L, 100% after 110 min in the case of TiO2 concentration of 2 g/L and 3 g/L. UV wavelength affection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LAS decreased in the order of 254, 312 and 365 nm as increasing wavelength. But the removal efficiency of LAS was nearly the same at UV wavelength of 254 nm and 312 nm.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