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

        121.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왕겨는 매년 120만톤을 생산하여 농산부산물 활용으로 훈탄, 가축분뇨 수분흡수제로 사용하여 왔으나, 금번 왕겨의 효율적인 사용을 구명하기 위하여 버섯 종류별, 왕겨 첨가별 사용에 따른 버섯 생육특성과 수량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생육기간 단축과 톱밥대체용 저비용 왕겨 배지개발로 버섯재배 농가에 경영비절감에 한몫을 기여하게 되어 결과를 요약하면 1. 애느타리 병재배시 관행 대비 왕겨 80% 첨가구에서 재배기간 11일 단축과 수량 7% (68g/병)증수하였다. 2. 느타리 병재배시 관행대비 왕겨 30, 50, 80%첨가구에서 균사배양기간이 2∼3일 단축되는 경향과 수량성이 대등하였으나 농가재배에서는 관행 수량 115g/850cc 대비 왕겨30, 50, 80% 첨가구에서는 150g/850cc, 161g/850cc, 120g/850cc로 32%, 40%, 4%, 각각 증수 하였다. 3. 버들송이 병재배시 관행재배에서 균배양 기간이 31일 소요되나 왕겨 30∼40%첨가구에서 균배양 6일 단축과 수량 6% (115g/병)가 증수 하였다. 4. 영지 병재배시 관행 균사배양일수 45일, 수량 38g/병 대비 왕겨 30∼40% 첨가구에서 균사배양, 수량성 대등하였고, 농가에서는 관행수량 30g/병 대비 왕겨 30%, 50% 첨가시 34g/병, 32g/병으로 13%, 7%각각 증수하였다.
        122.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xtend the shelf-life of red chili pepper, MA and CA technology were used. In MA storage, red chili peppers(Jinmi and Jangkun) were packaged in 0.03 mm PE film bags(3 kg/bag) having two holes(2~3 cm) at 2~3C or 7~8C. In CA storage, red chili peppers(Jinmi) were stored on following gas composition; 5 or 10% CO in combination with 2 or 5% O at 2~3C, respectively. The changes of weight loss and decay rates during MA storage were less in Jinmi than in Jangkun and less at 2~3C storage(except O 5%, CO 10% condition) while in CA it decreased after 40 days of storage. Red chili peppers would be stored for 30 days when stored in MA conditions(0.03 mm PE film bag) and for 60 days when srored in CA condition on O 2%, CO 10% based on overall quality of sensory evaluation.
        123.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섬유질이 풍부하고 enthocyanin색소가 풍부한 자색 고구마를 이용하기 위하여 탈지유와 설탕이 들어있는 기본배지에 증자, 박피한 고구마를 첨가한 후 5종(Lactebacillus bulgaricis, Lactobacillus delbruchii sub. sp. lactis, Streptococcus lactis, Bifidobacterium bifidum, Leuconostoc lactis) 의 젖산균주를 배양, 접종하여 호상 요쿠르트를 만들
        124.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소잎중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2종의 부패곰팡이(Aspergillus flavus KCTC 6143, Aspergillus jlavus KcrC 6961) 및 5종의 식중독세균 ( 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Staphylococc따 aureus 196E ATCC 13565, Escherichia coli 0157:H7 ATCC 43895,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
        125.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누에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재배에서 종균접종은 누에 5령1일째 실시하였으며, 감염율은 72% 되었으며 2. 눈꽃동충하초 대량생산을 위한 인공재배 최적배지는 "현미80g+번데기가루20g" 처리구에서 자실체 길이 11.4cm,무게 51.6g, 짙노랑색으로 아주 양호했으며, 현미 처리구, 번데기+PDA처리구에서도 양호했음. 3.누에동충하초에서 발생된 눈꽃동충하초는 번데기 1마리당 1.2g(번데기포함), 길이 3.0~3.5cm정도 되었으며, 일부는 누에상태에서도 동충하초가 발생하였음. 4. β-glucan함량은 누에 5령 1일 접종 처리구가 40.5%로 가장 높고 저비용 배지인 현미 16.4%, 번데기 20.7%, 현미+번데기가루 23.1%, 소나무 톱밥+밀기울 28.7%로 β-glucan 함량이 높았다. 5. 지네, 굼벵이, 누에가루처리구에서는 균사생육이 부진하였고 분생포자만 발생하였다.
        126.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of free sugars and sugar alcohols of fresh shiitake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Shiitake were stored at 1 and -4, with non-packaging, wrapping, 0.03mm polyethylene(PE)film packaging(unpunched and punched, unprecooled and precooled before storage), 0.05mm PE film (vacuum packaging). Chanties of glycerol, arabitol and arabinose contents were not marked during storage. The content chanties of -rhamnose, fructose, glucose, mannitol, sucrose and maltose were the smallest until 40days storage and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40 days and the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50days. Content of -rhamnose during storage when was treated unprecooling, 0.03mm PE film punched and unpunched at -4 was the highest 25.08% and 34.86%, respectively in 50~60days. Content of mannitol was not changed at -4.
        127.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쑥을 유용화하기위해 물쑥의 화학성분을 수집 종쑥과 분석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중 수분, 조회분 및 조섬유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높았다. 2. 비타민함량에 있어서는 thimain, riboflavin 및 ascorbic acid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약간 낮았고 niacin함량은 약간 높았다. 3. 식이섬유소함량은 물쑥이 40.91%, 수집종쑥이 38.42%이었으며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hemicellusose, cellulose의 함량이 높았고 lignin함량은 낮았다. 4. 무기질함량중 K함량이 물쑥 5206.7mg%, 일반 쑥 4166.7mg%로 가장 높았고 Na, Fe 및 Mn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2배이상 높았으며 Cu함량만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낮았다. 5. Phenolic compound 의 함량은 수집종쑥보다 물쑥이 약간 높았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