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6

        121.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울지역 28개 지하구조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활용하여 제안된 균열집중구간 및 탄산화 기반 한계상태함수를 산정하여 우선적인 보수구간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상태평가를 위해 분할된 503개 쉬트에 대한 균열밀도는 로그정규분포, 탄산화 및 피복은 정규분포의 현장조사 결과를 얻었다. 각 구간별 실시한 강도, 초음파속도, CO2농도, 철근부식도, 염화물함유량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환경지수를 도입하여 합리적인 보수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12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 기능성 쌀들의 장차 생활습관성질환 맞춤형 즉석밥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고아미, 큰눈쌀, 백진주, 아랑향 찰 등 4품종의 쌀 및 쌀가루의 취반적성 및 조리성을 각각 검정하였다. 조 단백질, 조 지질 및 조섬유소 함량 등 영양 소 함량은 고아미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백 진주와 고아미는 일반품종의 현미 및 백미와 비슷한 양상의 수분흡수율을 보이고, 아라향찰은 85℃에서 상대적으로 높 은 수분흡수율을 보였다. 또한 DSC parameter 중 호화열 (△H)은 고아미가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여러 종 류의 기능성 쌀 밥 중에서 관능적으로 가장 기호도가 높은 품종은 아랑향찰이었고, 큰눈쌀 및 백진주도 현미상태임에 도 불구하고 비교군 백미보다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즉 석밥을 개발을 위한 품종으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123.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s, 약자 VFAs)은 유기화합물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될 때 생성되는 화합물로 한 개의 카르복실 말단기와 C2-C7의 탄소로 구성되는 지방족 산으로 휘발성을 가진 저급 지방산을 총칭한다. 최근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슬러지의 가장 중요한 처리방법으로 에너지 회수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공정이 큰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메탄 발효를 위한 전체 반응 진행의 중요 척도로써 가수분해 중간산물인 휘발성 지방산의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 지방산 중 9개 물질(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Isocapr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을 대상으로 하였다. 휘발성 지방산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하여 Liquid - Liquid Extraction(LLE), Headspace extraction(HS), Solid Phase Micro extraction(SPME) 방법으로 비교․측정한 결과, 3방법 모두 9개 물질에 대하여 82%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특히,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의 회수율은 SPME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경우 평균 회수율이 각각 94.2%, 96.7%로써 타 방법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SPME 방법으로 5개시설의 소화조 슬러지의 VFA를 분석한 결과 총 VFAs는 10 ~ 260 mg/L가 검출되었다.
        13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amping ratios of the modes as well as the natural frequencis and the mode shapes are required to characterize the modal behavior of structure. The mode shapes and the natural frequencies are determined from analytical methods or measurements accurately. But there is little analytical basis for estimating the damping ratios although they are the most important to determine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Especially for the cable-stayed bridges the aerodynamic damping ratios determine the amplitude of the response to wind load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stimate the aerodynamic damping ratios based on measured data and quasi-static theory.
        13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invest safety against the local corrosion of steel pylon in the Dolsan bridge(Cable-stayed type). For the investigation, visual inspection, non-destructive testing using the high resolution camera and ultrasonic thickness gauge with the structural analysis were completed. In the result of the safety check, no problem of steel pylon is detected. Cause of corrosion is damage on steel surface during early stage of the construction.
        133.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hading and pinching on growth and acanthoside-D content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and A. koreanum Nakai. Different pinching heigh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lant growth and acanthoside-D content but higher values showed that pinching A. divaricatus at 60 cm and A. koreanum at 30 cm favored good growth and higher fresh weight in the shoots. The content of acanthoside-D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inching height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nthoside-D content was foun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part of plant in the first year. However it was much higher in the lower part than the upper part in the second year, which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acanthoside-D was comparatively high in the lower part where lignification is much advanced. Shading showed benefits in terms of growth of A. divaricatus while only 50%-shading was favorable for A. koreanum to achieve superior growth.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shading had favorably affected the growth of the 2 Acanthopanax species while no-shading is better if we opt to achieve higher acathoside D content.
        134.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idge Deck Waterproof has good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and it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following processes. But it is uncertain at concrete penetration performance. This paper were investigated por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domestic Bridge deck waterproof
        135.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ortex shedding occurred at relatively low mean wind velocities between 13m/s and 16m/s in the 2nd Jindo grand bridge. To control the vortex shedding Multiple Tuned Mass Damper(MTMD) was installed in the mid span. The control effects of MTMD was verified by assessing the damping ratio before and after installing MTMD. This paper present the evaluation of damping ratio of a cable- stayed bridge based on measuring data through unified remote monitoring system.
        136.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propagation of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canthopanax koreanum through different cutting practices. For propagation by cuttings, scions were taken on September 1. This already has hard skin and showed much higher values in terms of root length, root number, rooting ratio and root weight than those taken on June 30 and August 1. Regardless of cutting date, 50% shading resulted to the highest root length, root number, root ratio and root weight. Meanwhile, 95% shading significantly reduced these parameters compared with no sha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shading may inhibit root growth. Two growth regulators, IBA (concentration of 1,000, 2,000, 3,000 ppm) and Rootone-F (0.4%) were also tested of its effect to the cuttings. Rootone-F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IBA. Cutting treated with Rootone-F had slightly higher root length and root number. A. koreanum which grows well in hot climatic condition showed better rooting ability than A. divaricatus.
        140.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코페롤은 비타민 E를 대표하는 지용성 항산화물질로 인체에서 세포막을 구성하는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를 저해하며, 콜레스테롤 예방, 염증 경감, 노화 지연 등 인간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콩 28품종을 대상으로 종실과 발아상태에서 토코페롤함량을 분석하였다. 종실상태에서 총 토코페롤함량은 한아가리콩(503.1±1.1㎍/g)이 가장 많았으며, 서리태(475.5±2.4), 서목태(476.5±3), 오리알태(486.6±7.5)순으로 높았다. 발아 콩에서는 충북백(219.4±16.7), 장수콩(230.1±37.5)의 토코페롤 함량이 많았으며, 신팔달2호(20.1±0.6)와 풍산나물콩은(29.8±3.2)은 타 품종에 비해 적은 함량을 보였다. 품종 간 산화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lipid peroxidation(Malondialdehyde, MDA) 함량, DPPH(2,2-Diphenyl-1-picrylhydrazy),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활성을 측정하였다. MDA함량은 종실상태에서 서목태(47.0±9.7 nM/mg)와 오리알태(60.8±7.5)의 함량이 낮았고, 발아 콩에서는 진품콩2호(34.8±4.4), 광교(41.5±0.6), 서목태(43.6±9.7) 순으로 낮아 이들 품종에서 항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DPPH, ABTs를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시 충북백과 장단백묵의 활성이 높았으며, 토코페롤 함량과 Lipid peroxidation 저해활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