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3

        121.
        199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막(山菜莫)(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의 조직배양(組織培養)을 위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로서 체배양(諦培養)에 미치는 배지(培地),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저온(低溫) 전처리(前處理), 배양온도(培養溫度) 및 광(光)의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캘러스 형성율(形成率)은 MS배지(培地)보다 WPM배지(培地)에서 좋은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Img/L NAA를 첨가(添加)한 WPM배지(培地)에서 54%로 가장 높았고, 캘러스 생장(生長)은 2mg/L NAA를 첨가(添加)한 MS배지(培地)에서 좋았다. 2. 약(約)의 배양온도(培養溫度) 및 광(光)의 영향(影響)은 25℃, 16시간 명배양(明培養)이 62%의 가장 높은 캘러스 형성율(形成率)을 보였다. 3. 캘러스 형성(形成)에 미치는 약(約)의 저온(低溫) 전처리(前處理) 효과(效果)는 4℃, 36시간 처리(處理)에서 19.5%로 가장 높았다. 4. 기관분화(器官分化)를 위한 적정배지(適正培地)로는 0. 5mg/L 2, 4-D와 1mg/L kinetin을 첨가(添加)한 MS배지가 녹점형성(綠點形成) 및 뿌리분화를 촉진(促進)하였다. 5. 캘러스 양변화(楊變化) 방지(防止)를 위하여는 3-5mg/L ABA 와 5mg/L AgNO3의 첨가(添加)가 효과적이었으며, 캘러스 활력(活力)이 높아 녹점형성(綠點形成)을 촉진(促進)하였다.
        136.
        198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약배양에 있어서 배양약의 viability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밀양 2003, 대청벼, 치악벼를 재료로 품종 및 저온전처리, 약의 갈변에 따른 호흡율의 변화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화분의 발육시기에 따른 배양전 약의 호흡활성은 개화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배양적기인 stage 3~4에서의 호흡율은 12.46 O2 n mode/ml/h/another이었다. 배양약의 호흡활성의 변화는 3~9일경에 1차 정점을, 9~11일경에 2차 정점을 나타냈으며, Callus 형성능이 높은 대청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온전처리는 배양 초기의 호흡활성을 저하시켰으나 15일경부터는 무처리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저온전처리는 약의 갈변을 촉진하였으며, 갈변약에서 호흡활성이 높았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