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3

        14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andard reinforcing technology of remodeling will be established through the actual remolding cases. Reinforcement techniques can be classified as a technique of seismic retrofit technologies, vertical and horizontal expansion joint detail, footing reinforcing technology, and general repair method.
        14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ic forage produc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Animals in the organic farming system are also essential for manure to be used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Both organic forage and animals are essential to maintain the cycle of organic agriculture system.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organic forage production system in Korea. Summer and winter crops are getting popular in Korea because of their high forage yield and cultivation in double cropping systems. Common cropping system for forage production in Korea is the double cropping system with legume and grass mixture.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are the most popular ones of annual summer forage corps because of their high production with low cost in the double cropping systems. In the mixture of forage crops, inter cropping is more suitable in the corn and sorghum cropping system because of high lodging resistance and forage yield, and low weed population.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are difficult to preserve as direct-cut silage due to the fact that its high moisture content causes excessive fermentation during ensiling. Corn grain addition to sorghum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creasing quality and reducing production cost. It is recommended that corn grain could be added up to 10% of total amount of silage. And agriculture by-products also can be added at the time of ensiling to minimize losses of effluent and have the additional advantage of increasing quality. Agriculture by-products as silage supplements increased DM content and quality, and decreased the production cost of sorghum silage. Field pre-wilting treatment of forage crops also increased DM content and quality of the silage. Wilting sorghum×sudangrass hybrid before ensiling was the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effluent and increasing pH and forage quality more than direct cut silage. Optimum prewilting period of sudangrass silage was 1 or 2 days. In organic forag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enhancement of organic forage sufficiency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friendly and organic livestock. Consequently,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for animal production and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Korea. No forages no cattle concept should be emphasized in organic farming system.
        143.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방향 뇌혈관촬영기는 하나의 선원에서 방사선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정방향과 측방향에서 방사선 피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피폭이 더욱 많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환자가 받는 선량도 중요하겠지만 시술을 시행하고 있는 방사선 관계종사자 역시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방향 뇌혈관촬영기의 혈관검사 및 중재적방사선시술에 있어 X-선 관구에서 직접 조사되는 1차 방사선, 정방향 관구와 측방향 검출기사이에서 발생하는 1차 산란방사선, 상대적으로 적지만 촬영실 벽이나 바닥에서 반사되는 2차 산란방사선 발생을 간과하지 않을 수 없기에 기존의 일반적인 차폐방법인 천정형 차폐, 테이블형 차폐방법에서 보다 더 적극적인 차폐방법인 측방향 차폐체의 방어용구를 설치하여 시술자가 받는 직접방사선 및 산란방사선에 의한 피폭선량을 최대한 줄이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투시측정에서는 생식샘 약 3.64배, 갑상샘 약 3.13배, 눈 약 4.42배 정도 더 감소하였고,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측정에서는 생식샘 약 4.98배, 갑상샘 약 3.00배, 눈 약1.67배의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얻어내었다. 결론적으로 양방향 뇌혈관촬영기의 혈관검사 및 중재적방사선시술시 설치하였던 측방향 차폐체의 방어용구는 일반적인 차폐방법보다 시술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는데 많은 효과를 주었다고 사료된다.
        14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천부지에서 청보리와 월년생 두과작물을 혼파하여 사초 생산성과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안산천 하천부지에서는 청보리와 헤어리베치의 혼파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건물 및 TDN 수량이 많았다. 그러나 수확 시 건물률은 청보리 단파가 가장 높았으며, 혼파조합 중에서는 청보리와 크림손클로버 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높았다. 혼파조합의 조단백질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가장 높았으나 조지방과 TDN 함량은 가장 낮았다. 조사료 생산에 포함된 수질오염물질의 제거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유기물과 인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안산천에서 청보리 혼파조합의 토양특성은 질소 고정능력이 우수한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토양의 전질소(TN) 함량이 높았다. 반면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청보리 단파가 가장 많고, 혼파조합 중에서는 청보리와 크림손 클로버 조합이 유기물 함량이 높았다.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청보리와 크림손 클로버 및 유채 조합이 높고, 청보리와 헤어리 베치 조합은 낮았다. 토양의 CEC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 베치 조합은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사초 생산성이 우수하고,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토양의 인산 함량이 낮아 하천변의 환경개선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4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nutritional problem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xSorghum sudanese) silage is low quality and palatabilit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organic com grain and crushed rice addition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 increases forage quality of the silage. The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s with added com grain and crushed rice were similar to conventional corn silage in moisture content. However organic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 had low pH values. Silage added with gain and byproduct had higher crude ash,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than control corn silages, while its non-fiber carbohydrate (NFC)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showed the opposite results. Lactic acid, butyric acid and lactic percentage oftotal organic acid (UT)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 silage, but acetic acid was higher than control.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ity (IVDMD) of com silage was higher than other sorghum silages. Feed intake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 added with crushed rice was highest among silages. Therefore, these data indicate that crushed rice and com grain added sorghumxsudangrass hybrid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creasing silage quality and palatability.
        14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시대의 청년문화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청년층이 주로 이용하는 미디어인 게임과 게임의 커뮤니티를 분석한다면 대중문화의 텍스트이해와 수용자 입장을 좀 더 의미있게 분석 할 수 있다. 미디어와 문화의 관계는 미묘한 상호작용의 중계여서 내용분석과 담론 분석을 통한 접근방법을 택하였다. 분석 대상은 플레이어들의 정체성이 투사된 육성 시뮬레이션게임 <심즈2> 에 대한 국내 커뮤니티이며 내용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내용분석을 통해 심즈2 플레이어들이 이야기 하는 담론의 내용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나타난 커뮤니티의 내용적 특성을 본 연구는 크게 자아실현및 정체성의 공방 그리고 젠더문제에서의 실험적인 대리만족과, 참여하는 게이머로 문화재생산으로의 의미가 있으며 가상소비의 확산, 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성찰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4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noxious gas emission and fecal microbial population in growing piglets. A total of 96 piglets (22.5±1.3㎏ average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3 different treatment groups and replicated 4 times with 8 piglets per replicate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T1) (Control, basal diet+0.2% antibiotics), T2) 0.2% probiotics complex and T3) 0.3% Bacillus probiotic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efficiency. However,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nitrogen free extract and crude ash were showed higher in probiotics groups (T2 and T3) than those of control. In noxious gas emission, ammonia, amine, hydrogen sulfide and mercaptan were significantly (p
        148.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selected a β-glucan producing mushroom strain and developed industrial media, and used to β-glucan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in weaned pigs. Yields of mycelial biomass and extracellular β-glucan from Youngji (Ganoderma lucidum) mushroom was 8.52g/L and 4.49g/L respectively. Also, we prepared optimum formula for mushroom cultivations. A total of 144 pigs (8.6±0.9 ㎏ average body weight, weaned 20±3 days of age) were allotted to 4 different treatment groups and replicated 4 times with 8 pigs per replicate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T1) NC (negative control, basal diet), T2) PC (positive control, basal diet+0.255% antibiotics), T3) NC+0.2% β-glucan and T4) PC+0.2% β-glucan. The T2 and T4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ed efficiency by antibiotics group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verage daily gain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during phase Ⅰ(0~14 days). In phase Ⅱ(15~28 days), Pigs fed with antibiotics and β-glucan (T4) had greater ADG than other treatments (p<0.05), whil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DFI and feed efficiency.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the ADG of T4 treatment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Pigs fed with β-glucan (T3 and T4) had greater diarrhea score and moisture content than other treatments (p<0.05). Pigs fed with β-glucan (T3 and T4) had greater moisture content than other treatmen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arrhea score and mortality of weaned pigs. There was marginal reductions in feed cost measured feed cost per weight gain used in antibiotics and β-glucan added diet during phaseⅠ. In the second phase, the treatment supplemented with antibiotics had a significantly lower feed cost per weight gain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The results from these experiments suggests that β-glucan is likely able to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and reduce feed cost although they do not have similar effects like antibiotics in weaning pigs.
        14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nutritional problem of sorghum×sudangrass hybrid silage is low quality and dry matter (DM) content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field pre-wilting treatment of sorghum×sudangrass hybrid silage increases DM content and forage quality of the silage. The experiment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were consisted of five different wilting days: 0 day (direct cut silage), 0.5 day, 1 day, 2 days and 3 days. Sorghum×sudangrass hybrid silage with pre-wilting showed low 4.00 pH values, however direct cut silage (control) showed a 4.30 value because of its high moisture content. The DM content of sorghum×sudangrass hybrid silage with pre-wilting was high above 25.1% after 1 days, however that of direct cut silage had 17.6%. And the effluent of wilted silage was decreased with prolonged wilting period, but that of direct cut silage produced effluent of 183 mL/kg.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with wilted silage were decreased, however crude ash was increased with prolonged wilting period. Silage with pre-wilting had higher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than control silages, while its non-fiber carbohydrate (NFC) showed the opposite results. Lac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were increased with prolonged wilting period. For the palatability of dairy goat, silage with 2 days wilting was highest among silages.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wilted sorghum×sudangrass hybrid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effluent, increasing pH and forage quality more than direct cut silage. Optimum pre-wilting day of sorghum×sudangrass hybrid silage may be 1 days.
        15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과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유휴지와 휴경지 뿐만아니라 논을 이용한 양질의 조사료를 연중생산 하기위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바 본 연구에는 여러 초종의 목초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드카나리그라스 등7품종 단파와 톨페스큐 혼파를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논 포장에 2007년 10월1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당 6m2 로하고 파종방법은 산파하였고, 시비량은 화본과 목초는N-P2O5-K2O = 210 : 150 : 180 (kg/ha), 두과목초는 N-P2O5-K2O = 50 : 120 : 120 (kg/ha) 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 특성인 간장, 착수고, 출사기, 병해, 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 구 전체를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서 임의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 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남부지역 논재배에서 목초류 초종 선발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생초 수량이 87.1ton/ha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톨페스큐가 70.7ton/ha이고 건물수량은 각각 23.9ton/ha , 16.2ton/ha 이고 두과류에서는 헤어리베치가 생초수량이 32.4ton/ha로 가장 많지만 건물수량은 9.3ton/ha에 불과하였고 특히 크림손클로버는 수량이 저조하지만 꽃이 붉은색이어서 경관을 조성할 목적으로 어메니티 측면의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톨페스큐 혼파초지에서는 건물수량이 13.5ton/ha이었고 예취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클로버가 점차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1.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민경제가 발전하면서 동물성 단백질의 수요증가로 국내 가축의 사육두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와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바 타작물에 비해 습해에 비교적 강하고 적응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논 재배용 수수류 품종을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도입 품종인 점보 등 6품종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 2007년 5월3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당12m2 로하고 재식거리는 50cm 간격으로 6열을 파종하였고 시비량은 N-P2O5-K2O= 200 : 150 : 150 (kg/ha)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표준 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특성으로 초장,출수일,당도,내습성,병해,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4열중에 가운데2열을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 3주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율과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남부지역에서 수수류 유망품종으로는 Revolution, SX17 등으로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건물수량이 31톤/ha, 25톤/ha 등이며 생육이 양호하며 소화율이 47 ~ 48% 이고 NDF는 각각 64.8%, 70.2% 등이고 ADF는 각각 40.2%, 43.2% 등으로 양호하였다.
        15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와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축산농가는 경영비 상승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양질 다량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배수가 양호한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국산개발 옥수수와 도입 옥수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자 이들을 재배하여 논 재배 적응성과 수량성을 알아보았는바 공시재료는 국내 육성 품종인 광평옥 등 2품종과 도입 품종인 P3394 등 4품종 총 6품종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 2007년 4월23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재식거리는 70 x 15cm로 시험구당 12m2로 하고 시비량은 N-P2O5-K2O = 200 : 150 : 150 (kg/ha)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농촌진흥청 옥수수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특성으로 간장, 착수고, 출사기, 당도, 내습성, 병해, 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4열중에 가운데2열을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 3주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 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남부지역에서 옥수수 유망품종으로는 강다옥과 P3394 등으로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생육이 양호하며 건물수량은 각각 28.8톤/ha, 25톤/ha 등으로 옥수수도 밭뿐만 아니라 배수한 양호한 논 토양에서 논 재배가 가능한 여름철 사료작물임을 알 수 있었다.
        153.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사일리지옥수수의 사료가치를 향상을 위한 일환으로 최근 육성된 국내 사일리지옥수수 품종들의 사료가치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종 옥수수의 파종일에서 출사일까지의 출사일수는 수원19호의 78일에서 수원159호의 86일로 품종간에 8일간 차이가 있었고 수입종인 P3394 보다는 출사일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광평옥, 청안옥, 청사옥은 도복에 강하였으며 후기녹체성은 광안옥, 광평옥, 청안옥, 청사옥, 수원159호 등은 도입종인 P3394 와 같은 수준이었다. 품종간 깨씨무늬병 저항성은 두루옥, 광평옥, 수원159호 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광안옥, 수원19호, 청안옥, 장다옥, 청사옥 등은 도입종인 P3394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을음무늬병과 깜부기병에는 품종간 차이가 없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삭비율은 청안옥이 도입종인 P3394와 같았으며, 국내종의 이삭길이는 P3394와 비슷하거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수량은 수원19호와 장다옥을 제외한 다른 품종들은 P3394와 비교해 볼 때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TDN은 두루옥, 광평옥, 청안옥, 청사옥 등은 P3394와 비슷하였지만 광안옥, 수원19호, 장다옥, 및 수원159호 등은 P3394 보다 낮았다. ADF는 수원159호가 가장 낮았으며, 그 외 품종들은 44.7~49.0% 로 도입종인 P3394와 비슷하였다. NDF는 두루옥이 가장 낮았으며, 두루옥을 제외한 품종들은 68.1~72.8% 로 P3394와 비슷하였다. RFV는 두루옥, 광평옥, 청안옥, 장다옥, 수원159호 등이 71.0~75.7 로 도입종인 P3394 의 70.5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평균간 차이는 없었다. ADF는 출사일수, 성숙일수, 생체수량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고, 조명나방의 피해율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후기녹체성, 건물수량, TDN수량, 종실수량과는 상관이 거의 없었다. RFV는 성숙일수와 생체수량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조명 나방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후기녹체성, TDN수량, 종실수량과는 상관이 거의 없었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