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산성비 및 대기오염물질이 수도권지역의 침엽수 잎에 미치는 피해의 조기판단을 위해 피해도지수, 침엽접촉각, 엽내영양물질, 침엽내 wax, 토양의 화학적 성질 등의 항목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기간은 1990년 6월부터 1년 동안 하였고, 재료는 대기오염에 민감한 수종으로 알려진 독일가문비나무와 전나무를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해도지수는 1990년 6월에는 무피해지(광릉, 양평), 경피해지(인천, 보라매공원, 서울여대, 안양, 양수리, 과천), 심피해지(남산, 서울시립대, 어린이대공원, 금곡릉)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1990년 12월에는 인천, 과천이 심피해지로 포함되는 등 시간이 경과할수록 피해가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침엽의 접촉각에서도 1990년 6월보다 1990년 12월의 값이 감소하였으며, 두수종 모두 1년생잎에서 2, 3년생잎으로 갈수록 접촉각이 낮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어린묘목일수록 피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피해도지수와 접촉각간에는 고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엽내영양물질분석에서 Ca, Mg, K의 값은 대체로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엽령이 높을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 Wax정량분석은 심피해지역에서는 엽령이 높을수록 wax함량이 적었고, 무피해지역에서는 엽령이 높을수록 많았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위 항목의 분석방법들이 상호보완적으로 적용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될 경우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답사하여 그 생육상황을 조사하였으며, 복수초 군락 등 16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는 분류결과와 최근에 작성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기준에 따라 재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조사에서 검토된 식물 종은 복수초 군락,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왕괴불나무, 금강애기나리, 누른종덩굴, 백작약, 개불알꽃,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한라부추, 솔나리 및 감자난 등 모두 16종류였다. 이들을 I.U.C.N.의 S.S.C.에서 마련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재평가한 바 Endangered (E)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백작약,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솔나리 및 감자난 등 10종이, Critical (C)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왕괴불나무, 누른종덩굴, 개불알꽃, 한라부추 등 4종이, Vulnerable (V)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복수초와 금강애기나리 등 2종이었다. 상기의 구분은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알려져 있는 구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식물종들의 관리보전계획을 위해 앞으로 더욱 검토, 보완되어야 하리라 판단된다. 덕유산 국립공원내에 생육하고 있는 보전대상 특정식물은 주로 등산로변이나 개발계획지 등지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서 앞으로 더욱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용객의 이용압력에 의한 토양 및 식생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부산시의 어린이대공원과 금강공원의 이용 통제구역과 이용지역내에 20개의 조사구를 설치하고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양경도는 이용지역에서 평균90kg/ cm2 이상을 보여 식물생장에 지장을 주었고 이용객통제에 따른 토양경도의 완화효과가 있었으나 다른 토양특성들은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물군집분석결과 이용압력에 의해 특히 관목층식생의 피해가 매우 컸으며 종다양성을 떨어뜨리게 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단기간(2년)의 이용객통제는 식생의 자연복원과 종다양성 증진에 좋은 작용을 하고 있었다.
한라산국립공원의 이용객 행태분석은 1990년 9월 한달간 실시되었다. 방문특성에서 자연지향적인 목적이 68.9%를 보였으며, 동반특성에서는 소속단체가 36.3%, 친구가 29.8%이었고, 동반자수는 2-3명이 23.0%, 12명 이상이 29.7%였다. 활동특성에서 식사준비는 도시락이 62.7%로 매우 높았으며, 쓰레기처리 방법도 가지고 하산후 처리가 69.6%이었다. 경관만족도는 최대치를 5로하여 3.98의 높은 만족도률 보였으나 편익시설은 불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전체만족도는 3.43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의견에서 선착순입장, 여약제도도입, 대규모 단체이용제한에는 대체로 반대하였으나 자연휴식년제 도입에는 찬성율이 높았다. 특히, 탐방객안내소는 이용객의 이용이 거의 없었으나 이용자중 도움이 되었다고 답변한 사람들이 많았다. 설문에 의해 심리적 만족도조사를 하여 각 항목들의 요인분석을 직각회전방법에 의해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factor 1은 편익시설적 요인, factor 2는 사회적 요인, factor 3는 이용행태요인, factor 4는 자연적 요인으로 적재되었다. 전체 및 지역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지역에서 전체만족도(Y)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청결도, 경관성, 안전도, 쓰레기통 수, 혼잡도 순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ural tourism network products that are linked with local resources, and propose the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uch products. The focus is on helping rural tourism network products acquire competencies that will help them evolve their business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To reach these objectives, a survey was design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the motive of rural tourism and on agritourism networks.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visitors to rural communities that produce rural tourism network products from November, 2015, to January, 2016 using 165 copies of a questionnaire after distributing 175 copies. The first quadrant continue and sustain‘, an area of high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included trial program components, stress reduction, getting away from daily routines, gaining new experiences, comfort, experiencing rural culture, travel expenses, and making memories with family. The second quadrant ‘requires intensive improvement’, an area of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included having diverse trial programs, refreshment, experiencing agriculture, and education of children. Therefore, continuous interest is required for the area of ‘maintenance’ just as it is for activating educational farms in rural communities and a more fundamental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should be made for the area of ‘intensive management’.
Cheonggukjang was prepared by addition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powder in order to improve its qua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eonggukjang added peanut powder were investigated, after adding the peanut powder with the amount of 5, 15 and 25% (w/w).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peanut powder was as follows: moisture, 1.80%; crude protein, 24.9%; crude lipid, 48.3%; crude ash, 2.90%; and carbohydrates, 22.1%.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 of Cheonggukjang increased with increaes in the amounts of peanut powder, while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Calcium and amino acid contents showed disparity depending on the increasing addition of peanut powder. Cheonggukjang containing 15% (w/v) peanut powder was found to be highest calcium contents. The major amino acids of Cheonggukjang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nd proline. Depending on increasing amounts of peanut powder, the L and b values (measured using Hunter’s color values) were decreased, while the a value was increased. In addition, pH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peanut powder was increased. Sensory score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15% (w/v) peanut powder were best when considering both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peanut powder could enhance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Cheonggukjang further.
본 연구는 땅콩의 우수한 영양적 효능과 생리활성을 활 용하여 영양적으로도 우수하면서 손쉽게 많은 양을 소비할 수 있는 땅콩분말을 첨가한 죽을 제조하여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땅콩분말 첨가량에 따른 땅콩 죽의 pH는 땅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 다. 색도는 땅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감 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증가하였다. 땅콩 분말 첨가 죽의 퍼짐성은 대조군 6.44에서 80% 첨가군 6.14 로 감소하였으나(p<0.05), 점도의 경우 대조군 4753.25에서 80% 첨가군 7825.22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 검사 결과 색과 향미는 땅콩분말 20% 첨가군의 경우 에 가장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고소한 맛과 씹힘성은 땅콩분말 60%와 40% 첨가군의 죽이 기호도가 높았다. 전 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대조군의 경우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냈고, 40%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로 볼 때 땅콩분말을 첨가하여 물성과 기호도를 고려한 죽을 제조할 경우 땅콩분말을 40% 첨가하는 것이 죽의 전통적인 품질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능성을 더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the items related to rural education farm management.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operators of rural education farm from October 6th, 2014 to April 30th, 2015, and 14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the first quadrant, the environment of the farms(safety of the education farms, accessibility to the farms) and the existing customer management(dealing actively with the customer complaints, consulting with schools regarding the hands-on education and the feedbacks) were included. In the second quadrant, fourteen items were included. To mention these items in detail, the environment of the farms(lounge area for the guiding teachers), customer management(diversification of the publicity for the education farms, efforts to secure loyal customers, efforts to create new customers), campaigns of publicity and contents of publicity management(diversification of the publicity channels for education farms, off-line contents management, on-line contents management), ensuring professionalism(workshee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eriodical supplemental education for operators), hands-on education programs(new program development, customized program development, distinguished program development), costs(efforts for cost reduction, fees for hands-on education) were included. In the third quadrant, the environment of the farms(size of the education farms), publicity activities and publicity contents management(enthusiastic publicity activities),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rural education farm management) and in the fourth quadrant, the environment of the farms(environmentally-friendly and aesthetic natural landscape,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powder rooms and washstands, parking lots) were included.
Recently, Introduced the study of fire resistance design. This paper has been written about the cross-section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square CFT columns are painted in Intumescent paint. Study on the thermal properties Intumescent paint is not yet clear. Thus,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reference to the properties of other materials. FEM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t offer a range of thermal properties considering the thermal mechanism of the fire-resistant paint as a result.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문화예술 기반의 교육방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다문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문화다양성 관점에 기반을 두고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는 네 가지 영역의 교육 내용을 확인하였다. 문화의 의미와 특징, 문화 다양성의 요소, 문화다양성의 확산, 문화다양성의 인정과 존중을 중심으로 학교급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적 접근에 기반을 둔 교육방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전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과정에는 현장 적용성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및 현장 교사와의 협동적 실행 연구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또한 사용자중심 설계 방법론을 활용하여 교사 및 학생들의 반응을 사용성 평가 차원에서 분석하여 최적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문화다양성 주제를 교육 내용으로 다룰 때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법의 선정 과정에 중요한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Oplopanax elatus by water condition.Drought stress was induced by withholding water for 26 days. The results show that PN max, SPAD, gs, E and Ci weresignificantly decreased with decreasing of soil moisture contents. However, AQY and WUE were decreased slightly only at26 day. This implies that photosynthetic rate is reduced due to an inability to regulate water and CO₂exchange through thestomatal. According to JIP analysis, ΦPO, ΨO, ΦEO and PIAB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at 21 day and 26 day, whichreflects the relative reduction state of the photosystem II. 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activities per reaction center suchas ABS/RC, TRo/R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26 day. Particularly, Dio/RC and DIo/CS increased substantially underdrought stress, indicating that excessive energy was consumed by heat dissipation. These results of chlorophyll a fluores-cence show that the sensitivity changes photosystem II activity. Thus, according to the results, O. elatus was exhibited astrong reduction of photosynthetic activity to approximately 10% soil moisture contents, and JIP parameters could be usefulindicator to monitor the physiological states of O. elatus under drought stres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artificial structur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stream. Sampling was taken at upper(pool), down(riffle) and control(riffle) from two check dams, two weirs, one agricultural reservoir, and one multipurpose dam in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these structures were surveyed during 2009 to 2011. The simple habita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ccurred at the upper sites due to pooling effects from artificial structures. Specifically, Check dam1, Jusanji, Imha dam showed very low biological attribute values compared to the down and control sites, which have greater difference in substrate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upper sites of Check dam2, Weir1 and Weir2, the difference of values of biological attributes was relatively smaller. Also, propor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functional habit groups were relatively simpler at upper stream and the degree of community differences was greater between upper and down, control sites. Spearman’s correlation between biological attributes and substrate characteristics, water quality parameter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particularly, the substrate characteristics were more significantly related. In conclusion, the pool caused by artificial structures had negative effect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thus leading to simplified stream habitats at upper stream ecosystems.
급성 뇌졸중의 경우 빠른 시간 내의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성기 뇌경색 환자 에서 관류CT와 확산강조MRI의 영상을 비교하여 허혈 부위와 경색부위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관 류 CT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DW-MRI)을 시행한 12명의 급성뇌경색 환자를 대 상으로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각각의 CBF, CBV, MTT, TTP지도와 DW-MRI의 신호강도 값을 비교하고, 관류CT 와 DW-MRI에서 병변의 크기 비교를 해보았다. CBF, CBV, MTT, TTP는 모두 관류결손을 보였고, 관류 결손이 인지 되는 부위에서 MTT와 TTP시간의 현저한 지연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MTT와 TTP 지도의 결손부위 면적은 DW-MRI 보다 크게 나타나 허혈성 반음영을 추측할 수 있었고, 일부 DW-MRI에서 경색부위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 우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류 CT의 지도를 이용하면 뇌경색의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허혈 중심부, 그리고 허혈성 반 음영을 예측하여 관류결손 부위의 혈류 역학적 상태를 평가 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Orographic effec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nduce Local circulations and to make atmospheric turbulence, so it is necessary to use the exact topographic data for prediction of local circulations. In order to clarify the sensitivity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opography data, numerical simulations using several topography data with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are carried out under stable and unstable synoptic condi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fluence of topographic data resolution on local circulation tends to be stronger at simulation with fine grid than that with coarse grid. 2) The hight of mountains in numerical model become more reasonable with high resolution topographic data, so the orographic effect is also emphasized and clarified when the topographic data resolution is higher. 2) The higher the topographic resolution is, the stronger the mountain effect is. When used topographic data resolution become fine, topography in numerical model becomes closer to real topography. 3) The topographic effect tends to be stronger when atmospheric stability is strong stable. 4) Although spatial resolution of topographic data is not fundamental factor for dramatic improvement of weather prediction accuracy, some influence on small scale circulation can be recognized, especially in fluid dynamic 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