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은 배추, 무, 양배추 등 45종 107과의 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이며 연 2회 발생하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등록된 적절한 약제나 천적이 없는 난방제해충이다. 이러한 도둑나방의 방제법을 개발하고자 도둑나방에 대하여 높은 병원성을 보이는 도둑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M. brassicae nucleopolyhedrovirus: MbNPV)를 국내에서 분리하고 바이러스 살충제의 개발을 위한 생물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기초 특성을 조사하였다. MbNPV-K1의 다각체는 직경 약 1.8㎛의 부정형이고, 하나의 envelope에 다수의 nucleocapsid가 존재하는 MNPV(Multiple nucleocapsid nucleopolyhedrovirus)형태였다. 다각체 단백질은 Autographa californica 다각체 단백질의 분자량과 동일한 약 31 kDa의 단일 단백질로 나타났으며, 그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MbNPV와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였다. 살충력을 조사하기 위한 생물검정은 외국에서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MbNPV 살충제인 Mamestrin을 대조구로 하여 도둑나방 3령충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MbNPV-K1의 반수치사농도(LC50)는 3.9 X 103 PIBs/larva로, 6.0 X 104 PIBs/larva 인 Mamestrin 보다 15배 높은 병원성을 나타냈다. 또한 반수치사일수(LT50)도 MbNPV-K1은 4.4~6.1일, Mamestrin 은 4.1~8.6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단면상의 화이버 요소를 사용하여 3차원 강구조물의 점진적인 소성화를 고려하는 실용적인 비선형 비탄성 해석방법을 개발하였다. 부재의 , 등의 기하비선형은 안정함수로 고려하였다. 잔류응력은 단면상에 있는 화이버 요소에 초기응력을 가하여 고려하였다. 각 하중 단계에서 탄성상태인 단면을 계산하여 축강성과 휨강성을 직접 결정함으로서 점진적인 소성화를 고려하였다. 각 화이버 요소의 응력 변화를 계산하여 변형률 반전효과를 고려하였다. 제안된 해석 방법은 3차원 강구조물의 실용적인 해석 및 설계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 판단한다.
블록 영상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 복잡도는 블록 영상을 대표하는 화소를 선택할 수
있고 정합 오차를 예측할 수 있어 블록 정합 알고리즘에 활용되고 있다. 영상 복잡도는 부가적인 계산량을 요구하고 전체적인 계산량과 화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영상 복잡도가 선택되어야 한다.본 논문은 영상 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는 기존의 방법을 소개하고,화질을 유지하면서 계산량을 줄이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성능평가를 위해 영상 복잡도들은 화질과 계산량에 대해 비교 분석된다. 그리고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영상 복잡도가 기존의 영상 복잡도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군을 구축함으로써 국토 및 자연환경 보전의 기초자료 제공과 더불어 환경정책 수립이나 입안을 위한 방향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생물적 요인, 무생물적 요인, 질적 요인, 기능적 요인 등 4개의 평가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평가지표는 밀도, 총 질소량, 헤메로비등급, 재화생산등56개로 추출하였다. 평가항목과 평가지표가 신뢰계수 0.6 이상으로 확인되어 설문지 설계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의 상관분석 결과, 생물적 요인의 경우 군도와 우점도, 무생물적 요인의 경우 토성과 방위, 질적 요인의 경우 귀화율과자연파괴도, 기능적 요인의 경우산사태 방지와토양침식 방지가 높은상관성을 보였다. 다차원 척도법에 의해 차원결정을 수행한 결과, 스트레스값은 0.042~0.133, 적합도 지수는 0.9 이상으로 나타나 통계적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X축의 경우 생물적 요인은 구조, 무생물적 요인은 관점, 질적 요인은 구성, 기능적 요인은 대상이고 Y축은 형태, 범위, 구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
The effect of post-heat treatment on the coating characteristics and the fatigue strength of the gas flame thermally sprayed Stellite alloy coatings on carbon steel were investigated. The fatigue fracture surfaces of the heat treated samples were observed using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r as-sprayed samples, there was considerable scattering in the fatigue life due to the presence of the pores in the coating. After the post-heat treatment to improve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ating layer, the fatigue strength of the specimens was greatly improved, increasing with increasing the coating thickness. For the specimens with the 0.3mm and 0.5mm thick coating, the fatigue cracks originated in the substrate region just below the interface. On the contrary, for the specimens with the 1.0mm thick coating, they nucleated at the pore within the coating, and the fatigue strength was 2.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due to the high fatigue resistance of the coating.
The copper oxide nano powders were synthesized by levitational gas condensation(LGC) method, and their high heterogeneous catalytic effects of oxidation of 2,3,5-trimethyl-1,4- hydroquinone (TMHQ) and catalase activity were studied. The observation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hows that most of these nano powders are uniform in size, with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35 nm. The nano powder consists of mainly , but it is aged to CuO phase. The catalytic effect which was clarified by oxidation of TMHQ and catalase depends on the amount of cuprite phase and the particle size.
nano cubes with high catalase activity were synthesized by reduction of freshly prepared Cu in distilled water at and their catalase activities of were studie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observation showed that most of these nanocubes were uniform in size, with the average edge length of 30 nm.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of TEM revealed that the nanocube consisted of single crystalline , but it changed to CuO phase. The catalase activity depends on the amount of both cuprite phase and surface area.
Nanoscale Cu-Ni alloy nanopowders have been produced by a pulsed wire evaporation method in an inert gas. The effect of Cu-Ni alloy nanopowders as additives to motor oil on the tribological properties was studied at room temperature. The worn surfac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Cu-Ni alloy nanopowders as additives lowered coefficient of friction and wear rate. It was found that a copper containing layer on the worn surface was formed, and deposited layers of the metal cladding acted as lubricant on the worn surface, reducing the friction coefficient. It was clearly demonstrated that Cu-Ni alloy nanopowders as additives are able to restore the worn surface and to preserve the friction surfaces from wear
설치의 용이성과 경제성, 여러 다른 용도로의 전용 가능성, 유지보수의 용이성, 그리고 재동조의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TLCD (Tuned Liquid Column Damper)는 기존에 건물의 응답제어에 많이 사용되는 TMD를 대체할 수 있는 감쇠장치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MD (Tuned Mass Damper)와 TLCD의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응답제어 성능평가에 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성능비교분석 결과, 층간변위 제어성능에서는 TLCD가 TMD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가속도 제어성능에서는 서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층간변위 제어에서는 저층에서 큰 제어성능을 발휘하고, 절대가속도 제어에서는 상층부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TLCD가 지진에 가장 문제가 되는 구조물의 안전성 및 거주자의 사용성에 있어서 효율적인 감쇠기라 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중국 내수시장에서 제품의 브랜드와 제조국에 따른 제품형태별로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품질 지각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며, 이들 두 요인에 의해 소비자들의 제품품질 지각이 실제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중국 내수시장에서 제품형태별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을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 상해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C-TV 제품의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와 제조국을 달리하는 7개의 C-TV 제품형태별로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품질 지각에 차이가 있으며, 브랜드와 제조국이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품질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 모형의 추정 결과 단일 국적 제품의 경우에는 대체로 브랜드 선호도에 의해, 그리고 이중 국적 제품의 경우에는 주관적 규범에 의해 구매의도가 보다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