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9

        163.
        201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치료 실시결과 사회성기술(SSRS)관련 하위영역 항목 중 ‘협력’에 해당하는 하위항목의 척도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기주장’, ‘자아통제’ 역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며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행동 척도(PBS)의 하위영역 가운데 내현화 문제행동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외현화 문제 및 충동적 사건에 대한 문제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정서장애 청소년의 사회성기술 향상과 문제행동 감소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66.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미세 분쇄법은 식품의 가공방법 중 하나로 특히 이를 이용하여 음용으로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감을 이용한 초미세 분말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과 자가면역질환인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보았다. 감 초미세 분말을 이용하여 DPPH와 FRAP 항산화 활성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마우스 동물모델을 이용한 항알러지 피부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감 초미세 추출물은 농도에 따른 활성 등
        167.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smarinic acid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계통의 strain (13333, 15834, R1000, R1200, R1601)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A. rhizogenes R1601이 가장 높은 72.9%의 모상근 유도율을 보였다. 모상근 유도시 모상근 발생 수와 길이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도 A. rhizogenes R1601으로 감염시킨 잎 조직에서 평균 5.4개의 모상근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2.0 cm의 길이 신장으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 계통의 A. rhizogenes감염으로부터 유도된 각각의 모상근의 생육은 서러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경향은 모상근유도 결과와 유사하였다. A. rhizogenes R1601 감염으로 유도된 모상근의 생육은 배양 2주후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13.5 g/l로 다른 계통에서 유도된 모상근 보다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Rosmarinic acid 생산량도 22.6 mg/g D.W.로 다른 계통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A. rhizogenes R1601이 배초향 모상근 유도, 생육과 rosmarinic acid 생산에 가장 좋은 적합한 계통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16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using experi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facilities and attitude toward environmental education in parents who have elementary students in Seattle, 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presented that elementary parents have a great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Parents have a strong agreement with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ldhood. This research also found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s and facilit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xpected effect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desirable fiel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creased according to frequency in using environmental education facilities. In addition, the more the experiences of using various environmental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museum of natural history, science museum, arboretum, and aquarium expanded, the more educational effects positively increased over time.
        171.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의 품종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법으로 측정하였고, /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Proanthocyanidin 함량은 vanillin sulfuric acid법으로 측정하였고, /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 중에서 자옥 품종이 가장 높은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자옥
        172.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도반시 추출물로부터 라디칼 소거활성, T-bet promoter 활성, IL-4 발현 활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7월부터 10월까지 감을 시기별로 수확하여 분자염증 활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감의 무게는 시기가 경과할수록 무거워지면서 항산화 활성에 있어서는 감이 미숙과일수록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4가지의 용매로 추출한 감의 항산화 활성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T-bet promoter 활성은 추숙이 될 수록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에
        17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만능성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확립된 신경줄기세포 또는 신경전구세포는 퇴행성 신경질환 세포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신경세포로 분화 유도될 수 있다. 하지만,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신경세포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은 아직 많은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신경전구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관 유사로제트에 대한 이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신경 분화의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신경로제트
        174.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me studies of dandelion have been carried out on bioactivities, however, no comparative analysis on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in the Korean dandelion (T. coreanum NAKAI.; KD) and dandelion (T. officinale WEB.)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the extracts of KD and dandelion analyzed relative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enzyme and cytotoxic activities. The extract of Korean dandelion leaves (KDL) exhibited a higher phenolics content (368±11.5 mg/l00 g) and a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C50value;87.89 ug/ml) than other parts and BHT (120.12 ug/ml), synthetic antioxidant. At ascorbate peroxidase (APX) activity, the dandelion root (DR) had a greater (38.8 U/mg protein) antioxidant enzyme compare to the dandelion leaves (12.2 U/mg protein). The catalase (CAT)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followed higher enzyme activity in Korean dandelion root (KDR) than other parts. In a cytotoxic activity against human cancer cell, the extracts of KDR was found to be active against Calu-6, HCT-116, and SNU-601 cell lines, with IC50 values of 522.34, 532.74 and 614.85 u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KD and dandelion would be an alternative antioxidant source, based on natural plant resources.
        175.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우스 포도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거봉, 델라웨어, 캠벨, 청포도를 열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효과 중 항산화와 항암 활성에 대한 보고는 많으나 면역활성에 대한 활성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우리는 4종의 포도의 메탄올 추출물로 항산화, 항암, 그리고 면역활성을 분석하였다. 전자공유능을 측정하기 위한 DPPH를 이용한 실험 결과 포도 4종에서 모두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을 알아보기 위한 FRAP 실험 또한 활
        17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 개발을 위해서는 배아줄기세포의 자가재생산 및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분자적 기전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질합성경로(Mevalonate pathway)에 작용하는 HMG-CoA 환원효소(Hydroxy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의 억제제인 스타틴은 콜레스테롤 저하제로 잘 알려져 있으며, 콜레스테롤 이외에 단백질 isoprenylation의 기질로 작용하는 아이소프레노이드(Isopren
        180.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생물 및 동물에 비해 식물에서는 혈전용해효소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기존의 혈전용해효소가 가지는 혈전에 대한 비특이적, 부작용, 고가 등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혈전용해효소의 개발을 위하여 동백의 종자, 종피, 유엽 그리고 성엽으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단백질의 혈전용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동백부위로부터 추출된 조효소 용액은 기존 혈전 용해효소인 plasmin과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여 fibrin agarose plate로 확인한 결과 fibrin clot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였다. 그 중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다른 부위보다 20-33배로 높았던 동백종자와 종피의 수용성 추출물의 혈전용해활성은 양성 대조군인 plasmin과 비교하여 1.6-2.0배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 수용성 단백질은 30-80%황산암모늄을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혈전용해효소는 fibrin zymography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SDS-PAGE에 의하여 동백유엽의 혈전용해효소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45 kDa으로 단일 polypeptide임을 확인하였으며, 각종 pretense 저해제에 의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PMSF,그리고 TLCK에 강력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동백유엽의 혈전용해효소는 trypsin과 유사한 serine protease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EDTA와 DTT처리에 의해서는 효소활성의 저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증진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효소 활성에 미치는 pH 및 온도의 효과는 약간의 산성쪽에 가까운 pH 5.5와 30℃에서는 최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5℃ 이상의 온도에서는 효소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모든 결과로 볼 때 동백유엽의 혈전용해효소는 trypsin과 유사한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혈전용해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