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5

        163.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 태아 섬유아세포 유래 체세포복제수정란 이식으로 임신된 수란우가 분만예정일이 도래하였으나 분만징후가 없어 수정란이식 후 272일째에 dexamethasone 20 mg을 근육주사하고 24시간후 PG 25 mg과 estradiol 20 mg을 근육주사하여 분만유도를 실시하였다. dexamethasone 투여후 48시간만 분만징후를 나타내었으며, dexamethasone 투여후 50시간째에 40 kg의 수송아지를 견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분만시켰다. 그러
        3,000원
        164.
        200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의 성별에 따른 거세와 난소 적출이 체성장과 사료 이용성, 혈중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에서 계통 조성중인 35일령의 돼지 48두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성장 및 사료 이용성 산육능력에 있어서 암퇘지 난소 적출구의 일당증체량은 898.6 g으로 대조구의 862.7 g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수퇘지 거세구의 일당증체 량은 926.0 g으로 대조구의 945.5 g 보다 약간 낮았으며, 유의차는 없었으나, 수퇘지 대조구는 암퇘지군 보다 일당증체량이 높게 나타났다. 사료요구율은 수퇘지 대조구가 2.51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암퇘지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거세구와의 유의차는 없었으며, 난소 적출구와 대조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등지방 두께는 수퇘지 대조구가 1.65 cm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암퇘지군과 유의차는 없었으며, 각각의 대조구가 시험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혈중 호르몬 변화 혈중호르몬 변화에 있어서 IGF-I 농도는 암퇘지군 대조구에서는 5주령의 45.1±0.72ng/m1에서 15주령의 356.3±3.05ng/ml까지 점차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부터 23주령까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수퇘지 군에서도 혈중 IGF-I 농도 변화는 암퇘지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전구간에서 암퇘지 군에 비해 수쾌지 군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거세 및 난소 적출구의 경우에는 각각의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경 향치를 나타내었다.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에 있어서 대조구 암퇘지의 혈중 estradiol-l7β 농도는 5주령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이었으나, 그 이후 11주령의 21.8±1.61pg/ml에서 23주령까지 점차 증가되었다. 또한 대조구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5주령에 비해 11주령 이후부터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난소적출된 암퇘지에 있어서는 estradiol-17β와 progesterone 농도는 거의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한편, 수퇘지의 testosterone 농도는 대조구의 5주령에서는 0.28±0.17ng/ml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11주령에서는 4.63±0.78ng/ml로 증가되었으며 그 후 23주령까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에 반해 거세돼지의 경우에는 23주령까지 전혀 검출이 되지 않아 거세돼지의 경우 혈중 testosterone은 거의분비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미경산우에 인공수정 7일째와 복제수정란 이식시 hCG를 투여에 의해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인공수정 후 임신 60일째에 임신감정을 실시한 결과 대조구, CIDR 그리고 hCG를 투여한 결과 53%, 46%, 71%였으며,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복제수정 란의 이식시 hCG를 투여한 결과 대조구, hCG투여구는 각각 5.8%, 10.4%를 나타냈으며,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인공수정 7일째에 hCG를 투
        4,000원
        166.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1년도 국내에서 실시된 가축의 수정란이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의 수의·축산분야의 대학, 국·공립 축산관련 연구소, 농업기술센터, 가축 인공수정소 및 동물병원 등의 108개 관련기관에 2001년 1월 1일부터 12월 31 일까지 소, 돼지 및 기타 동물의 수정란 생산, 이식 및 임신진단 결과에 대하여 설문서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설문서를 작성하여 제출한 51개 기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축의 수정란이식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은 국림기관 4개소, 지방자치단체 10개소, 대학 11개소, 생산자단체 2개소, 개인 시술소 25개소로 전체 51개소였다. 한우 및 젖소 228두를 과배란 처리하여 회수된 난자수는 1,536개였으며, 그 중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995개로 두 당 평균 4.4개였다. 체외수정의 생산은 OPU유래 244개, 도축난소 유래 20,957개, 복제수정란 8,154개로 29,355개의 이식가능 체외수정란을 생산하였다. 한우에서 수정란이식은 체내수정란 359개, 체외수정란 2,686개, 복제수정란 713개 등 3,758개가 이식되었고, 젖소에는 체내수정란 U개, 체외수정란 120개, 복제수정란 106개 둥 294개가 이식되었다. 이식된 수정란의 상태별로는 신선수정란이 61.7%(2,500개), 동결수정란이 38.3%(1,552개) 이식되었고, 수란우의 품종별로는 한우 수정란을 한우 수란우에 1,471개, 젖소 수란우에 2,287개가 이식되었고, 젖소 수정란을 젖소 수란우 236개, 한우 수란우에 58개가 이식되었다. 수정란이식 수란우의 수태율은 임신진단이 이루어진 체내수정란이식(368 두)은 32.3%, 체외수정란이식(968두)은 40.4%, 복제수정란이식(536두)은 9.3%였다. 기타동물의 체내수정란 생산은 돼지 105두에서 1,623개, 염소 2,662두에서 1,720개, 기타 39두에서 228개의 수정란을 회순 하였으며, 돼지에서 체내수정란 695개, 체외수정란 1,200개, 복제수정란 67,750개 이식되었고, 기타동물에서 58,950개가 이식되었다.
        167.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공수정 및 수정란기술의 활성화에 따라 소에 있어서 인공수정은 90%이상이 실시되고 있으나, 수정란이식은 수정란의 생산이 안정적이지 않아 활성화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의 원인은 수정란이식에 의한 수태율의 저하가 가장 크며,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수란우에 progesterone, hCG 등의 주사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수정란의 착상에 있어서 자궁의 환경을 개선한다고 하나, 착상의 정확한 기전의 구명은 미미한 상태이다. 한편 비장유래 macrophage가 황체를 자극하고 TGF-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IL-I 와 에 따라 TGF- 생산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장유래 macrophage가 TGF-의 생산시 임신관련 Cytokine인 IL-I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임신 및 비임신 도축 암소의 비장을 채취하여 얼음에 채워 실험실로 운반한 후 비장의 표면을 70%의 알콜로 세척하고, 표피를 벗겨 비장조직을 세절하여 10% FBS+DMEM에 넣어 조직을 눌러 짜면서 조직속의 세포를 분리하였다. 세척한 배양액은 4-5를 100mm 유리 petri dish에 넣고 39, 5% , 95% 공기인 배양기에서 2시간이상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냉장된 buffer A 용액으로 세척하여 유리 petri dish의 바닥에 부착된 macrophage만을 cell scraper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macrophage는 0.5-1 cells/가 되게 조정하여, IL-I 을 0.001, 0.01, 0.1 또한 1 ng/를 첨가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고, 각각 24, 48, 72, 96 또한 120시간을 배양하여 시간에 의한 효과도 실시하였다. 각 배치구에서 얻어진 배양액은 TGF-를 조사하기 전까지 -2에 동결 보존하였다. TGF-의 측정은 TGF- kit(promeg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Anova test를 Statview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의 결과 대조구에 비해 IL-I 첨가구는 2-3배의 TGF-생산을 보였으며, 배양시간에 따른 생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IL-I의 농도에 따른 생산의 변화는 IL-I의 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임신 및 비임신의 경우 임신우의 비장 macrophage가 비임신보다는 약간 상승하는 거스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IL-I 는subunit 보다 TGF- 생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며, IL-I은 macrophage의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황체세포를 매개로 한 자궁에 TGF-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임신관련 cytokine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180.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the hypothesis the hypothesis that treatment with hCG (5,000 IU) at the time of embryo transfer would enhance pregnancy rates in recipi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urea nitrogen(PUN) in recipients was related to the effect of hCG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samples were taken according to experimental condition for the assessment of the endogenous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plasma urea nitrogen.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in plasma were higher in cows treated with hCG on day 7(estrus=day 0) than in those untreated during 7∼43 days after insemination. The pregnancy rates were 65.5 and 54.6% for the hCG treated and untreated groups, respectively. In recipient group categorized with PUN concentration of <12 mg/이, the pregnancy rates were 68.8 and 46.7% for the hCG treated and untreated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hCG treatment at 7 days after insemination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of embryo transfer, and transfer, and only the recipients with PUN concentration of <12 mg/dl were influenced by treatment with hCG.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