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7

        16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vinyl chloride)-g-poly(styrene sulfonic acid) (PVC-g-PSSA) 가지형 공중합체를 합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80℃에서 열적으로 환원하여 은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반응 시간을 바꿈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은 나노입자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다. 1시간 정도의 짧은 반응 시간에서는 가지형 공중합체의 미세 상분리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5 nm 크기의 작은 은 나노입자가 생성되었다. 5시간 정도의 중간 반응 시간에서는 30 내지 50 nm 정도의 크기를 갖는 은 나노입자가 생성되었다. 18시간 정도의 긴 반응 시간에서는, 은입자가 뭉친 허리케인 모양의 은 집합체가 관찰되었다.
        3,000원
        162.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RFID 태그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안테나는 짧은 스트립과 오픈 스터브, 패치, 그라운드로 구성되어있다. 제안된 안테나는 FR-4기찬을 사용하였고, 유전율은 3.5, 탄젠트 손실은 0.02이다. 전체적인 안테나의 크기는 길이가 100mm, 넓이는 26mm, 높이는 6mm이다. 기판의 두께는 5.93mm, 그라운드와 패치의 두께는 0.035mm이다. 제안된 안테나의 중심주파수는 UHF대역인 915MHz에서 형성하고 있다.
        3,000원
        164.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벼 건조기간의 기상조건에 적합한 열펌프를 설계, 제작하여 기본 성능을 측정하고, 건조온도 20-50oC 범위에서 벼 건조실험을 통하여 건조특성 및 소요에너지를 분석하였다. 열펌프는 건압축 냉동 사이클에서 냉동효과는 173.8 kJ/kg이었으며, 냉매순환량은 49.6 kg/hr이었다. 따라서, 성능계수는 5.5로 표준냉동사이클에서 냉매 R-22의 성능계수 4.0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목표 건조공기의 온도 30oC 및 상대습도 40%에 도달하는 시간은 6분 및 7분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건조온도와 곡온과의 온도차이는 건조온도 21.9oC에서는 약 1.5oC, 건조온도 48.7oC에서는 약 8.5oC로서, 건조실에서 상승한 곡온은 템퍼링실에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조온도 21.9, 30.7 38.8 및 48.7oC에서 건조속도는 0.29, 0.61, 0.85 및 1.25%/hr로 나타나 상용건조기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건조온도 21.9oC에서 소요에너지는 325 kJ/kg, 건조온도 30.7, 38.8 및 48.7oC에서는 667, 692 및 776 kJ/kg로 나타나 외기조건에 따라 건조소요에너지의 차이가 발생했지만,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상용 화력건조기의 벼 건조 소요에너지 4,000-5,000 kJ/kg에 비해 평균 86%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6.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measured cobalt content in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ir absorbance and back ground values. These analyses were with AA-680 of Shimadzu. The mode was BGC; wave length, 240.8 ㎚, 240.7 ㎚, 240.6 ㎚, respectively. The recommended wave length is 240.7 ㎚ for Co analysis. It was done through several ratios among 4 factors; mean of absorbance(AM), standard deviation of absorbance (AS), mean of background(BM), standard deviation of background.(BS). The result was t㏊t 240.6 ㎚ was the favourable. And t㏊t of 240.8 ㎚ was better t㏊n t㏊t of 240.7 ㎚ for the Co analysis.
        174.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ereditary dentin defects consists of dentin dysplasia(DD) and denti nogenesis imperfecta(Dr) ‘ The Dl associated with osteogenesis imperfecta has been classified as DI type 1. whereas isolated inherited defects have been categori zed as DI types II and III , However‘ whether DI type III should be considered a distinct phenotype 01' a variation of DI type 1I is debatable , Recent genetic findings have focused attention on the role of the dentin sialo phosphoprotein(DSPP) gene in the etiology of inherited defects of tooth dentin, We have identified novel mlltation( c,727G - > A, p,D243N) at the 243th codon of exon 4 of the DSPP gene in a Korean patient with DI type III The radiographic and histologic features of the patient revealed the classic phenotype of shell teeth These findings sllggest that DI type II and III are not separate diseases bllt rather the phenotypic variation 01' a s ingle disease
        17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수의 지점 위에 놓인 교량의 경우, 지진으로 인한 지반운동은 교량길이에 따른 거리에 걸쳐 지점마다 현저하게 다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지점마다 다른 진폭과 위상 그리고 주파수 성분을 갖도록 지반운동 시간이력곡선을 생성하였고, Monte Carlo 해석기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지반운동 하에서 교량의 비선형 동적거동을 고찰하였으며 두개의 실제 교량에 대한 취약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공간적 특성이 지진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교량교각의 연성도에 대한 취약도 곡선을 개발하였고, 동일지진 하에서의 취약도 곡선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 지반운동을 사용하여 교량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교각의 요구 연성계수가 상이 지반운동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저평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지진취약도 곡선은 지반운동의 강도를 표시하는 PGA, PGV, SA, SV와 SI의 함수로 나타내어졌다. 본 연구는 최초로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지반운동 하에서의 지진취약도 곡선을 개발하였으며, 다경간 교량의 내진설계시 시방서에 그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설계지침의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4,500원
        18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factors make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firms and their Canadian counterparts good or bad,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trad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business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include relational norms, formalization, and market uncertainty. It also proposes that relational norms are determined by trust, relationship investment, and continuity experien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mail survey of 412 Korean exporting firms which have transaction relationships with Canadian companies. Data strongly supports the research hypotheses. As hypothesiz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relational norms and formalization tend to enhance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The impact of formalization is only moderate, however. In addition, we notice that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seem to decrease as market uncertainty increases. Data also supports the hypotheses regarding the determinants of relational norms. Trust, relationship investment, and continuity experience tend to induce the development of relational norms.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