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의 운전면허 반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파악하고, 자발적 반납을 촉진하기 위 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2024년 11월부터 12월까지 한국도로교통공단 대전운전면허시험장에서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한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일반적 특성,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문화적 요인 등 4개 범주 총 13개 변수를 포함하였고,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운전면허 반납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여성 고령운전자는 남성에 비해 운전면허를 자발적으로 반납할 가능성이 약 3.83배 높았으며(OR=0.257, p<.05), 직업활동이 없는 경우 반납 확률이 약 3.73배 높았다(OR=0.268, p<.01). 또한, 대체 교통수단이 충분하다고 인 식한 경우 반납 의사는 1.72배 증가하였고(OR=1.719, p<.01), 운전면허 반납 혜택을 긍정적으로 인식한 경우 반납 의사 는 1.66배 증가하였다(OR=1.655, p<.01). 결론 : 고령운전자의 운전면허 반납 의사는 성별, 경제활동 여부, 대체 교통수단 인식, 반납 혜택 인식 등 다양한 사회문 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고령자의 특성과 지역적 교통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수립 이 요구되며, 실질적 혜택 제공과 함께 지역사회 기반의 교통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est fire risk in the Gangwon region using FlamMap, a fire behavior prediction software. The research focuses on the large-scale wildfire that occurred in Gangneung on April 11, 2023. By comparing the actual fire spread data with the simulation results, the accuracy of the FlamMap model was evaluated. The actual fire exhibited a flame length of 5 to 10 meters, with a maximum of 15 meters, while the simulation predicted a range of 3.35 to 6.10 meters. The rate of spread in the actual fire reached up to 40 meters per minute, whereas the simulation forecasted a maximum of 27 meters per minute. Fireline intensity during the first 180 minutes reached 50,000 kW/m in the actual fire, while the simulation results varied between 3,500 and 25,000 kW/m, with some sections reaching up to 50,000 kW/m. Additionally, the actual fire reached nearby residential areas within 3 hours, while the simulation estimated a time range of 503 to 720 minutes. These discrepancies highlight the need for incorporating dynamic weather data and region-specific fuel conditions in future simulations for more accurate fire predic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ements in the simulation process could enhance fire prevention and response strategies in forest fire-prone regions like Gangwon.
PURPOSES : Sprinkler facilities play a crucial role in extinguishing fires in the early stages of a building blaze. Data indicate that more than 96% of fires are suppressed by sprinklers before growing out of control. However, corrosion and pitting of the sprinkler piping can reduce system performance as facilities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co-friendly water-soluble corrosion inhibitor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longevity of sprinkler piping. METHODS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silicate-based sprinkler piping shrinkage agents as corrosion inhibitor against existing commercial options.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reactivity with fire extinguishing water, including electrolyzed reduced water and normal water. The anticorrosive performance of the silicate-based corrosion inhibitor was evalu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to establish suitability before potential development or commercialization. RESULTS : The new corrosion inhibitor demonstrated eco-friendly performance. In testing, none of the primary four hazardous substances that pose the most risk of harm to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rsenic (As), lead (Pb), cadmium (Cd), and mercury (Hg)) were detected. The inhibitor effectively reduced corrosion of carbon steel (SPP), with weight loss rates averaging 0.12% and not exceeding 0.27%. For copper (CDA 110) weight loss rates were up to 0.03%. Testing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show that the inhibitor kept weight loss was below 0.002 g, with no significant numerical value for the weight loss rate. Overall, the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for an environmentally-safe corrosion inhibitor. CONCLUSIONS : The optimal silicate-based sprinkler system can provide real-time sensor information such as oxygen saturation, pH concentration, and total dissolved solids (TDS). These metrics are closely related to the aging process. By linking this system with an aging monitoring solution, maintenance costs and safety could be improved over the lifespan of the sprinkler system. The sensors and monitoring capabilities are expected to enhance maintenance efficiency and equipment reliability.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quantitative analysis of Forward Collision Warning and crash frequency using heavy vehicle driving data collected in expressway driving environments, and to classify the driving environments where Forward Collision Warnings of heavy vehicles occur for accident-prone areas and analyze their occurrence characteristics. METHODS : A bivariate Gaussian mixture model based on inter-vehicle distance gap and speed-acceleration parameters is used to classify the environment in which Forward Collision Warning occurs for heavy vehicles driving on expressways. For this analysis, Probe Vehicle Data of 80 large trucks collected by C-ITS devices of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from May to June 2022. Combined with accident information from the past five years, a detailed analysis of the classified driving environments is conducted. RESULTS : The results of the clustering analysis categorizes Forward Collision Warning environments into three groups: Group I (highdensity, high-speed), Group II (high-density, low-speed), and Group III (low-density, high-speed). It reveal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orward Collision Warning frequency and accident rates at these points, with Group I prevailing. Road characteristics at sites with different accident incidences showed that on-ramps and toll gates had high occurrences of both accidents and warnings. Furthermore, acceleration deviation at high-accident sites was significant across all groups, with variable speed deviations noted for each warning group. CONCLUSIONS : The Forward Collision Warning of heavy vehicles on expressways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results of these environmental classifications can be used as a basis for building a road environment that reduces the risk of crashes for heavy vehicles.
Helina Robineau-Desvoidy (어리가시집파리속, 신칭)은 집파리과(Muscidae) 가시집파리아과(Phaoniinae)에 속하는 큰 분류군 중 하나 로 전세계에 540여종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기록이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미기록속 Helina Robineau-Desvoidy 및 미기록종 H. deleta (Stein, 1914), H. evecta (Harris, 1780), H. subpubiseta Xue, 1986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또한, 분류 학적 정보, 형태학적 사진 및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Brachydeutera Loew, 1862(코주부물가파리속, 신칭)는 물가파리과, 물가파리아과에 속하는 작은 분류군이다. 지금까지 이 속에는 전 세계 적으로 16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모든 동물구계에서 발견되지만 아열대 및 열대 지방, 특히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종 다양성이 풍부하다. 본 연구 를 통해 Brachydeutera속을 국내 미기록종 B. meridionalis (Rondani, 1856)(코주부물가파리, 신칭)과 함께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 종에 대한 진단 형질, 형태학적 사진 및 생태사진을 제공하였다.
어촌뉴딜 300사업은 300개의 어촌과 어항을 대상으로 하는 복합개발사업으로 낙후된 시설 개선 및 지역특화 자원활용 등 전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촌뉴딜 300사업의 선정평가 항목 별 가중치 결정을 위해 다기준 평가방법인 AHP로 전문 가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결과, 상위계층 평가항목은 개발여건 및 기본구상, 사업효과, 사업계획, 사업 시행 및 관리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업효과 항목은 가이드라인에서 6점으로 낮은 배점이었지만, AHP 결과 15.57점의 배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항목별 가중치는 향후 어촌어항 개발사업 평가항목 배점 선정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agnostic model for the effectiv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diagnose SMEs that have difficulties in building their own smart factory compared to large enterprise,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IT, AT, and OT experts diagnosed 18 SMEs using the "Smart Factory Capacity Diagnosis Tool" developed for smart factory level assessment of companies. They analyzed the results and assessed the level by smart factory diagnosis categories. Companies' smart factory diagnostic mean score is 322 out of 1000 points, between 1 level (check) and 2 level (monitoring). According to diagnosis category, Factory Field Basic, R&D, Production/Logistics/Quality Control, Supply Chain Management and Reference Information Standardization are high but Strategy, Facility Automation, Equipment Control, Data/Information System and Effect Analysis are low.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mart factory level depending on whether IT system was built or not. Also, Companies with large sales amount were not necessarily advantageous to smart factories. This study will help SMEs who are interested in smart factory. In order to build smart factor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arket trends, SW/ICT and establish a smart factory strategy suitable for the compan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y and business environment.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dification of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s an organic vehicle for silver paste on solar cell efficiency. For the modification of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ethylene glycol) is introduced to the hydroxyl groups of a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backbone via esterification reaction. The chemica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poly(ethylene glycol) functionalized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is characterized by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Fourier transform infrared,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Due to the effect of structural change for poly(ethylene glycol) functionalized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on the viscosity of silver paste, the solar cell efficiency increases from 18.524% to 18.652 %. In addition, when ethylene carbonate, which has a structure similar to poly(ethylene glycol), is introduced to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via ring opening polymerization, we find that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ncreases from 18.524% to 18.622%.
In2O3 doped WO3 powders were prepared by a polymer solution route and their NO2 gas sensing properties were analyzed. The synthesized powders showed nano-sized particles with specific surface areas of 6.01~21.5 m2/g and the particle size and shap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In2O3. The gas sensors fabricated with the synthesized powders were tested at operating temperatures of 400~500 oC and 100~500 ppm concentrations of NO2 atmosphere. The particle size and In2O3 content affected on the initial sensor resistance in an air atmosphere. The highest sensitivity (8.57 at 500 oC), which was 1.77 higher than the sensor consisting of the pure WO3 sample, was measured in the 0.5 mol% In2O3 doping sample. In addition, the response time and recovery time wer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In2O3.
Recently, satellite image data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Extraction of forest information is the field which has great application possibility. Forest type information can be used in forecasting and simulating soil erosion, landslides and debris flow as an important influence factor.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ry has advantages to obtain latest forest type information. NDVI calculated from near infra red band of satellite imagery represents vegetation activity, with seasonal difference of it forest type can be classified. In this study, we analyzed MODIS imagery from 2011 years to 2013 years in Gangwon-do where forest area is large and classified forest type with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As a result,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forest type of digital map and it classified from NDVI. The possibility for extraction of forest type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ry was confirmed.
동절기에 제주도 지역에서 도래하는 떼까마귀의 유전적 특성과 집단 간 유연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서열의 다형성에 기반한 모계 계통 구조와 계통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떼까마귀 DNA는 우도와 제주도 내에서 발견된 깃털과 사체 시료에서 분리하였다. 결정된 COI 서열들(n=41)은 떼까마귀(Corvus frugilegus)에서 기존 에 보고된 서열들과 97.0% 이상 일치하였다. 제주도 떼까마귀 COI 서열들은 3가지 haplotype(J01-J03)으로 구분되었으 나 지역-특이적인 양상을 보이지 않아, 이들이 하나의 모계 기원에서 유래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떼까마귀 전체 COI 서열에서 8개의 COI haplotype들이 발견되었다. 이 중 3가지 haplotype들은 러시아 동부, 몽골, 한국 등 동북아시 아의 COI 서열들을 포함하였고, 나머지 5가지는 중앙아시아, 중동아시아, 러시아 서부, 유럽국가의 떼까마귀에서 발견 되었다. 계통수 상에서 떼까마귀의 COI 서열들은 측소적 종분화 단계인 2아종, C. f. frugilegus와 C. f. pastinator인 2개의 모계 계통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DNA barcoding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모계 계통의 구조, 계통 유연관계 및 분자생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 low thermal expansion ceramic, cordierite (2MgO·2Al2O3·5SiO2), was synthesized using pyrophyllite. Pyrophyllite usually consists of SiO2 and Al2O3,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cordierite. MgCO3 and Al(OH)3 were added in various amounts to pyrophyllite and fired for synthesis and sintering. α-cordierite crystallized from 1000 oC with mixing of 20 wt% MgCO3 and 1.7 wt% Al(OH)3, and un-reacted cristobalite was also detected with the cordierite. As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o 1400 oC, the cordierite yield was gradually increased. Powder compacts of the synthesized cordierite were sintered between 1250 oC ~ 1400 oC; the sintered samples showed a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2.1 × 10−6/ oC and typical sintering behavior.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ynthesize cordierite ceramics on a mass production scale using the mineral pyrophyllite.
목적 및 배경: 과거에 비해 많은 현대인들 특히 사무직, 전문직 종사자나 학생들의 경우 가장 가깝게는 핸드폰부터 책, 컴퓨터, 멀게는 TV까지,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은 먼거리를 보는 시간 보단 가까운 거리를 보는 시간이 많아졌다. 근래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특정직업군이 아니더라 하더라도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핸드폰 중독, 컴퓨터 중독 이라는 신조어가 생겨 날만큼 근거리 생활패턴이 늘어났다. 비노안의 조절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40cm거리에서 측정 한 후, 정상값이 VDT 작업거리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VDT작업거리에서도 측정한다. 두 측정값이 비슷해야 하는데, 측정 한 값이 비정상적이거나 두 가지 거리에서 측정한 값이 명백 하게 차이가 난다면 잠재적인 문제점이 있음을 암시한다. 나이 증가하거나 노안이 진행됨에 따 라 특수한누진렌즈나 중근용가입도의 처방이 필요한데, 노안이 진행된 경우 표준 누진렌즈는 중간거리부의 폭이 좁은 경향을 보인다. 사무용 누진은 렌즈 회사에서 가입도를 조절하여 나오 는데, 디자인의 경우 중간부 굴절력에 최적화되었으며 근거리시야가 기존의 누진에 비해 무척 넓은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PAL 디자인 보다 더 소프트 한데, 도수 변화가 작고(원 용도수가 없기 때문), 누진대의 길이가 더 길다. 그래서 쉽게 적응하고 돌아 다니면서 착용할 수 있으며, 아래쪽에 충분한 근용 도수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편안한 근용시야, 중간거리시야 의 소프트 타입의 렌즈이므로 작업 시간이 많거나 실내 생활을 주로 하는 사람이나 초기노안 으로 인해 근거리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이러한 안정피로를 줄여줄 수 있는 렌즈로 최근 기능성누진다초점 렌즈가 출시되었다. 누진다 초점렌즈와는 다른 렌즈로, 초기 노안부터 근거리 작업이 많아 안정피로가 발생되는 사람 혹은 근거리 작업 시 좀 더 편안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고객의 군들이 기능성 누진다초점렌즈를 사 용한다. 이러한 렌즈가 최근 국내 각종 회사에서 출시되어 보급됨에 따라 최근 빠른 속도로 처 방량이 증가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누진다초점렌즈처럼 발매 후 대중화 기간이 짧아 관련 논 문이나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 발표 내용이 나오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리 작업량이 많아 이러한 안경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대상 안경착용자의 성별, 연령, 가입도, 조절여력 을 분석하여 기능성 누진다초점렌즈를 편안하고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안경처방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특별시 소재의 안경원을 방문한 고객 가운데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고객 중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으며, 굴절이상 수술 및 기타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으며 사시, 약시, 얼굴이 기형이 아닌 사람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단안교정시력과 양안 교정시력이 1.0 이상이었으며, 기능성렌즈 고객 200명을 대상 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성별, 나이, 처방도수에 따른 타입 분석 및 나이와 조절력, 조절용 이성에 대한 분석 가입도와 폭주근점, 조절여력 분석을 하였다. 처방도수에 따른 분석은 근시 및 원시로 나누고, 난시에 따른 분류로 직난시, 사난시, 도난시에 따른 분포도를 조사했으며 조절력과 폭주력이 정상인 사람과 부족한사람으로 나누어 실제 재 구매 하는 대상이 어떻게 되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결과 : 기능성렌즈의 add값은 대체적으로 정상의 조절lag 값을 해소해주시 위함으로 보여진다. 실제 기능성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은 조절력이 정상인 사람들 보다는 나이대가 초기 노안 인 경우가 많았다. 기존의 초기 노안의 경우 돋보기와 누진다초점렌즈를 착용하였으나 이젠 기능 성렌즈를 착용하다 누진다초점이나 돋보기로 넘어가는 새로운 방식이 생기게 된 셈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완제품의 돋보기나 누진다초점렌즈의 경우 시작 add가 +1.00D부터 이지 만 기능성렌즈는 평균 +0.75였고, 보는 위치에 따라 +0.25D나 +0.50D의 적은 근거리 보정값 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보였다. 그래서 실제 안경원에서는 초기 노안의 경우 기능성렌즈를 착용후 누진다초점렌즈로 넘어가 는 경우가 많은데, 누진 다초점으로 렌즈 디자인 타입의 전환 시 근거리를 렌즈의 아래부분을 사용하여 보는 연습은 되나 중간거리나 근거리 시야 폭이 기능성렌즈에 비해 줄어들어 그에 따른 적응기간이 필요한 결과가 나왔다. 결론 : 노안이 아닌 약간의 조절부족인 경우 재구매율이 비교적 낮았는데, 그 이유는 첫 구매 당시 의 눈의 불편감이 기능성렌즈 처방으로 해결되어 더 필요하지 않았거나, 적응이 되고 환 경이 변하며 구매 당시 보다 조절 부담이나 필요성이 떨어져 재구매율이 낮아졌으리라 생각이 된다. 참고문헌 1. Sheedy J. E. and Shaw-McMinn P. G., "Diagnosing and treating computer-reated vision problems", Burlington, Elsevier science, 91(2003). 2. Visual Display Unit 사용을 위한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의 성능평가
이 연구는 2009년 3월에서 2012년 7월까지 한라산에 설치한 인공둥지에서 번식하는 박새류(Titmouse)의 고도변화에 따른 번식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박새류의 최초산란일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늦어지는 양상을 보였고, 고도상승에 따른 기온감소가 최초산란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과를 종합해보면, 번식기(4~6월)의 평균기온과 산란일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는 않았다(p>0.05). 인공둥지 이용률은 지역과 연도별 차이는 없었으나 박새(Parus major)와 곤줄박이(Parus varius) 두 종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배산란수는 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나(p<0.05) 고도와 연도별 차이는 없었다(p>0.05). 부화성공률, 이소성공률, 번식성공률은 각각 2011년 67.3%, 99.5%, 67.0%이었고, 2012년에는 71.3%, 96.8%, 69.0%로 이소성공률은 높았고, 부화성공률과 번식성공률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고도 차이에 따른 기온의 변화가 번식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인되었으나 다른 번식생태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기온변화가 박새류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미기후요인과 먹이원 등의 조사를 통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Recently SW is the key industry which leads the HW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but market size of SW is only 0.9% of GDP. It is necessary systematic and strategic support to create new SW market through SW convergence and to secure the glob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deals with some strategic suggestions for progress of SW industry in company with regional economy. We survey and analyze the many SW support projects by government and take professional advice from some specialists of regional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agency. We draw 10 strategic suggestions for support of SW industry. Also we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10 strategic suggestions by AHP analysis.
지식경제부의 발표에 따르면, 세계 SW/IT융합 시장은 2010년 1.2조 달러에서 2015 년 2조 달러, 2020년에는 3.6조 달러에 이르러 연평균 11.8%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 고 있으며, 같은 기간 동안 세계경제성장률이 3~4%인 점을 감안한다면 이는 상당히 높은 성장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세계 각국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SW융합 환경에서 자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 고 있으며, IT인프라의 확산 및 고도화를 통해 정보·지식기반의 사회로의 발전을 꾀하 고 있다. 국내에서도 SW기업의 성장기반 확대 조성 및 시장 환경 개선을 위해, 2010년 2월 제4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범부처 차원의 SW산업 육성방안을 담은 ‘SW 강국 도 약전략’ 을 수립하여, 국내 SW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SW분야의 신시장 창출을 위 한 SW 산업 생태계 재편, SW 융합 수요 창출, SW 인재양성, SW 기술역량 제고 등 4대 핵심전략과 12개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국내의 SW산업분야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 투자는 약 10년을 넘은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초기수준인 SW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기반의 SW산업은 서울 및 수도권에 비하여 사업체의 수, 생산액 등 모든 면에서 열세이므로 지역의 경제 및 산업에 있어서 SW산업의 중요성 을 재인식하고 이에 따른 발전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지역 SW산업 지원 사업의 문제점과 지역 SW산업의 기반 현황 및 여건분석에 해당하는 지역적 특성, IT·SW 산업의 시장 규모, IT·SW 산업의 GRDP 비중 및 기여도, IT·SW 산업의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국내 산업단지 현황, IT·SW 산업의 가치사슬, 지역 지원정책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정부의 광역경 제권발전전략의 핵심인 지역별 선도산업을 중심으로 한 SW융합사업으로서 시너지 창 출이 가능한 지역발전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 SW산업의 정책 및 성공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SW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발전정책의 방향성을 도출하여 광역경제권 수요기반의 신규 정책 및 제안을 통해 선택과 집중에 의한 지역 SW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The logistics industry in Incheon is lack of basic usage for logistic information. As development of logistics industry the compani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nformatization. But due to a small scale of logistic companies it is difficult to equip the basic infrastructure for logistics informatization.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informatization of logistics companies in Incheon, we divide questionnaire by the aspects of information operations, aspects of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effects and policy aspects of planning and support information. By the result of survey we suggest the supporting plan for Incheon logistics industry.
매발톱꽃속(genus Aquilegia)에 속하는 국내 3분류 군과 외래종 9분류군을 대상으로 RAPD분석을 실시하 여 종의 특이성 및 종간 유연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RAPD분석은 annealing 온도가 높아 재현성이 뛰어난 20mer primer인 URP primer 12쌍을 사용하였다. 12 쌍의 URP primer 중 6개의 primer에서 polymorphism 을 보이는 DNA band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band는 약 4kbp~200bp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었 다. 총 93개의 DNA band가 검출되었으며 이 중 81 개 DNA band(87.1%)가 polymorphic한 band 양상 을 보였다. Polymorphism을 보이는 DNA band는 각 primer에 대해 10~16개로, 평균 13.5개의 DNA band 가 검출되어 유사도 행렬 계산에 사용되었다. 유사도 행렬 작성 결과 약 52.7~90.3%의 범위 안에서 유사 도를 나타냈으며, 이를 기준으로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약 63%의 유사도에서 2개의 group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