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Gong-po style is divided into the Jusimpo, Dapo and Ikgong. Jusimpo and Chulmok-Ikong, where only Gong-po is placed on the column, differ in form of Gong-po depending on the viewpoint. Since ‘Chulmok-Ikgong’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One Chulmok-Two Ikgong’, the preceden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One Chulmok-Two Ikgong’ in the Gong-po style classific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One Chulmok’, the style of Ikgong can be organized from the one to three steps and this study is particularly for examining the occurrence and transformation of ‘One Chulmok-One Ikgong’. One of the case study sites, Bonghwa Cheongamjeong was originally built in the 16th century,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repaired from ‘Non Chulmok-One Ikgong’ to ‘One Chulmok-One Ikgong’. Since the beam linked directly to the upper part of a capital, it does not connect the eave trave(architrave) in between. Also, Soro which supports Jangyeo(the architrave strip) has been placed and linked in comparatively lower position. It is confirmed by the signigicant difference in the hierarchy of Gong-po forms in one architecture. The Jeonju-Hyanggyo Daeseongjeon, which was built in the 17th century among the subjects, was similar with ‘One Chulmok-One Ikgong’, but it was found to be the type of Jusimpo form because the bottom of the beam and the top of the Ikong are apart. And Gongan is confirmed at Cheomcha. In the 17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Heot-Cheomcha disappeared and Ikgong was started to use as a constant figur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it was changed into a ornament added on Haeng-gong, being seen in the case of Hwaseong Dongjangda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One Chulmok-One Ikgong’ were developed in both the Jusimpo and Ikong style. The transformation into ‘One Chulmok-One Ikgong’ was inevitable consequence related with an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eave trave and the column trave.
        4,300원
        7.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안지역에서 지하수 순환 특성 규명은 지하수 자원의 효율적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수지 분석법 을 이용하여 지하수 침누수량을 산정하였다. 증발산량은 Thornthwaite 방법으로 계산하였으며, 지표 직접유출량은 SCS-CN 방법으로 산정하였다. 지하수 저류량 변화는 229 mm/년로 30년 평균 강수량 1286 mm/년의 17.8%에 해당하며, 증발산량 은 693 mm/년 (53.9%), 지표 직접유출량은 124 mm/년 (9.6%)로 산정되었다. 강우량과 지하수 저류량 변화 사이에는 강우 량과 증발산량, 강우량과 지표 직접유출량에 비해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증발산량 및 지표 직접유출량 보다 지하수 저류량 변화가 강우량에 대해서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반영한다.
        4,500원
        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럽 및 미주의 풍력자원조사는 풍황탑에 라이다 및 소다와 같은 지상기반 원격탐사를 병행하여 측정불확도를 경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김제평야에서 원격탐사 캠페인을 수행하였으며, 풍력자원 평가용 원격탐사장비인 윈드큐브 라이다와 메텍 PCS.2000-64 소다의 상호비교를 통하여 측정불확도를 평가하였다. 소다는 200m 높이에서 자료가용률이 80%로 저하되었으나 결손자료를 처리한 후 라이다와 동일한 로그법칙 풍속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두 측정장비 간의 평균풍속은 기울기 0.94, R2=0.94로 상관성이 높게 접합되었다. 그리고 풍속오차의 상대표준편차 및 풍향오차의 표준편차는 각각 14%와 25도로 전 측정높이에 대하여 균일하게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