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

        101.
        198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마 파종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화를 구명코자 Wiera, Taijungsun #1, Storment Goss, CI 1763, 99403-Fiber의 5품종을 공시하여 파종기는 3월 10일, 25일, 4월 5일의 3기로 구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숙기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2. 경장은 3월 10일 파종에서 Wiera는 83cm로 가장 길었고 Taijungsun #1은 64cm로 가장 짧았으며 3월 25일, 4월 5일로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모든 품종이 참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섬유비율은 3월 10일 파종에서 Wiera 가 15.6%로 가장 높았는데 파종기는 늦어짐에 따라 모든 품종들이 감소되었다. 세도는 Taijungsun #1가 26.2本으로 가장 가늘었으며 99403-Fiber는 19.5본으로 가장 굵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세도가 낮아져서 줄기가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3. 유분함량은 3월 10일 파종에서 Taijungsun #1는 34%, Storment Goss는 32%, Wiera는 30%, CI 1763은 27%. 99403-Fiber는 26%로 높았으나 가장 늦은 파종에서는 24%까지 낮아졌다. 4. 원경수량은 모든 파종기에서 Wiera가 가장 다수성이었으며 파종기간에서는 3월 10일에서 4월 5일로 늦어짐에 따라 원경중 감소폭이 가장 Wiera가 커서 파종기 차이에 따른 원경중의 반응이 민감한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5. 종실수량은 Taijungsun #1가 가장 않았고 전품종이 파종이 지연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6. 파종기에 따른 5품종의 유용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 파종기, 품종 모두 유의성이 고도로 높았고 파종기와 품종간의 상호작용에서도 모든 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다만 유분함량의 형질에서만 유의성이 없었다.ucation School health education was planned every semester in 55.7%, which was the highest. As for utilization status of the materials for planning of a school health education as a referance, 86.8% of the total respondants utilized the guidelines published by Seoul city School nurses′ Association, and the administrative guidelines for school health, textbooks, school health statistics and articles related to school health in order. It was tried whether the number of referances being utilized was related to the working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the shorter the experiances, the more materials were utilized. It was answered that teaching plan for health education was prepared by school-nurses themselves (95.2%), and was differentiated as three levels as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e third and fourth grades, and the fifth and sixth grades 3. The contents of the school health education 16 subjects offere
        103.
        198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왕골 육종을 위한 형질상호간의 유전관계를 조기에 추정하고 효율적인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내수집종 64품종을 공시하여 유전력,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7개 형질에 대한 유전력 중 대부분의 형질에서는 높았으나 건피수량에서 만은 다소 낮게 평가되었다. 2. 형질상호간의 상관관계는 경장은 건수중과 건피수량에서, 경의 직경 역시 건수중과 건피수량에서 가장 높은 유의차로 정의 상관을 보였다. 3. 수량과 타형질과의 상관이 가장 높았든 형질은 경장, 경의 직경, 건수중이었으며 경로계수의 분석결과도 이들 형질의 직접효과가 가장 높았다.
        106.
        198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골풀 정식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이를 구명하고자 오까야마 002, 사자나미, 세도 004의 3품종을 공시하여 정식거로 10월 25 일, 11월 5일, 11월 15 일, 11월 25 일, 익년 3월 5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와 성숙기는 정식기가 지연됨에 따라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2. 경장은 10월 25일 정식에서 오까야마 002는 119cm, 세도004는 118cm, 사자나미는 117cm로 가장 길었고,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101∼103 cm 로 짧아졌다. 3. 주당경수는 10월 25 일 정식에서 오까야마 002는 143본, 세도 004는 138본, 사자나미는 135본으로 가장 많았고 정식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여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101∼106본이었다. 4. 생경수량(kg/10a)에서는 가장 정식기가 빨랐던 10월 25 일 정식이 가장 수량이 많아서 오까야마 002 3202, 세도 004 3727, 사자나미는 3784kg/10a로 많았고 가장 늦은 정식구에 서는 1785∼1972로 10월 25 일 정식의 반정도의 수량에 그쳤다. 5. 장린중, 중린중의 정식기별 수량성은 가장 빨랐던 10월 25 일 정식이 가장 높았고 정식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단린중에서는 10월 25 일 정식구와 익년 3월 5 일 정식구가 가장 높았다. 6. 총건경중(장린중, 중린중, 단린중)에서는 10월 25 일 정식에서 세도 004가 1324 kg/10a로 가장 많았고 오까야마 002가 1282kg/10a, 사자나미 1088kg의 순으로 많았으며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642∼724kg로 가장 낮았다. 7 수량형질간의 상관에서 수량은 경장 및 주당경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분산분석에서 품종, 정식기, 품종과 정식기의 교호작용에서 대부분의 형질들이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냈다.2p1/2의 binding energy들은 각각 780.3과 795.8 eV에서 나타났다. 반응 전 후 촉매상에서 Co 2p3/2의 binding energy 차이는 1.0 eV이고, Co 2p1/2의 binding energy 차이는 1.3 eV이다. 표준 Co3O4 에 대한 XPS 측정결과, 반응 후 촉매상에 존재하는 CoOx 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
        110.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우리나라 참깨의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하에서의 도복방지효과를 보고자 장려품종인 안산깨. 단백깨, 광산깨를 공시하여 개화초기에 75˚ 45˚ 의 인위도복 처리와 도복방지 처리로서 개화시에 지주를 세워 처리간의 효과를 조사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초기에 75˚ 도복은 도복되지 않은 것에 비해 가장 감수정도가 커서 단작에서 75%, 맥후작에서 81% 감수되었다. 2. 개화초기의 무처리한 구에서는 단작직파에서 약간의 자연도복이 되어 18% 감수되었고 맥후작직파에서는 태풍피해로 75%의 큰 감수를 보였다. 3.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에서 개화초기에 지주를 세워 재배한 처리는 완전다수였다.
        111.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상요인이 유채수량 및 수양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975년부터 1984년까지의 강수량, 온도 등의 기상요인과 동기간에 재배한 유달품종의 수량을 비롯한 중요 수량구성형질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재배기간 동안의 기상요인중 5월의 강우량과 2월의 최저기온이 생육에 크게 영향을주고 있으며 그중 5월의 각우량의 다소가 절대적인 요인이 되었다. 2. 5월의 강우량과 수량 및 수?형질에는 고도의 유의성으로 정의 상관이었다. 3. 기상요인과 수량과의 관계를 회귀직선으로 나타내면 5월의 강우량과 수량은 Y=210,914+1,179x, 2월의 최저기온과 수량은 Y=245,560-1,720 x였다. 4. 남부지방의 유채재배는 2월의 최저기온이 낮을수록 유채의 수량감수 정도는 컸다.
        114.
        198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육종의 수량형질에 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전력, 표현형 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 및 경노계수에 대해 연차간 유전통계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기자의 수양형질중 생과중, 건과중 및 생근중의 유전분산이 가장 크고 년차간의 변동이 적었으며 기타의 형질도 유전분산이 환경분산보다는 컸고 연차간변동은 적었다. 2. 3개년간 전품종들을 Pool로 한 분석에서 연차와 품종 및 이들의 교호작용은 건과율 및 건근중률을 제외한 모든 수양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연차간변동도 적었다. 3. 광의의 유전력에서는 생과중, 건과중, 생근중, 건근중 및 지골피수량양에서 매우 높았고 연차간변동도 적었다. 4. 유전상관에서는 생과중과 건과중, 생근중과 지골피, 생근중과 지골피비율, 건근중과 지골피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으로 유의성도 높고 연차간의 변동도 적 었다. 5. 경노계수의 연차간변동은 대체로 적었으나 3개년간 모두 지골피수량에 직접, 간접으로 효과를 크게 미치는 형질은 생근중이었다.
        116.
        198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육종의 지골피수량에 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전력, 표현상관, 환경상관 및 경노계수에 대한 연차간변동을 알고자 1979년, 1980년, 1981년, 3개년간 생산력검정 시험성적을 이용하여 연차간 유전통계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기자의 실용형질중 경장, 1차분지장의 유전분산이 가장크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으며 기타의 형질도 유전분산이 환경분산보다는 컸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다. 2. 3개년간 전품종들을 Pool로 한 분석에서 연차와 품종 및 이들의 교호작용은 경장, 1차분지장, 주경과실수의 형질들이 연차간과 품종간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 연차와 품종간의 교호작용에서도 경장의 형질에서 만이 높은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광의의 유전력에서는 모든 형질들이 유전력이 매우 높았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다. 4. 유전상관에서는 지골피의 수량과 경장, 1차분지장, 주경과실수간에는 정의 상관이며 연차간변동도 적었고 지골피와 근중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높았다. 5. 경노계수의 연차간변동은 대체로 적었으나 3개년간 모두 지골피수량에 직접효과가 크게 미치는 형질은 경장, 1차분지장 및 근중이었다.
        119.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자의 육종적 개량 가능성과 재배적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집된 5개품종들을 파종기를 달리하여 1980~82년 까지 3 개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간에 추태기는 제주종, 서울종, 일본종이 빠르고 영산포종과 수원종은 늦은 편이었으며 성숙기는 수원종이 가장 늦었다. 2 . 초장은 수원종이 가장 짧았으나 협당종실수는 가장 많았으며 분지수는 서울종, 영산포종이 많은 반면 입중, 협장 및 중에 있어서는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종실수량은 서울종이 248kg/10a로 높았다. 3. 유분함량은 품종간 28.8 ~32.1%의 변이를 보였으며 황갈색종피인 서울종. 영산포종. 제주종이 높은 경향이었고 탈지박중의 Glucosinolate 함량은 전체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4.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추태, 개화가 지연되며 초장, 총 분지수, 수당협수가 감소하는 경향인데 추태는 수원종, 제주종, 일본종이 개화기는 제주종이 초장은 서울종, 제주종이 수당협수에서는 서울종, 수원종. 일본종이 그리고 협당입수에서는 제주종이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5. 파종기 지연에 따른 입중, 중. 협장 및 유분함량이나 지방산조성 변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6 경노계수 분석 결과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가 큰 형질은 총 분지수, 개화기, 수장이었고 간접효과가 큰 형질은 수장을 통한 초장이었던 반면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초장이나 수장 보다 개화기나 결실비율의 직접효과가 뚜렷해지는 경향이었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