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4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의 지방소거 기법 중 하나인 Dixon기법은 물과 지방과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위상 보정(phase correction) 과정 및 두 가지 영상을 이용한 calculation을 통해 지방소거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기존의 지방소거 기법들보다 월등히 균일한 지방 소거 영상을 제공하지만 B0,B1 민감도 즉 두개의 피사체 간격에 포함된 불균질한 부분의 따라 각각 지방-물 신호가 바뀌는 swap 현상이 발생한다. 자체 제작한 균일 보정물질을 통하여 불균일한 피사체를 보정함으로써 swap 현상을 줄여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은 15개 구역으로 나뉜 물과 지방이 함유된 팬텀 두 개(A, B) 가로×세로×두께 (10cm×18cm×2cm)크기와 (12cm×8cm×3cm) 크기의 파라핀을(C) 사용한 보정물질을 이용하였으며 장비는 3.0T Skyra(SIEMENS, Germany)와 Body coil 18Ch을 이용하였고 사용한 sequence는 2 point Dixon T2 지방소거 영상과 T1 지방소거 영상으로, T2 지방소거 영상(FOV:236×280mm/ TR: 2200ms/ TE:78ms/ Image Matrix:259×384/ thickness: 3mm/0mm / Scan time: 2min 12sec) T1 지방소거 영상(FOV:236×280mm/ TR: 450ms/ TE:11ms/ Image Matrix: 246×448/ thickness: 3mm/0mm/ Scan time: 2min 16sec)의 관상면 영상으로 먼저 팬텀 A와 B를 이용하여 서로 붙여서 촬영, 5cm 간격으로 촬영 10cm 간격으로 촬영하고 5cm 간격과 10cm 간격에 보정물질(C)을 두어 한번 더 촬영하였다. 영상 측정 프로그램 Image J를 사용하여 팬텀(A, B)의 총 30개의 구역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보정물질 사용 전·후의 차이와 좌우 신호강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총5명의 실험 지원자 다리를 대상으로 같은 Scan parameter를 적용하여 보정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10cm, 15cm 간격과 보정물질(c)을 사용한 15cm 간격을 촬영하고 4군데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변화 정도를 비교·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Independent t-test p<0.05). 결 과 : 팬텀 실험에서는 T2와 T1 Dixon 지방소거영상 모두 보정물질 사용 시 사용 전보다 균등한 지방소거로 인해 신호강도가 저하되었고 T2 지방소거 검사 시 보정물질 사용하였을 때 10cm 거리에서 좌우 신호가 균등해지고 swap 현상을 없앨 수 있었으며 T1 지방소거 검사에서는 5cm 거리에서 균등해진 신호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0cm 거리에서는 수치가 크게 변함이 없었다. 실험 지원자의 경우 지원자 모두 보정물질 사용시 사용 전보다 전체적인 신호강도의 저하는 없었으며 15cm 간격의 보정물질 사용 후 좌우 신호가 균등해짐을 알 수 있었고 swap이 발생된 4명 중 3명의 swap 현상을 없앨 수 있었다. 결 론 : 본 실험을 통하여 Dixon기법을 두개의 분리된 피사체에 적용했을 때 피사체 간격 정도에 따라 지방소거 영상의 계산적 오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Dixon기법은 기존에 사용하던 CHESS 지방소거 기법에 비해 피사체의 굴곡이나 크기에 따른 영향이 적다. 그러나 두 개의 피사체 즉 인체의 사지부분 검사를 하게 되는 경우 화학적 전이(chemical shift)에 의한 계산 오류로 지방과 물이 반전되어 영상이 생성되는 swap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불균일한 부분이 발생하는 두 개의 피사체의 간격에 인체 등가물질의 보정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간격에서 발생되는 swap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간격이 더 늘어나는 경우 swap 현상이 계속적으로 발생하였으나 크기에 따라 간격에 맞는 보정물질을 제작하여 보완한다면 넓은 간격에서도 swap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향후 인체에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 swap에 의한 진단적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4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Constructive interference in the steady state(CISS) sequence는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으로 감마나이프(Gamma Knife)수술 환자의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T2 강조 영상기법의 하나인 CISS에서 조영제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은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Gamma knife 시술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장비는 Siemens Magnetom Avanto 1.5Tesla MRI System이며, transmit/receive (T/R) head coil 이용하였다.사용된 protocol은 T2 axial, T1 axial, MPRAGE, CISS영상을 획득하였으며, CISS영상은 조영제 전,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조영제는 meglumine gadoterate을 0.2mL/Kg을 정맥투여 하였다. CISS영상의 조영제 사용 전ㆍ후의 영상과 조영제 사용 후 MPRAGE영상의 신호강도를 image j로 측정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SNR과 CNR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영상의 병변부위 조영제 사용 전, 조영제 사용 후 평균 SNR은 65.62±7.19, 170.80±39.51, 정상부위의 평균 SNR은42.34±24.67, 66.78±5.94로 측정되었다. 정상조직과 병변의 CNR은 조영제 사용 전 7.87±6.29에서 조영제 사용 후 64.93±22.87로 측정되었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영상의 평균 SNR은 병변부위 52.70 ±24, 정상부위 35.91±14.03으로 측정되었고, 정상 조직과 병변의 CNR은 16.79±12.22로 측정되었다. CISS영상에서의 정상조직 조영제 사용 전, 후 병변부위와 정상조직의 SNR과 CNR에서 모두 유의수준 P=0.000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증가하였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와 CISS에서의 SNR 측정결과 병변부위에서는 p=0.002로 유의하였으나 정상조직에서는 p=0.240으로 유의하지 않게 분석되었다. 결 론 : 감마나이프수술은 기존의 머리를 절개하는 뇌수술과는 달리 파장이 짧은 감마선을 병변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종양이나 혈관기형 등을 제거하는 방사선 수술법으로 MR검사는 병변 확인 및 좌표 확인에 이용되고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T1조영제를 사용하면 조영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CISS sequence의 구성은 True and reversed fast imaging in steady state precession(FISP)가 혼합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조영 효과를 영상에서 확인 할 수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조영제 전 영상보다는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에서 병변 및 정상부위의 SNR과 CNR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감마나이프 MR검사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1 2 3